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 other1=문장부호 숨김표 '○', rd1=숨김표)] [include(틀:한자 숫자)]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〇}}}영 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 부수가 없는 [[한자]]이다.]}}}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000,#fff 미배정}}}}}}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レ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ゼロ}}}}}}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í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〇.png]] [목차] [clearfix] == 개요 == '''[[零]](떨어질 령, 영 영)'''이 획수가 번잡한 관계로 쓰는 글자이다. 용례를 들자면 [[2023년]]을 二〇二三年으로 표기하거나 6200엔을 六二〇〇円으로 표기하는 식. [[관화]] 발음도 零과 똑같이 líng이다. 다만 숫자를 한 자리씩 쓸 때만 쓰이며, 三百零五(305) 같이 풀어서 쓰는 경우는 零을 그대로 쓴다. [[유니코드]]에서는 U+3007에 배정되어 있으며, 이름은 Ideographic Number Zero이다.[* 부수가 없어서 그런지 [[々]]나 [[〆]]처럼 특수기호 취급이다.] 한편 [[측천무후]]가 만든 [[측천문자]] 중의 하나이기도 한데, 훈음은 [[星]](별 성)과 동일했다. [[부수]]가 없는 유일한 한자다. 다만 일부 자전에서는 편의상 모양이 비슷한 [[囗]](큰입구몸)부 0획으로 넣기도 한다. == 입력법 == 한글 키보드의 [[한자 키]]에서는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한글 키보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따로 복사해서 붙여넣기해야 한다. 일본어 키보드에서는 [[제로|ぜろ]]나 'れい', 혹은 숫자 키패드에서 0을 통해 변환으로 입력이 가능하며, 중국어 키보드(병음입력)에서는 [[링|ling]]으로 입력 가능하다. [[창힐수입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지만 田(W)으로 배정되어 있긴 하다.[[http://www.cns11643.gov.tw/wordView.jsp?ID=82499|#]] == 유의자 == * [[零]](떨어질 령/영 영) == [[닮은꼴 문자]] == * '''[[0]](숫자)'''[* 애초에 이거 쓰려고 만든 한자다.] * [[ㅇ]](한글) * [[O]]/o(로마자) * [[Ο]]/ο(그리스 문자) * [[숨김표|○]](숨김표) * [[❍]](그림자가 있는 흰색 원) * ⁰(윗첨자 0)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어 훈독이 외국어인 한자]][[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