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rd1=마르틴 외데고르/2023-24 시즌)] [include(틀:아스날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2e3657 2%, #2e3657 4%, #fff 4%, #fff 6%, #C71E2E 6%, #C71E2E 94%, #fff 94%, #fff 96%, #2e3657 96%, #2E3657 98%, #fff 98%)" {{{#fff '''마르틴 외데고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2e3657 2%, #2e3657 4%, #fff 4%, #fff 6%, #c71e2e 6%, #c71e2e 94%, #fff 94%, #fff 96%, #2e3657 96%, #2e3657 98%, #fff 98%)" {{{#fff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 [[스테판 요한센]][br]{{{-1 (2017~2021)}}} || {{{+1 {{{#fff ▶ }}}}}} || '''{{{#fff 마르틴 외데고르[br]{{{-1 (2021~)}}}}}}''' || {{{+1 {{{#fff ▶ }}}}}} || ''현직''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3474 4%, #fff 4%, #fff 5%, #f00000 5%, #f00000 95%, #fff 95%, #fff 96%, #023474 96%)" {{{#fff ''' 아스날 FC 주장 ''' }}}}}} || ||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br]{{{-1 (2019~2021)}}} || {{{+1 {{{#fff ▶ }}}}}} || '''{{{#fff 마르틴 외데고르[br]{{{-1 (2022~)}}}}}}''' || {{{+1 {{{#fff ▶ }}}}}} || ''현직'' || ---- [include(틀: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 ---- [include(틀:프리미어 리그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2e3657 2%, #2e3657 4%, #fff 4%, #fff 6%, #c71e2e 6%, #c71e2e 94%, #fff 94%, #fff 96%, #2e3657 96%, #2e3657 98%, #fff 98%)" {{{#fff '''마르틴 외데고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아스날 FC 올해의 선수(2020년대)|[[파일:아스날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0007; font-size: 0.7em" [[틀:아스날 FC 올해의 선수(2020년대)|{{{#fff '''2022-23 아스날 FC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22-23 PFA 올해의 팀|[[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9em" [[틀:2022-23 PFA 올해의 팀|{{{#c18e33 '''2022-23 PFA 올해의 팀''' }}}]]}}} || [[ESM 올해의 팀|[[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22-23 ESM 올해의 팀|{{{#fff '''2022-23 ESM 올해의 팀'''}}}]]}}}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tin Ødegaard 23-24.png|width=100%]]}}} || ||<-3> '''{{{#fff 아스날 FC No. 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f00000 '''C'''}}}}}} || ||<-3> '''{{{#9c824a {{{+1 마르틴 외데고르}}}}}}''' [br] '''{{{#9c824a Martin Ødegaard}}}''' || ||<-2><|2> {{{#f0f0f0 ''' 출생 '''}}} ||[[1998년]] [[12월 17일]] ([age(1998-12-17)]세) || ||[[노르웨이]] [[뷔스케뤼|뷔스케뤼주]] [[드람멘]] || ||<-2> {{{#f0f0f0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 ||<-2> {{{#f0f0f0 ''' 신체 '''}}} ||[[키(신체)|키]] 178cm | [[체중]] 68kg || ||<-2> {{{#f0f0f0 ''' 포지션 '''}}} ||[[중앙 미드필더]][* 메짤라], [[공격형 미드필더]] || ||<|2> {{{#f0f0f0 ''' 소속 '''}}} || {{{#f0f0f0 '''유스'''}}} ||[[스트룀스고세 IF]] (2009~2014) || || {{{#f0f0f0 ''' 프로 '''}}} ||[[스트룀스고세 IF]] (2014~2015)[br]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2015~2017)[br][[레알 마드리드 CF]] (2017~2021)[br]{{{-1 → [[SC 헤이렌베인]] (2017~2018 / ^^임대^^)}}}[br]{{{-1 → '''[[SBV 피테서]] (2018~2019 / ^^임대^^)'''}}}[br]{{{-1 → '''[[레알 소시에다드]] (2019~2020 / ^^임대^^)'''}}}[br]{{{-1 → [[아스날 FC]] (2021 / ^^임대^^)}}}[br]'''[[아스날 FC]] (2021~ )''' || ||<-2> {{{#f0f0f0 ''' 국가대표 '''}}} ||55경기 3골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2014~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f0f0f0 ''' 등번호 '''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대표팀]] - 20, 15, 11, 9, '''10'''[br][[스트룀스고세 IF]] - 67, 16[br][[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15, 11, 10, 7[br][[레알 마드리드 CF]] - 41, 27, 26, 21[br][[SC 헤이렌베인]] - 17, 10[br][[SBV 피테서]] - 18[br][[레알 소시에다드]] - 21[br][[아스날 FC]] - 11, '''8''' || ||<-2> {{{#f0f0f0 ''' 주발 ''' }}} ||왼발 || ||<-2> {{{#f0f0f0 ''' 후원사 ''' }}} ||[[나이키]] || ||<-2> {{{#f0f0f0 ''' 종교 ''' }}} ||[[가톨릭]] || ||<-2> {{{#f0f0f0 ''' SNS '''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rtinio98, 크기=28)] | [[https://www.instagram.com/odegaard.9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 국적의 [[아스날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본래 공격형 미드필더였으며 아스날이 진첸코를 영입하고 3미들+인버티드 윙백 체제를 완성하자 우측 메짤라로 계속 나오고 있다.] 우측 메짤라로 현재 [[아스날 FC]]와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 선수 경력 == === [[마르틴 외데고르/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르틴 외데고르/클럽 경력)] ==== [[마르틴 외데고르/아스날 FC|아스날 FC]]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르틴 외데고르/아스날 FC)] === [[마르틴 외데고르/국가대표 경력|국가대표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르틴 외데고르/국가대표 경력)] == [[마르틴 외데고르/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르틴 외데고르/플레이 스타일)] == 기록 == === 대회 기록 === * [[레알 소시에다드]] (2019~2020) * [[코파 델 레이]]: 2019-20 * [[아스날 FC]] (2021~ ) * [[FA 커뮤니티 실드]]: 2023 === 개인 수상 === * [[엘리테세리엔]] 올해의 영플레이어: 2014 * [[에레디비시]] 올해의 팀: 2018-19 * 에레디비시 이달의 선수: 2019년 04월 * [[라리가]] 이달의 선수: 2019년 09월 * UEFA 라리가 올해의 레볼루션 팀: 2019-20 [[https://es.uefa.com/uefaeuropaleague/news/025f-0ff091d12bcc-b8388f80644f-1000--equipo-revelacion-de-la-liga-2019-20/|#]]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2022년 11·12월 * [[PFA 올해의 팀]]: 2022-23 * [[아스날 FC|아스날]] 올해의 선수: 2022-23 * 아스날 이달의 선수: 2021년 3월, 2023년 4월 * [[피테서]] 올해의 선수: 2018-19 * 런던 풋볼 어워즈 올해의 선수: 2022-23 * [[ESM 올해의 팀]]: 2022-23 === 개인 기록 === * 티펠리겐 최연소 출장 * 티펠리겐 최연소 득점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최단 