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글자모)] ||<-2> '''{{{+3 ㄸ}}}''' || || 이름 || 쌍디귿 --띠귿-- || || 분류 || 자음(된소리) || || 음성 || t͈[* '''또''']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글 쌍자음의 두 번째 글자. [[ㅃ]], [[ㅉ]]와 함께 초성에서만 쓰이며 받침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옛한글]]에는 있었다.] 발음은 무성 치경 긴장 파열음으로, [[국제음성기호|IPA]]로는 [t͈]이다. 북한에서 조선어 신철자법을 시행할 때는 '띠ᄋ\ᅳퟍ(으+ㄸ)'이라고 쓰기도 했으나 이 철자법은 널리 쓰이지도 않았고 무엇보다 주동했던 김두봉의 숙청으로 얼마 못가 폐기되었다. 현재는 '된디읃'이라고 한다. 중세 국어 시절에는 ㄸ보다 ㅼ를 사용한 듯하다. > ... '''ᄯᆞ'''ᄅᆞ미니라 > ... '''따'''름이니라 ...이런 식으로.[* [[훈민정음]] 서문에 있는 부분을 발췌했다. 다만, 중세국어 초기 시절의 된소리를 [s\] 뒤의 음이 [[된소리]]가 되는것으로 인식하여서 저런 식으로 표기했다.] '-뜨리다' 꼴의 경우, '-트리다'와 복수 표준어 쌍을 이루고 있다. 빠뜨리다/빠트리다, 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 둘 다 맞는 표현. ㄸ은 d로 시작하는 외래어 발음을 나타내는 데 비공식적으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dance'는 '땐스'로, 'dollar'는 '딸러'로 발음하는 식이다.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dollar'를 발음할 때 '달라'가 아니라 '''딸라'''로 들린다. 또 영미권에서 [[욕]]으로 쓰이는 'damn'은 '댐'이 아니라 '''땜'''으로 들린다. ㄸ이 d발음으로 들린다는 말은 과학적으로도 근거가 있다. 한글의 치경 파열음들 중 ㄸ은 [[VOT]]값이 가장 작아 현재 외래어의 d발음 표기로 쓰이는 ㄷ보다도 VOT 값이 (-)값이 나오는 유성음에 근접하는 발음이다. 위와 같은 발음 현상도 그렇고, [[동국정운]]에서 아무 이유 없이 d로 시작하는 음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보면 된소리는 역사적으로 그랬듯 ㅅ계 합용병서를 쓰고, 외래어에는 ㄸ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근거가 있는데도 현 표기법에서는 유성음 표기에 ㄸ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쓰지 않고 있다. [[윈도우]]에서는 ㄸ을 치고 [[한자 키]]를 누르면 [[일본어]]의 [[히라가나]]를 입력할 수 있다. == 외래어에서 ==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예삿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구분이 없는 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쌍자음을 쓰지 않기 때문에, [[ㄲ]], [[ㅃ]], [[ㅆ]], [[ㅉ]]와 함께 외래어 표기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는다.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ㄸ가 쓰이는 언어들은 [[태국어]]와 [[베트남어]], [[미얀마어]]뿐이다. 한글로 표기할 때 쌍자음을 쓰는 다른 두 언어 [[중국어]]와 [[일본어]]에서는 각각 ㅆ그리고 ㅉ/ㅆ만 쓰고 ㄲ, ㄸ, ㅃ는 쓰지 않기 때문. [[태국어]] ต(무성[[치경음#파열|치경파열음]]): ต้มยำ กุ้ง [[똠얌꿍]]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모음 앞 t(무성[[치경음#파열|치경파열음]]): Tây Sơn [[베트남/역사#s-5.8|떠이선 왕조]](西山朝) 보통 미취학 아기들이 말이 어려워서 ㅅ, ㅆ 등을 ㄸ로 소리내며 [[애교]]부릴 때도 ㅅ나 ㅆ 등을 이 말로 바꾸기도 한다. 그리고 여자의 경우 이름 첫자가 ㅅ면 첫자가 ㄸ라고 하기도 한다. === 외래어 표기 문제 ===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t 발음이 ㅌ 말보다 ㄸ에 가깝다. 예를 들어 [[어린 왕자]]를 쓴 작가를 굳이 한글로 표기하자면 '생떽쥐베리'가 실제 발음에 가깝다. 그러나 표준표기법상 맞는 표기는 '생텍쥐페리'로 괴리가 있다. 흔히 '또띠야'나 '또르띠야'라고 부르는 것도 '[[토르티야]]'가 맞는 표기이다. 그러나, Cartier처럼 그런 거 무시하고 '까르띠에'를 공식 표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쉐]]와 마찬가지로 고유명사 처리되어 허용되는 경우이다.] 일본어에서도 유사한 경우가 있는데, 흔히 '낫또'라고 부르는 콩 발효 음식의 맞는 표기는 [[낫토]]이다. [각주] [[분류:한글 자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