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목차] == 개요 ==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 '''{{{#!html }}}''' || '''{{{#!html }}}''' || ||<-2> || || '''국립국어원 표기법''' || 모 || || '''라틴 문자 표기''' || mo || || '''IPA''' || [mo̞][* [[양순음#s-2.2|유성 양순 비음]] + [[중모음#s-2.5|후설 원순 중모음]]인데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 || '''히라가나 자원''' || [[毛]]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毛]]의 [[약자(한자)|약자]] || || '''일본어 통화표''' || [[단풍|もみじ]]のモ(모미지노 모) || || '''유니코드''' || U+308(E)2 || || '''일본어 모스 부호''' || -・・-・ || ま행 お단 글자이다. ==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양순음|양순 비음]]으로, 비음의 특성상 거의 유성음이며 탁음은 없다. 양순음이라는 점에서는 ば/ぱ행과 유사하다. [[일본 한자음]] 중 오음으로 ま행인 게 한음으로는 ば행인 것들이 있다. 이런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오음과 같이 ㅁ으로 읽는 글자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한음 ば행이 우세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お단은 장음을 -お와 -う 두 가지 방법으로 적을 수 있다. 이 문서 も의 경우 もお로 적는 일은 그다지 없고 주로 もう로만 적는다.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82-bw.png|width=22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A2-bw.png|width=225]] 둘 다 毛의 음에서 왔다. 현재는 장음이 되어서 もう라고 읽는다. 가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모양이 꽤 닮은 편이다. 조금 직선화한 느낌. 하지만 구분이 안 될 정도까지는 아니다. 히라가나 ま에서 꼬리를 바꾼 듯한 모양이기도 하다. ま의 유래가 된 末과도 아주 다르게 생기지는 않은 편. 원래 글자인 毛가 끝에 갈고리(적;翟)가 있는 글자인 만큼 꼬리가 달려있다. 이는 む(武) 역시 마찬가지. 가타카나는 한자 乇(부탁할 탁)과 닮았다. [[헤노헤노모헤지]]에서는 코 역할을 하고 있다. == 발음 == '모'라고 읽는다. 우리나라에선 '음메'라고 적는 소 우는 소리를 일본어로는 も라고 적기도 하는 듯. == 쓰임 == === ~도 === '~역시 그렇다' 라는 뜻으로 も를 쓴다. '그래도' 같은 표현에서도 똑같이 적용돼서, で'''も'''라고 쓴다. '~도~도' + (주로 부정형)의 표현이 일본어에는 꽤 많다. ねてもさめても(자나깨나), よるもひるも(밤낮으로), みもよもない(체면이고 뭐고 없다) もともこもない(원금도 이자도 없다;깡그리 잃었다) 등. 한국어로 치면 '이도저도', '오도가도' 같은 식의 표현이다. === ~이나 === 예상한 것보다 많을 때 쓰는 '~이나' 역시 일본어로는 も라고 쓴다. ex) 세 번이나 - 三度も === もう === '이제', '정말', '조금' 등등 다양한 뜻[* 굳이 그 어감을 [[한국어]]로 더 세밀하게 표현하면, '지금 시점에서는', '이제는', '여기서 더' 등에 가깝다. 이런 점에서 특이하게도 [[영어]]의 yet이나 already와 거의 뜻과 용법이 겹친다.]을 나타내는 부사. 줄여서 も라고 쓰기도 한다. 本当(ほんとう)를 ホント라고 줄여서 쓰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어에는 이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단어가 없다 보니 오역되는 경우가 많다[* もう起きた?(이제 일어났니?)를 '벌써 일어났니?'나 '이미 일어났니?' 등으로 일괄적으로 번역한다든지.]. 위에 적었듯이 소 우는 소리를 も라고 적기 때문에 엮어서 놀리는 농담도 있다. == 한자 == === 음독 === [[お]]단이 가끔 그렇듯이 단음 モ와 장음 モウ가 따로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 늘 'ㅁ'에 대응되며 대개 '모/무' 꼴이다. || '''日''' || '''韓''' || '''한자''' || '''특수''' || ||モ ||모 ||模 ||무(茂) || ||<|2>モウ ||망[br]맹[* 이 탭에 있는 글자들은 대개 본래 역사적으로 マウ였다가 후행 음절에 동화되어 モウ가 된 것이다.] ||網妄望亡[* '亡者'(망자;もうじゃ)만 モウ로 읽고 그 외에는 ボウ로 읽는다.][br]盲猛 ||<|2> || ||모 ||毛耗 || ||モク ||목 ||目木 ||묵(黙) || ||モツ ||물 ||物 || || ||モン ||문 ||文紋門問聞 || || ==== も vs. ぼ ==== ま행답게 ば행으로도 읽는 글자들이 몇 있다. 주로 も/ぼ가 대립하지만, ぶ로 읽을 때도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ㅁ으로 읽는다. * 模('''も'''ぼ):規模(きぼ) 模様(もよう) * 物(もつぶつ): 貨物(かもつ) 万物(ばんぶつ) * 文(もんぶん) [[조몬 시대|縄文]](じょうもん) [[문어체|古文]](こぶん) * 聞(もん'''ぶん'''): 風聞(ふうもん) [[신문|新聞]](しんぶん) * 亡(もう'''ぼう'''): [[망자|亡者]](もうじゃ) [[망명|亡命]](ぼうめい) * 望(もう'''ぼう'''): 大望(たいもう) (たいぼう도 됨) * 母(も'''ぼ'''): [[운모|雲母]](うんも) === 훈독 === 그렇게 많지 않다. 인터넷 [[은어(언어학)|은어]]로는 喪(상복 상)의 훈 も가 자주 쓰이는데, 뜻은 상관 없고 보통 モテない男/女의 줄임으로 喪男(모오)/喪女([[모조]])라는 표현을 쓴다. モテる는 아마 持つ에서 온 것 같으니 어원적으로는 持를 써야겠지만... == 기타 ==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すもももももも ~地上最強のヨメ~ )라고 제목에 も가 엄청 많이 들어가는 만화책이 있다. すもも(자두)나 もも(복숭아)나 둘 다 も가 두 개씩 들어가는 데다가 '~도'라는 뜻의 も가 들어가면 スモモもモモも(자두도 복숭아도) 라는 식으로 も를 여섯 번이나 연달아서 쓸 수 있는 것. [[일본어]]에서는 조사에서 억양이 꺾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조사인지 아닌지를 들어서 파악할 수 있다. [[분류:가나(문자)]][[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