기간 주장 선임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최연소 주장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최연소 출장 * [[레알 마드리드]] 최연소 출장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최연소 주장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최연소 출장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최연소 득점 * [[라리가]] 최연소 출장 * [[UEFA 유로]] 최연소 출장 == 여담 == * 아스날 팬들 사이에서는 '2대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외씨'라고 불린다. 1대는 당연히 [[메수트 외질|이 선수]].[* 공교롭게도 둘은 첫 입단 당시 11번을 선택했다. 후에 외질은 10번, 외데고르는 8번으로 등번호를 변경한다. 다만 외질은 [[잭 윌셔|기존 주인]]이 팀을 떠난 후 공번이 된 10번을 차지한 것이지만 외데고르는 완전 영입으로 팀에 다시 들어왔을 때 기존 번호였던 11번은 [[루카스 토레이라|당시 아직 떠나지 못했던 선수]]가, 10번은 [[에밀 스미스로우|이 분]]이 쓰고 있어서 아르테타가 추천한 8번을 선택하게 되었다.] * 아버지 [[한스 에리크 외데고르]] 또한 축구선수였다. * 2023년 지금은 --간신히-- 178cm가 되었으나 2015년 당시 키는 176cm로 노르웨이 출신의 비정상회담 진행자 [[니콜라이 욘센]]에 따르면 노르웨이 남자 키가 182cm인데 그 평균 키도 안 되어 당시 레알 마드리드 팬들이 걱정했다. * 커리어 초기엔 스펠링을 그대로 읽은 외데가르드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한국만 그런 것이 아니라 영국에서도 아스날에 처음 왔을 때에는 외데가르드에 가까운 발음으로 불렸다. 오죽하면 아스날에서 찍은 영상에서 외데고르가 직접 자기 이름 읽는 방법을 알려줄 정도. * 2014년 영국의 팀토크라는 사이트에서 뽑은 2014년 10대 유망주에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 당시 [[이승우]], [[하킴 마스투르]]와 같이 이름을 올렸는데, 그래선지 [[이승우]]가 모 방송국과의 인터뷰에서 [[이승우|자신]]과 마스투르, 외데고르를 상위 레벨 유망주 중 라이벌로 꼽는 발언을 했다. 다만 임대 생활을 거치며 성장한 외데고르는 이 셋 뿐 아니라, 이때 선정된 10대 유망주에서도 가장 화려한 대박을 이룬 선수가 되었지만 이승우와 마스투르는 유럽무대에서 고전하다가 결국 유럽무대를 떠나야 했다. 그래도 이승우는 2022년 1월에 수원 FC로 이적하며 한국으로 돌아온 뒤에는 K리그에서 2022년 시즌에 리그 14골 3도움을 기록하며 다시 역량을 끌어올리고 있는 중이나 마스투르는 이탈리아 하위리그에서도 방출되어 2022년부터 모로코 2부리그에서나 뛸 정도로 몰락했다. {{{#!folding [ 순위 보기 ] >1위 '''마르틴 외데고르''' > >2위 [[알렌 할릴로비치]] (18, [[FC 바르셀로나]]) - '''실패'''. 바르사 유스에서는 나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잘 성장하는 듯 했으나, 임대 생활을 하면서 성장이 정체되었다. 결국 바르사를 떠나 새 도전에 나섰으나 어디서도 주전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여러 팀을 떠돌았다. 2021-22 시즌에 드디어 [[EFL 챔피언십]]의 [[레딩 FC]]에서 주전으로 자리 잡고 모처럼 활약했나 했더니 부상으로 인해 자리에서 밀려났고, 결국 2022-23 시즌에 [[HNK 리예카]]로 이적해 크로아티아로 돌아갔다. 그러나 리예카에서도 몇 경기 못 나오고 겨울에 상호 합의 하에 FA로 풀렸다. 이승우는 하다못해 자국리그에서 부활했는데 알렌은 자국리그에서도 실패했다. > >3위 [[가브리에우 바르보자]] (18, [[산투스 FC]]) - 유럽 기준 '''실패'''. 기대 속에 인테르로 이적했으나 폭망, 벤피카로 임대가서도 폭망하면서 2018년에 산투스로 임대되어 브라질 무대에서 다시 뛰게 되었다. 2019년 [[CR 플라멩구]] 임대 생활을 거쳐 2020년부터 완전히 플라멩구 소속으로 뛰고 있는데, 2019 시즌에 리그 25골을 넣고 국대에도 뽑히며 자국 리그에서는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 >4위 [[하킴 마스투르]] (16, [[AC 밀란]]) - '''실패'''. 지나친 개인 플레이를 비롯해 성장이 더뎌지면서 밀란에서 자리잡지 못했고, 이후 그리스 리그와 세리에 C에서도 전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완전히 망했다. 