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목차] == 개요 ==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 '''{{{#!html }}}''' || '''{{{#!html }}}''' || ||<-2> || || '''국립국어원 표기법''' || 노 || || '''라틴 문자 표기''' || no || || '''IPA''' || [no̞][* [[치경음#s-2.1|유성 치경 비음]] + [[중모음#s-2.5|후설 원순 중모음]]인데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 || '''히라가나 자원''' || [[乃]]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乃]]의 [[약자(한자)|약자]] || || '''일본어 통화표''' || [[들#s-1|[ruby(野原, ruby=のはら)]]]のノ(노하라노 노) || || '''유니코드''' || U+306(C)E || || '''일본어 모스 부호''' || ・・-- || な행 お단 글자다. ==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 に를 제외한 な행은 [[치경음#s-2.1|유성 치경 비음]]이며, に는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음#s-2.1|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 ==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AE-bw.png|width=15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8E-bw.png|width=150]] 두 글자 모두 乃의 음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가끔 [[음차]]의 용법으로 이름 등에 の 대신 乃를 쓸 때가 가끔 있다. ([[아야노|綾乃]]-あやの)다만 의미를 살려서 쓰는 경우엔 ない나 だい로 읽는다. 내지(乃至;ないし) 등. 히라가나 の는 눈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도 눈 역할을 하고, [[아이돌 마스터]]의 [[아마미 하루카]]도 のヮの와 같은 표정을 지어서 [[노노와씨]]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회전하는 모양 같다고 루프 모양을 のの字(노 자)라고 하기도 한다. 가타카나 ノ는 모양이 간단한 가타카나 가운데에서도 가장 모양이 간단한 글자이다. 딱 한 획. 가타카나 ノ는 [[한자]] [[부수]] 丿와도 모양이 같다. 사실 유래가 된 한자 乃의 부수가 丿라는 점을 생각하면 거기서 유래되었다고 봐야 할 정도. 또한 같은 모양의 글자 [[한국어]] [[구결]]에도 쓰였다. 구결에서는 乎를 딴 것인데, '오'나 '호'로 읽는다. [[하다]] + 선어말어미 '-오-'로 쓰이는 예가 많다. == 한글 표기 == 무난하게 '노'로 적는다. == 쓰임 == === 소유격 の === 한국어의 '~의'와 유사하게 'A[[의]] B' 식으로 AのB라고 쓴다. 한국어에서는 한 문장 안에서 '~의'를 연달아 쓰지는 않으려는 것과는 달리 일본어에서는 の를 애용하는 편이다.[* 따라서 일각에서 지나친 '~의'의 사용은 [[일본어 잔재설|일본어 문법의 잔재]]이기 때문에 중복해서 쓰지 말자고 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비탁음]], [[오쿠리가나]]와 함께 언어적 성향이자 정체성으로 여기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의 の는 심지어 한자어에서도 종종 쓰이는데 한자로 쓸 때는 아예 생략하기도 하고(井上-いのうえ) 가타카나 ノ로 쓰기도 한다([[산노미야역|三ノ宮]]-さんのみや). 후자의 예시인 산노미야의 경우 JR은 三ノ宮로 적지만 다른 사철은 三宮로 적는 등 표기가 갈린다. 중간에 덜컥 가나가 나오고 '~의'라는 뜻이라는 면에서는 関ケ原(세키가하라)의 [[ケ]]와 비슷하다. [[한문]]으로는 보통 之로 적는다. 한국에서 之가 들어가는 사자성어들도 일본에선 히라가나로 の라고 쓸 때가 많다. 先見の明(선견지명), 管鮑の交わり(관포지교) 등. 중화권에서도 之를 쓰는 경우는 있지만 [[백화문]]과 그로부터 기원한 현대 [[표준중국어]]에서는 '-의'에 대응하는 표현으로 보통 [[的]]을 쓴다. 일본의 옛 [[우지(성씨)|성씨]]는 과거 유럽 성씨와 유사하게 'OO의 OO' 같은 식으로 쓰여서 ~の가 붙는 성씨가 좀 있다. '[[후지와라|후지와라노]]'나, '[[타이라 가문|타이라노]]' 등.[* 예를 들어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라는 이름은 성이 '미나모토노'인 게 아니라 '[[미나모토]] 가문의 요리토모'라는 뜻이다.] 