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atmania IIDX 29 CastHour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 ||<:>{{{+1 [ruby(オールト, ruby=Oort)]の[ruby(雲, ruby=くも)]}}}|| ||<:>'''[[오르트 구름]]'''|| [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OSTER project]].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GALAXY QUEST[br]갤럭시 퀘스트 || [[BPM]] ||<-2> 215 || || 전광판 표기 ||<#454545><-6> '''{{{#FF5A00 OORT CLOUd}}}'''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6}}} || {{{#blue 617}}} [include(틀:CN)] || {{{#orange 9}}} || {{{#orange 1015}}} [include(틀:CN)] || {{{#red 11}}} || {{{#red 1335}}}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 6}}} || {{{#blue 612}}} [include(틀:CN)] || {{{#orange 9}}} || {{{#orange 973}}} [include(틀:CN)] || {{{#red 11}}} || {{{#red 1313}}}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9 CastHour|29 CastHour]] ~ === 싱글 플레이 === [youtube(6rWy9oFDUww)] SPA 영상 === 더블 플레이 === [youtube(eDBvw5v7S4E)] DPA 영상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OSTER project 이번 악곡은 제가 굉장히 좋아하는 「우주」라는 테마였기 때문에, 태양계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다는 「오르트 구름」을 형상화한 곡을 만들었습니다. 인류가 언젠가 이 구름 끝에 있는 경치를 바라볼 수 있는 날을 꿈꾸며….|| ||Visual / BEMANI Designers "猫味蕎麦" ☆ 어떤 별의 실험실에서 ☆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의 조상은 아득한 우주에서 왔다!」 「네.」 「그러니까 분명 그 밖에도 생물이 있는 별이 있을 것이다! 이 장치는 아득히 우주의 생물이 있는 별과 교신하는 장치이다! 이름은 『냥☆메다~』! 려 번역기능 포함! 메메짱이 들어봐라!」 「네~☆ 먼저 『냥☆메다~』를 전이 장치에 설치해, 각각의 목표 좌표를 자동 추적에 설정을. 『냥☆메다~』가 이 별 이외의 생체반응을 찾기 때문에 감지하면 그 좌표로 전이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음! 고마워!」 「역시 냐이로 박사. 아직 작아도 별 제일의 번뜩이는 소유자예요.」 「무슨 말을 해. 메메짱 조교의 힘이 있어야지!」 「어머나, 우후후후. 성공했으면 좋겠어요~.」 ☆ [[犬に雨傘|어떤 별의 깊은 숲]]에서 ☆ 「어머? 어느새? 처음 보는 거네.」 「흠. 세계를 누비는 나지만, 이건 본 적이 없는 물건이로군.」 「음. 누가 만든 것 같긴 한데……어!?」 ☆ [[innocent revolver|어떤 별의 상가건물]]에서 ☆ 「…응? 자고 그냥? 아? 이게 뭐야, 또 너의 귀찮은 장난감이야?」 「큰 호랑이는 실례입니다 냥, 나는 들고 냥... 어? 냥냥 이거!? 대단해!」 「오...? 오!?」 「야호!!! 난 로히야! 너희들은 어디에 살고 있느냐고~!?」 이리하여 박사의 실험은 무사히 성공하여 별들을 연결해 갔다. (※ 이 문서는 교신 장치 『냥☆메다~』에 녹음된 각 별의 대화를 자동 번역한 것이 바탕으로 되어 있습니다. 별들에 의한 뉘앙스의 차이는 생략, 혹은 우리 별에서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보충해서 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