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비정상회담)] ---- ||<-2>
[[파일:external/ww2.sinaimg.cn/74be57bajw8er8oks17a8j20dw0dwacx.jpg|width=100%]] || || '''{{{#white 명칭}}}''' || 世界青年说(Shìjièqīngniánshuō) || || '''{{{#white 원작}}}''' || [[비정상회담]]([[JTBC]]) || || '''{{{#white 방송사}}}''' || 장쑤위성 TV || || '''{{{#white 방송 시간}}}''' || 매주 목요일 오후 9시 20분 || || '''{{{#white 방송 기간}}}''' || [[2015년]] [[4월 16일]]~[[2016년]] [[3월 10일]](시즌1) || || '''{{{#white 진행}}}''' || [[류옌]], 선링(沈凌), 펑위(彭宇) || || '''{{{#white 링크}}}''' || [[http://www.jstv.com/n/ws/abrightworl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xS2KvwUr-hk&list=PLtFDvh1SGFq8rHV-FiL95SCaIR2yWK3n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weibo.com/1958631354|[[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 [[파일:external/imgbdb3.bendibao.com/20153241483401.jpg|width=100%]] || [[중국]]의 지역 방송[* 지역 방송이라고 해서 한국의 지역 방송국을 생각하면 안 된다. 땅도 넓고 인구도 많은 중국 특성상, 한 지역에서만 이름이 알려져도 웬만한 나라에서 전국구급으로 뜬 연예인 취급받을 수 있다.]인 장쑤위성TV에서 2015년 4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방송되었던 예능 프로그램이다. 중국판 [[비정상회담]] 그 자체이며, JTBC로부터 '''정식으로 포맷을 수입했다.''' '스제칭녠숴(世界青年说, 세계청년설)'라는 제목 그대로 세계의 청년들이 모여 떼토크를 벌인다는 매우 직설적인 제목이다. 영어로 'A Bright World'라는 부제도 붙어 있다. == 출연진 == === MC === 초기 멤버는 리하오(李好), 샤오민(晓敏), 펑위(彭宇)이며, '전유성'이 있는 [[비정상회담]]과 달리 이들 MC를 따로 묶어 부르지는 않는 듯하였으나, 3회부터 리샤오펑(李晓彭)이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샤오민이 정했다. 5회부터 펑위, 선링(沈凌) 듀오로 변경되었다. 펑위가 대리의장(代理议事长), 선링이 부의장(副议事长)을 맡았다.[* 첫 소개를 할 때 펑위가 자신을 '대리'의장이라고 소개한 뒤에 선링이 자신을 '정식'부의장이라고 소개했다. 자막에는 부의장(副议事长)이라고만 적은 걸로 보아 그냥 한 소리인 것으로 보인다.] 22회부터는 [[류옌]]이 비서실장으로 참여했다. === 패널 === 원판 [[비정상회담]]에 G11이 있듯 여기서도 레귤러 멤버 그룹을 부르는 TK-11(The Key - 11)로 부른다. 중국어의 구조상 출연자의 본 이름 외에, 한자로 음차한 중국어명을 따로 사용한다. 아래 모든 외국인명은 우리나라의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어 작성한다. 참고로 구로키 신지는 정식 출연자는 아니다. ||