현재는 모로코 '''2부'''리그인 제맘라에서 뛰는 중. > >5위 [[리체들리 바주르|리셰들리 바주르]] (18, [[AFC 아약스]]) - '''절반의 성공'''. 아약스에서의 활약으로 [[VfL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해 4대리그 무대에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면서 부진했다. 결국 2019년 위트레흐트 임대를 거쳐 2019년 여름부터 [[SBV 피테서]]에서 뛰면서 자국리그로 돌아왔다. 그래도 [[에레디비시]]에서는 리그 정상급 미드필더로 활약중이다. > >6위 [[모스퀴토|모스키투]] (18,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실패'''. 파라나엔시를 떠난 이후 남미 여러 팀을 떠돌면서 자리잡지 못했고, 2022년부터는 [[타이 리그 1]]에서 뛰고 있다. 마스투르, 할릴로비치와 더불어 가장 실패한 케이스. > >7위 [[유리 틸레만스]] (17, [[RSC 안데를레흐트]]) - '''성공'''. 안데를레흐트에서 맹활약해 [[AS 모나코]]로 이적했으나, 모나코에서는 2% 부족한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레스터 시티 FC]] 이적후 포텐이 터지며 PL 상위권 중앙 미드필더로 맹활약중이며, 벨기에 대표팀에서도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 >8위 [[닐 모페]] (18, [[OGC 니스]]) - '''절반의 성공'''. 니스에서 리그앙 최연소 데뷔 기록까지 세웠으나 성장이 정체되면서 기대치가 많이 떨어지는 듯 했다. 그러나 브레스투아 임대 후 반등에 성공하더니, [[브렌트포드 FC]]로 이적한 후 주전으로 도약해 [[EFL 챔피언십]] 최고의 공격수로 발돋움했다. 이후 프리미어리그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으로 이적했으며, 두 시즌 동안 리그 18골을 넣는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다만 브라이튼에서의 마지막 시즌에는 폼이 다소 하락했고, 에버튼으로 이적한 2022-23 시즌의 폼은 [[그말싫]] 수준. > >9위 [[후벵 네베스]] (17, [[FC 포르투]]) - '''성공'''. 포르투에서 S급 유망주로 평가받았으나 에이전트 [[조르제 멘데스]]의 영향으로 냅다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이적했다. 4대리그 빅클럽이 노리던 선수가 갑자기 EFL 챔피언십으로 가면서 선수 커리어에 악영향을 준다는 말이 나왔으나, 네베스는 묵묵히 제 역할을 하면서 울브스의 승격을 돕고 PL 무대에서도 수준급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 포르투갈 국가대표에도 승선하였다. > >10위 [[이승우]] (16, [[FC 바르셀로나]]) - 유럽 기준 '''실패'''. 유소년 이적 규정 위반으로 1년간 강제 휴식을 취한 이후 폼이 많이 떨어지면서 성인무대 적응에 실패했다. 더 많은 출전기회를 얻기 위해 여러 차례 이적과 임대를 반복했으나 오히려 기회는 점점 줄어들었고, 결국 2022 시즌을 앞두고 [[수원 FC]]로 이적하며 K리그 무대에 발을 디디게 되었다. 그래도 K리그에서는 김도균 감독의 지휘 아래 폼을 되찾으며 리그 정상급 선수로 활약중이다.}}} * 유니폼을 크게 입는 버릇 때문인지, 사진이 찍힐 때마다 소매가 손을 다 가리고 있어 별명은 [[네나드 스렉코비치|외팔이]]. 이름이랑 엮여서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성인이 된 현재는 몸에 맞는 유니폼을 입고 있다. * 2015년 마드리드로 오기 전에 [[리버풀 FC]], [[FC 바이에른 뮌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훈련에도 참가했었다. * [[멘탈]]이 좋은 편이다. 게다가 국대 감독과 소속팀 감독 양쪽에서 모두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는데 그 덕분인지 '''만 23세의 나이에''' 벌써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과 소속팀인 아스날 둘 다 [[주장]]직을 역임중이다. 노르웨이 국대는 21년부터, 아스날은 22년부터 주장에 선임되었다. 아스날의 경우 팀원이나 직원들의 투표로 된건 아니고, [[아르테타]] 감독이 --팀이 개판이 되어가자-- 반강제로 임명한 케이스.