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俟}}}기다릴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ま-つ}}}}}}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í, s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俟는 ''''기다릴 사''''라는 [[한자]]로, '기다리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FD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IOK(人戈人大)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矣]](어조사 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竢(U+7AE2)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사명(俟[[命]]) * 사사(俟俟) * 상사([[相]]俟)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사인리(俟[[仁]][[里]])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儝]](기다릴 경) * [[待]](기다릴 대) * [[𢔇]](기다릴 도) * [[𡱢]](기다릴 사) * [[𩓣]](기다릴 수) * [[𣥇]](기다릴 신) * [[𨀉]](기다릴 저) * [[𥩣]](기다릴 주) * [[㱖]](기다릴 취) * [[徯]]/[[𥪦]](기다릴 혜) * [[傒]](기다릴/가둘 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竢]]/[[𢓪]](기다릴 사) * [[𥒲]](돌떨어지는소리 사) * [[涘]](물가 사) * [[㸻]](소 사) * [[䀵]](깜작일 순, 눈짓할 시) * [[𢏦]](길 신) * [[娭]](계집종 애, 희롱할 희) * [[唉]](물을 애) * [[挨]](밀칠 애) * [[㶼]](빛날 애, 불길세찰 희) * [[騃]](어리석을 애) * [[埃]](티끌 애) * [[𠤘]](어조사 의)[* [[矣]](어조사 의)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𦩈]](새쏘는화살 주) * [[誒]](탄식할 희) * [[𥏖]](심) * [[𢚝]] * [[𫞀]] * [[𫆆]] * [[𨧚]]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