'''국가''' || '''성명''' || '''중국어명''' || || [[미국]] || 마틴 와일리 우즈[br](Martin Wiley Woods Jr.) || 孟天[br](멍톈) || || [[독일]] || 파트리크 쾰머[br](Patrick Köllmer) || 吴雨翔[br](우위샹) || || [[한국]] || 한동수[br](韓東秀) || 韩东秀[br](한둥슈) || || [[이탈리아]] || 로메오 마티아[br](Romeo Mattia) || 罗密欧[br](뤄미어우) || || [[태국]] || 무앙품 한시리뻿[br](เมืองฮาสินค้าซีรีส์แพทช์) || 韩冰[br](한빙) || || [[호주]] || 캐머런 앤더슨[br](Cameron Anderson) || 安龙[br](안룽) || || [[러시아]] || 다비트 콜로소프[br](Давид Колосов) || 大卫[br](다웨이) || || [[이란]] || 푸야 아마니[br](پویا امانی) || 普雅[br](푸야) || || [[코스타리카]] || 페냐 이사크[br](Peña Isaac) || 穆雷[br](무레이) || || [[영국]] || 블레어 슈거먼[br](Blair Sugarman) || 布莱尔[br](부라이얼) || || [[캐나다]] || 제임스 앨로프스[br](James Alofs) || 詹姆斯[br](잔무쓰) || || [[일본]] || 쿠로키 신지[br](黒木真二) || 黑木真二[br](헤이무 전얼) || == 기타 == * 2회에서 [[비정상회담]]의 [[중국]] 대표인 [[장위안]]이 [[https://www.youtube.com/watch?v=jsLztCr8DOs|게스트로 출연했다.]] ~~"아 그래요?"~~ ~~"아 고마워요."~~ ~~"어 열심히 하면 될 거 같아요."~~ 원류인 비정상회담에서 세계청년설 출연 소감을 이야기했다. * 한국 대표 패널로 출연 중인 한동수는 [[베이징대학]]을 졸업하고 중국의 여러 방송에 출연한 경험이 있는 준 방송인이다. 프로그램 초기에는 사실상 [[병풍]]이었으나 점차적으로 --허당-- 캐릭터를 잡아가면서 분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패널 수가 많은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분량에 기복이 있기는 하다. 프로그램 내에서 이미지가 약간의 [[국뽕]]을 맞은 허당같아 보인다는 점에서 [[장위안]]의 이미지와 맥락이 비슷하다는 평이 있다. * 전체적으로 비정상회담보다는 예능 분위기가 강하다. 비정상회담의 경우 일단 토론으로 들어가면 중재가 힘들 정도로 격론까지 흘러가는 일이 굉장히 흔한 반면, 세계청년설은 그냥 예능적인 분위기로 줄곧 흘러간다. * JTBC 비정상회담 70회에 한동수가 출연했다. --[[전현무|???]]: 밉상이네--[* 사우디아라비아 출연자의 거짓말 의혹으로 70회는 다시보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 초기 MC 3인방 중 개그맨과 MC를 겸업하는 펑위와 달리, 리하오와 샤오민은 장쑤위성TV 전속 아나운서이다. 그런데 이 두 아나운서는 2011년에 결혼한 부부이다. 샤오민의 원래 이름은 "궈샤오민(郭晓敏)"이지만 통일성을 위해서인지 성을 떼고 이름만 명판에 적어놓았다. * 이후 보조 MC였던 펑위가 메인 MC가 되고 선링이 새로운 보조를 맡아 2MC 체제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배틀 요소를 상당히 가미했다. * 17화와 18화에 대리 출연했던 구로키 신지가 보여준 [[재플리시|일본식 영어]]가 인터넷에서 인기를 얻어 29화부터 '인턴'으로서 출연했다. * 22회부터 홍일점인 [[류옌]]이 들어오면서 여자와 남자의 입장을 모두 들어볼 수 있게 되었다. * 시즌제답게 다음 시즌을 기다려달라고 했지만 종영되었다. 요즘 외국인 떼토크 프로그램은 후베이위시의 비정식회담이 명맥을 잊고 있다. *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인해 한국 대표 한동수가 나오지 못한다는 말이 있었다. 황치열이나 다른 한국 연예인들의 피해 사례를 봤을 때 꽤 신빙성 있는 이야기다. 결국 시즌 2는 한동수를 제외하고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여담이지만 한 화에서 중국인들이 생각하길 ‘한국에서 공자가 한국인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런데 한국대표는 한국인들은 공자를 '중국인이라고 잘 알고 있다'라고 확실하게 못을 박고 해명하였다. 그래서 방송 이후 오해가 풀렸다는 중국인들의 댓글이 많았다고 한다. [각주] [[분류:중국의 예능 프로그램]][[분류:비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