[* 21-22시즌 막바지 기준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직전 주장]]은 사생활 논란으로 가득했고 [[알렉상드르 라카제트|주장 대행]]은 인터뷰로 전 챔스에서 뛰는 팀에 가고 싶어요 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하며 찬물을 제대로 끼얹은데다--그러고 유로파 컨퍼런스리그도 못간 팀으로 갔다-- 극심한 부진으로 선발 명단에도 못들었으며 [[그라니트 자카|실질적인 라커룸 리더]]였던 인물은 이미 주장 박탈 전과가 있으며 다른 주장단은 [[키어런 티어니|유리몸으로 인한 시즌 아웃]]에 [[롭 홀딩|만년 백업]]이었던, 리더십 체계가 제대로 박살이 나있던 상황이었던지라 새로운 주장은 커녕 당일 경기 주장 선정부터가 문제였었다. 그래서 라커룸 리더 중 하나였던 외데고르를 새로이 주장단에 넣은데 이어 주장단 서열까지 확 높여버린 후 잔여 경기를 주장으로 출전시켰는데 잘 소화해준데다 선수들의 지지까지 얻어내며 그 시점부터 가장 유력한 주장 후보가 되었던 것.][* 티어니가 부상으로 시즌아웃되기 전까지는 언론들과 팬들 사이에서 차기 주장 후보 1순위로 꼽혔었으나 아르테타는 외데고르가 완전이적한지 반년도 안된 시점부터 차기 주장 후보로 외데고르를 꾸준히 언급하고 있었다. 오바메양이 주장직을 박탈당한 시점부터 이미 외데고르를 차기 주장으로 점찍어둔 듯 하다. 당연히 사람들은 이적한지 반년도 안된 선수보단 근본 넘치는 티어니가 주장이 되어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앞서 언급했듯 티어니는 또다시 부상으로 아웃되고 주장 대행이라는 작자는 문제의 챔스 발언을 저질러버리며 티어니 주장을 밀던 여론은 --이전 주장 잔혹사가 떠올랐는지--순식간에 '''외데고르가 주장직을 이어받는게 맞다'''로 뒤집혀버렸다.] 그래도 임명 전 주변인들의 동의를 받았다고 하며, 실제 22-23 시즌 주장으로 팀을 제법 잘 이끌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몇몇 언론들과 선수단에 의하면 그의 리더십 스타일은 자카와 같은 보컬 리더형은 아니나 항상 자신이 먼저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며 팀원들이 자신을 자연스럽게 따르게 하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아르테타 역시 외데고르를 주장으로 선정한 이유로 단순히 말만 많은 것이 아닌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는 유형'''이었기에 선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 22-23시즌이 시작되고 나서는 '''팀의 억제기'''로 활동 중인데, 선수들이 심판들에게 과격하게 항의한다 싶으면 바로바로 떼어내서 돌려보내고 자신이 대신 차분하게 항의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팀 내 다혈질로 유명한 자카 역시 예외없이 분리시켜버리며 마갈량이스의 경우에는 --말 안듣고 계속 항의하다가-- 외데고르가 반강제로 수비 위치로 보내버리는 모습이 중계 화면에 꽤 잡힌다. --사실상 그라운드 위의 아르테타-- * 어린 나이부터 어느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임대만 다녔기 때문이었는지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에 정착하고 싶었다고 한다. 때마침 미드필더 부족에 시달리던 아스날[* 라카제트를 공미로 내렸을 정도로 미드필더가 부족했었다.]이 손을 내밀었고 임대 생활을 거쳐 완전이적으로 팀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그래서인지 팀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임대 신분이었을 때부터 팀원들에게 소리치며 지시하는 장면들과 완전 이적한지 1년도 안 돼서 팀에 주장 완장을 찰 적임자가 없자[* 뭐 정확히 말하자면 아예 없던 것은 아니다. 다만 당시 후보들 중 하나였던 티어니는 끊임없는 부상, 자카는 주장 박탈 이슈 등으로 인해 임시 주장 까지는 수행한 적이 여러차례 있으나 정식으로 주장에 임명하기에는 힘들었다.] 자신이 완장을 이어받아서 정식으로 주장에 임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기는 물론이고 훈련에서도 매 순간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구너들 뿐만 아니라 팀원들에게도 찬사를 받을 때가 많다. * 22-23시즌 노팅엄과의 홈 경기에서 마르티넬리가 선제골을 기록하자 모두 모여 괴한에게 습격당한 [[파블로 마리]]의 유니폼을 잡고 쾌유를 비는 세리모니를 하였는데 이는 외데고르의 주도 하에 이루어진 세리모니라고 한다. 또한 레스터 시티와의 원정 경기 당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전쟁 1주년 기념으로 우크라이나 국적의 진첸코에게 당일 경기 한정으로 주장 완장을 넘기기도 했는데 이 역시 외데고르 주도 하에 이루어진 일이라고 한다. * 이미 많이 알려져있는 사실이지만 [[https://twitter.com/karthikadhaigal/status/1607430801578397696?