[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Ч ч}}}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25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치리비(чрьвь). 치경구개 파찰음 /tɕ/을 나타내는 데 쓴다. 근현대 [[한국어]]의 초성 ㅈ과 ㅊ과 같은 발음이다. [[히브리 문자]]의 차데(ץ)에서 유래했으나 이쪽은 어말형. 러시아어에서는 몇몇 경우에 발음이 /ʂ/로 변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что[쉬토] : 무엇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t͡ʃ/ 발음을 표기하는 데 쓴다. 본래 키릴 문자를 빌려 [[루마니아어]]를 표기하던 시절에 루마니아어의 /t͡ʃ/ 발음(현대 [[로마자]] 정서법에서 i, e 앞의 c나 tș에 해당)을 표기하는 용도로 처음 쓰였다가 17세기경부터 [[세르보크로아트어]]에도 차용되었다. == Ӵ ӵ == [[우드무르트어]]에서 /tʃ/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 Ҷ ҷ == [[타지크어]], [[압하스어]]에서 쓰는 문자. 타지크어 발음은 /d͡ʒ/, 압하스어 발음은 /t͡ʃʼ/을 나타내는 데 쓴다. [[하카스어]]의 Ӌ, [[아제르바이잔어]](키릴 문자)의 Ҹ도 비슷한 용도로 쓰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25)]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