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합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伎}}}재간 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 {{{#c88 ギ}}}}}}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くみ, わざ}}}}}}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伎는 ''''재간 기''''라는 [[한자]]로, '재간', '재능', '재주'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F0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JE(人十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支]](지탱할 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가부키]]([[歌]][[舞]]伎) * 기량(伎[[倆]]) * 기벌포(伎[[伐]][[浦]]) * [[기벌포 전투]](伎[[伐]][[浦]] [[戰]][[鬪]]) * 기악백희(伎[[樂]][[百]][[戱]]) * 기양(伎[[癢]]) * 기양증(伎[[癢]][[症]]) * 기예천(伎[[藝]][[天]]) * 기회(伎[[會]]) * 고려기([[高]][[麗]]伎) * 고창기([[高]][[昌]]伎) *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 * 문강기([[文]][[康]]伎) * 백제기([[百]][[濟]]伎) * 보기([[寶]]伎) * 사자기([[師]][[子]]伎/[[獅]][[子]]伎) * 신라기([[新]][[羅]]伎) * 안국기([[安]][[國]]伎) * 연악기([[宴]][[樂]]伎) * 오기([[五]]伎) * 잡기([[雜]]伎) * 천축기([[天]][[竺]]伎)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현기환]]([[玄]]伎[[煥]])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技]](재주 기) * [[倆]](재주 량) * [[術]](재주 술) * [[藝]](재주 예) * [[材]](재목 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鼓]](북 고) * [[攱]](실을 궤) * [[頍]](머리 들 규) * [[岐]](갈림길 기) * [[妓]](기생 기) * [[蚑]](길 기) * [[歧]](두갈래길 기) * [[忮]](사나울 기) * [[庋]](시렁 기) * [[技]](재주 기) * [[䞚]](큰 나무에 기어오를 기) * [[翅]](날개 시) * [[豉]](메주 시) * [[鈘]](가마솥 의) * [[吱]](가는 소리 지) * [[枝]](가지 지) * [[馶]](굳셀 지) * [[鳷]](새매 지) * [[䧴]](지작관 지) * [[支]](지탱할 지) * [[肢]](팔다리 지) * [[䚳]](쾌할 치)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