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607430801578397696%7Ctwgr%5E29f4e0c4d19baa3d0a2ffa5b73bbfd56adaec1a8%7Ctwcon%5Es1_&ref_url=|어렸을 때에는 콥이었던 아버지를 따라서 리버풀을 응원했었다고 한다.]] 다만 현재는 그 어느 클럽에서 거액의 오퍼를 해도 당분간은 지금의 아스날에서 떠나고 싶지는 않다고 한다. * 22-23시즌 도중 진행됐던 인터뷰에서 밝히기를 자신이 슈퍼 유망주였던 시절 이적할 팀 후보 중 하나가 아스날이었는데, 당시 벵거가 본인의 집으로 초대해 저녁 식사 자리를 마련해준 적이 있다고 한다. 외데고르는 그 자리에서 감자튀김을 먹고 싶어했으나 벵거가 이를 좋지 않게 볼까봐 차마 먹지 못했다고...[* 벵거는 아스날의 식단을 뜯어고친 감독으로도 유명하다.] 참고로 벵거는 외데고르에 대해 정말 영입하고 싶었던 선수였으며[* 외데고르가 레알로 이적하고 나서도 꾸준히 모니터링을 했었다고 한다. 외데고르가 팀에 정착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임대 생활을 하는 것을 보고 그 뛰어난 재능을 만개하지 못할까봐 안타까웠다고..] 현재 아스날에서 활약하고 있는 것이 기쁘다고 말했다. 여담으로 저 당시 외데고르는 아스날에 대한 인상이 꽤 괜찮았었는지 아스날로 이적하고 싶었다고 한다. 다만 부모님과 상의해본 결과 '''[[레알 마드리드 CF|모든 축구선수들의 드림클럽]]'''으로 이적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이 나와 아스날로의 이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 외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1019_235501476_0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1019_235501476.jpg|width=100%]]}}}|| [[파일:odegaard1.jpg]] [[파일:odegaard.gif]] [[파일:odegaard2.gif]] 전형적인 북유럽 [[금발벽안]] 꽃미남 스타일. 레알 마드리드 이적 당시 잘생기고 앳된 외모로 유명했으며 외데고르는 현재 키가 커지고 어깨가 넓어지며 얼굴도 남자답게 잘생겨졌다. == 외데고르에 대한 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1019_234115491.jpg|width=100%]]}}} || >'''외데고르는 모든 행동과 태도에서 모범이 되는 선수다.''' >---- >호킨 아페리바이[* 레알 소시에다드 회장.] >'''아름다운 신부의 집 앞에는 항상 수많은 신랑감들이 줄을 서기 마련이다. 그 중에서 우리가 최고의 후보라고 생각한다.'''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스스로 할 때와 패스할 때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선수다. 자신과 팀에 가장 좋은 법을 찾는 능력이 좋다. 외데고르는 [[샤비 알론소|알론소]]를 직접적으로 떠올리게 하지 않지만 탁월한 패스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 다른 부분도 유사한 점이 많아 알론소 레벨까지 그리 멀지 않은 것 같다.'''[* [[http://naver.me/5I4J3dSX|#]]] >---- >로페스 우파르테[* 1958년생 스페인의 축구선수로 레알 소시에다드의 레전드이다.] > '''나뿐 아니라 많은 이가 잠재성이 풍부한 여러 재능을 알고 있다. 내 경우엔 외데고르를 가장 먼저 언급하고 싶다. 그는 열여섯 살 어린 나이에도 이미 한 명의 훌륭한 축구 선수다. 미래가 더 기대되는 남자.'''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외데고르는 이미 아스날의 리더다.''' >---- >[[미켈 아르테타]] >'''카스티야에서 지도할 때 그가 크게 될거라 확신이 했다.''' >---- >[[라울 곤살레스]] >'''그의 리더쉽은 누구나 쉽게 배울수 없다. 실력 역시 그렇다.''' >---- >[[엘링 홀란드]] >'''향후 몇 년후엔 외질을 잊을수 있게 할 존재다.''' >---- >[[데니스 베르캄프]] >'''나는 게임의 모든 면에서 그를 좋아한다. 수비와 공격에서 모두.''' >---- >[[아르센 벵거]] == 같이 보기 == [include(틀:프리미어 리그 주장)] [include(틀:아스날 FC)] [include(틀: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마르틴 외데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