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佐}}}도울 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け, たす-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uǒ{{{#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佐는 ''''도울 좌''''라는 [[한자]]로, '돕다'를 뜻한다. 상대어는 도울 우([[佑]])인데, 우리말 훈만 보면 동의어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동의어가 아니다. 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돕는 것, [[佑]]는 반대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돕는 것이다. 중국 문화에서도 오른쪽(右)보단 왼쪽(左)을 낮추어 보았기 때문에, 左에 사람 인 변을 붙인 佐는 낮은 사람이 행위의 주체가 되었다. 그래서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을 도와주는 직책이 [[보좌관]](補佐官)이라 불린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F5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大一(OKM)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左]](왼 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보좌([[補]]佐/[[輔]]佐) * [[보좌관]]([[補]]佐[[官]]) * 자반(佐飯)[* 원래 좌반이라고 불렀다.] === [[인명]] === * [[김좌겸]]([[金]]佐[[謙]]) * [[김좌진]]([[金]]佐[[鎭]]) * [[박좌헌]]([[朴]]佐[[巘]]) * [[부좌현]]([[夫]]佐[[炫]]) * [[사나기 사다무]](佐[[薙]] [[毅]]) * [[사다쿠니 잇키]](佐[[田]][[国]] [[一]][[輝]]) * [[사도하라 카오리]](佐[[土]][[原]] かおり) * [[사사키 사야카]](佐[[咲]] [[紗]][[花]]) * [[사시로노 야요이]](佐[[代]][[野]] [[弥]][[生]]) * [[사토]](佐[[藤]]) 성씨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 * [[사코 토모히사]](佐[[香]] [[智]][[久]]) * [[사쿠라 아야네]](佐[[倉]] [[綾]][[音]]) * [[사쿠 타츠히코]](佐[[久]] [[辰]][[彦]]) * [[신좌모]]([[申]]佐[[模]]) * [[오모사다케 후토시]]([[重]]佐[[武]] ふとし) * [[우사미 쥰페이]]([[宇]]佐[[美]] [[純]][[平]]) * [[유사 시로]]([[遊]]佐 [[司]][[狼]]) * [[유현좌]]([[劉]][[玄]]佐) * [[이나바 카게로자]]([[因]][[幡]] [[影]][[狼]]佐) * [[이인좌]]([[李]][[麟]]佐) * [[와타나베 리사]]([[渡]][[邉]] [[理]]佐) * [[츠무기 리사]]([[紡]][[木]] [[吏]]佐) * [[히메가미 사쿠야]]([[秘]][[上]] 佐[[久]][[夜]]) === [[지명#s-2]] ===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가좌동]]([[佳]]佐[[洞]]) * [[가좌역]]([[加]]佐[[驛]]) * [[사바네역]](佐[[羽]][[根]][[駅]]) * [[유자역]]([[遊]]佐[[駅]]) * [[좌동]](佐[[洞]]) * [[좌천역]](佐[[川]][[驛]]): 부산1호선 좌천역과 동해선 좌천역은 한자가 서로 같다. === [[창작물]] === * [[佐世保の時雨]]([[사세보의 시구레]]) == 유의자 == * [[補]](도울 보/기울 보) * [[輔]](도울 보) * [[扶]](도울 부) * [[佑]]/[[祐]](도울 우) * [[援]](도울 원) * [[助]](도울 조) * [[贊]](도울 찬) * [[弼]](도울 필) * [[護]](도울 호) == 상대자 == * [[忓]](방해할 간) * [[妨]](방해할 방)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