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乏}}}모자랄 핍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丿|{{{#000,#fff 丿}}}]],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ボウ, {{{#c88 ホ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ぼ-しい{{{#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á{{{#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乏획순.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乏은 ''''모자랄 핍''''이라는 [[한자]]로, '모자라다', '가난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E4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INO(竹戈弓人)로 입력한다. [[正]](바를 정)을 좌우 뒤집어 쓴 [[지사자]]로, 부정(不正)에서 나오는 부족함을 뜻한다. 원래 본음은 '법'이다. 【唐韻】房法切(ㅂ+ㅓ+ㅂ=법)【集韻】【韻會】扶法切(ㅂ+ㅓ+ㅂ=법),音伐(음은 伐이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한국 한자음에서만 뜬금없이 '핍'으로 바뀌었다. == 용례 == === [[단어]] === * [[결핍]]([[缺]]乏) * 곤핍([[困]]乏) * 궁핍([[窮]]乏) * 빈핍([[貧]]乏) * 절핍([[絶]]乏) * 핍혈(乏[[血]]) === [[창작물]] === * 貧乏令嬢の勘違い聖女伝([[거지 영애의 착각 성녀전]]) == 유의자 == * [[缺]](이지러질 결) * [[貧]](가난할 빈) == 상대자 == * [[足]](발 족)[* '발'이라는 뜻 외에 '만족하다'라는 뜻이 있다.] * [[餘]](남을 여) * [[贏]](남을 영) * [[剩]](남을 잉) * [[殘]](잔인할 잔, 남을 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泛]](뜰 범) * [[之]](갈 지) * [[貶]](낮출 폄)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