아일랜드 이름의 o'(of의 생략)나 독일어의 [[폰]](von)과 비슷한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런 의미의 の가 들어간 작품은 히트를 친다는 전설(?)이 있다나 보다. 또한 한국어 '의'와는 달리 '~의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래저래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인이 일본어를 흉내낼 때 '노'를 넣는 경우가 많다. 오죽하면 일본어 매체를 접할 때 '''가장 먼저 자동적으로 익히는''' 단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 여러모로 [[프랑스어]]의 'de'나 [[페르시아어]]의 '-e'가 연상되는 문법이다. === 종결어미 のだ === 동사 뒤에 붙어서 のだ와 함께 쓰이면 단정하는 의미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앞서 の가 '~의 것'의 의미도 있으니 직역하면 '~인 것이다'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형용동사의 [[な]]와 붙어 [[나노다|なのだ]]라고 쓰는 표현도 있다. 그런데 한국어 '-는 것이다'가 단순히 강조적 용법이라 빼도 문제가 없는 데에 비해서 のだ는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학습에 주의를 요한다. 대표적인 용례가 상대방의 의문을 해결하는 용도. "明日、学校を休みます。病院に行く__んです__。"(내일 결석하겠습니다. 병원에 가__거든요__)(오다야스히로 2003: 242) 여기서는 行きます를 쓰면 다소 어색하다. "遅れたな" (늦었구나) - "寝坊したんです" (늦잠 잤거든요) 등과 같이 해명을 하는 발화에서도 のだ 문형이 자주 쓰인다. 이럴 때 "寝坊しました"라고 하면 "늦잠 잤습니다!"하고 왠지 좀 늦은 주제에 너무 당당한(?) 느낌이 든다나. 한국어에서는 이럴 때 '-거든'에 대응되기도 한다([[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649798|최진희 2007:579]])[* 최진희(2007),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篇 : 「のだ」と「거든」の旣定性に關する考察, 일어일문학연구, 63(1), 571-588.]. 그래서 [[http://kiss.kstudy.com/search/sch-result.asp|KISS 검색 결과]]를 보면 のだ 문형에 관한 논문도 상당히 많은 편.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977183|오다야스히로(2003)]][* 오다야스히로(2003), 초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노다」(のだ) 용법의 사용상 주의점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2(0), 235-256.],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416560|이남희(2004)]][* 이남희(2004), 문말표현「のだ」와 「것이다」의 대조고찰 -「のだ」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형식들-, 일본언어문화, 5(0), 63-83.] 등 참조. 명령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ex) 君が行くのだ 이 경우 한국어에서도 간혹 '네가 가는 거다' 식으로 말해도 비슷한 의미가 될 때도 더러 있다. 그러나 강도가 "돈 내놔"라고 말하는 것도 "お金を出すんだ"라고 할 수 있는 데 반해 '-ㄴ 것이다'는 그렇게 쓸 수는 없다. 회화에서는 のだ 그대로 쓰는 건 너무 딱딱하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んだ를 쓰는 편이다. 또한 이때의 のだ는 과거형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동사구의 주격 の === '내가 쓴 편지' 같은 문장에서처럼, 동사가 수식형으로 계속 이어지면, 다시 말해 안긴문장의 주격 조사로는 私'''の'''書いた手紙와 같이 の를 쓴다. 한국어에서는 이 경우에 앞서 썼듯이 이/가를 쓴다. 한국어에서도 간혹 '[[고향의 봄|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처럼 '의'를 쓸 때가 가끔 있었다.[* 국문법상 '의'는 주격 조사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의 가 붙은 형태는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때까지 흔히 쓰였는데 근본적인 이유는 한문의 之의 용법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일본어의 영향도 없진 않다.] === 종조사의 の === 어조를 드러낼 때 쓰이기도 한다. 여성어와 아어(兒語)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의문을 나타내거나 가벼운 단정 또는 상대를 설득할 때 쓰인다. 예를 들면 どこいくの?(어디 가니?), 知らないの。(몰라요), ピーマンもちゃんと食べるの。(피망도 제대로 먹는 거야.) 남성의 경우는 뒤에 だ, か, さ를 붙여서 각각 んだ,[* 회화체에서는 그대로 のだ를 쓰면 말투가 너무 딱딱해진다.] のか, のさ로 쓴다. 이 중 의문문 종조사의 の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두루 쓰이는 수준이 되었다. 또한 んだ는 평서문 종조사로 쓰일 때면 남녀노소 상관없이 쓰이며, 의문문에서는 んだ를 남성만 쓴다. == 한자 == === 음독 ===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ノウ || 뇌 ||悩[[脳]] || 농 ||[[農]]濃 ||납(納)[* 納入(のうにゅう, 납입), 納涼(のうりょう, [[납량]]), 収納(しゅうのう, 수납)에서. 본래 なふ였다가 [[순음퇴화]]한 것으로, 같은 계열의 음 ナッ, ナ, ナン으로 읽는 한자어들도 몇 개 있다.][br]능([[能]]) || === 훈독 === [[https://en.m.wiktionary.org/w/index.php?title=Category:Japanese_kanji_by_kun_reading&from=%E3%81%AE|#]] 의외로 많지 않은데, 之와 野 정도이다. 野는 の로 읽을 때가 굉장히 많아서 음으로 や라고 읽어야 할 것 같을 때도 훈으로 の라고 읽을 때가 가끔 있다. 野宿(のじゅく)라든가. '들 야' 자이다보니 일본인 성명에도 많이 쓰인다. '[[히라노]](平野)', '[[노다]](野田)', '[[노하라]](野原)', '[[노비(동음이의어)#s-5|노비]](野比)', '[[노구치]](野口)' 등. * の(野): 들 * のき(軒): 처마 * のち(後): 뒤 * のど(喉): [[목]] 안 * のがす/のがれる(逃す)[* 逃는 にがす로도 읽으나 그 때에는 [[오쿠리가나]]를 逃がす로 두 글자 달아 구별한다.]: 놓치다 * のこる/のこす(残る): 남기다 * のぞく(除く): 빼다[* 동음이의어 覗く(엿보다)는 표 외이다.] * [[노조무|のぞむ]](望む/臨む): 바라다, 따르다 * ののしる(罵る): 매도하다 * のびる/のばす/のべる (伸びる/延びる): 늘리다 * のべる(述べる): 진술하다 * のぼる/のぼせる/のぼす(上る/昇る/登る[* 昇る/登る는 のぼる만 인정된다.])[* '거스르다'라는 의미로 遡る(さかのぼる) 역시 "거꾸로+오르다" 식으로 합성된 단어이다.]: 오르다 * のむ(飲む): 마시다 * のる/のせる (乗る/載る): [[타다(동사)|타다]], [[싣다]] * のろう(呪う): 저주하다[* 표 외로 呪う를 まじなう라고도 읽는다.] == [[중국어]]에서의 사용? == 주로 [[대만]]이나 [[홍콩]] 같은 번체중국어권에서, 상술했듯 중국어에서 '~의'의 의미로 쓰이는 的이나 之를 の로 쓰는 경향이 있다.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고 일종의 유행에 가깝다고 한다. 다만 유행이라 해서 젊은층만 쓰는 건 아니고 특히 대만에선 민간 전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편이다. 원래 히라가나가 과거 중국에서 수입한 한자의 [[초서]]체를 변형해 만든 것이라 근본은 한자에 있기 때문에 거부감이 적기도 하고, 히라가나의 근본인 초서 자체가 손으로 쓰기 쉽도록 만든 [[필기체]]의 일종이므로 的이나 之보다 획수도 적고 선을 슥 그으면 끝이라 훨씬 쓰기 쉬우니까 중화권에서도 별 거부감 없이 섞어쓰는 듯하다. 예를 들어 홍콩 체인점 중 하나인 優之良品(아지 이치방)은 간판에 之 대신 の로 히라가나를 쓰기도 한다. 심지어 컴퓨터에서 병음으로 de(的)를 입력해 の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の가 당당히 등재된 중국어 사전이 간혹 보인다. [[간체]]를 사용하는 중국 본토에서도 대만만큼은 아니지만 的 대신 の를 구어체로 사용하고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기타 == 종종 일본 애니나 만화에서 캐릭터가 우울한 분위기로 혼자 주저앉아서 の자를 끄적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일본 공휴일]]에는 유독 の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어린이날]]은 子供__の__日이다. 2022년 현행 16개 일본 공휴일 중 명칭에 の가 들어가지 않는 공휴일은 설날(正月), 천황탄생일(天皇誕生日), 헌법기념일(憲法記念日) 3개뿐이고 나머지 13개에는 모두 の가 들어간다. [[분류:가나(문자)]][[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