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싱글, rd1=信じていれば)] [[분류: 일본 노래]][[분류: 1988년 음반]] ||<-5><:><#C0D84D> '''[[C-C-B|{{{#OliveDrab C-C-B}}}]]{{{#OliveDrab 의 정규 앨범}}}''' || ||<#FFFFFF><:> [[走れ☆バンドマン|{{{#6B8E23 走れ☆バンドマン }}}]][br](1988)||<#FFFFFF><:> {{{+1 →}}} ||<#FAFAD2><:> {{{#6B8E23 '''信じていれば'''}}}[br](1988) ||<#FFFFFF><:> {{{+1 →}}} ||<#FFFFFF><:> [[|{{{#6B8E23 해산 }}}]][br]|| ||<-2>
<#6B8E23> '''{{{+2 信じていれば}}}[br]믿고 있으면'''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hinjite ireba ccb.png|width=100%]]}}}|| || 아티스트 ||<#ffffff> [[C-C-B]] || || '''{{{#C0D84D 러닝타임}}}''' ||<#ffffff> - || || '''{{{#C0D84D 발매일}}}''' ||<#ffffff> 1988년 12월 25일 1994년 10월 26일(Plus판) 2015년 1월 21일(SHM-CD) || || '''{{{#C0D84D 장르}}}''' ||<#ffffff> [[J POP]] || || '''{{{#C0D84D 곡 수}}}''' ||<#ffffff> 10곡 || || '''{{{#C0D84D 최고순위}}}''' ||<#ffffff> - || || '''{{{#C0D84D 레이블}}}''' ||<#ffffff> '''[[유니버셜 뮤직 재팬]]''' || || '''{{{#C0D84D 프로듀스}}}''' ||<#ffffff> - || [목차] == 개요 == 일본 록밴드 [[C-C-B]]의 마지막 정규 [[앨범]]. == 수록곡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1 || '''Helter Skelter''' || {{{-2 카와무라 마스미}}} || {{{-2 류 코지}}} || - || || 2 || '''Rainy Farewell・・・アメノチワカレ''' (Rainy Farewell・・・비 온뒤 이별) || {{{-2 와타나베 히데키}}} || {{{-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 || 3 || '''BEAT the MEAT''' ||<-2> {{{-2 와타나베 히데키}}} || - || || 4 || '''Born in the 60's''' || {{{-2 와타나베 히데키}}} || {{{-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 || 5 || '''もう、遅すぎて''' (이미 정말 늦어서) || {{{-2 麻亜一花}}} || {{{-2 타구치 토모하루}}} || - || || 6 || '''[[信じていれば]]''' (믿고 있으면) || {{{-2 와타나베 히데키}}} || {{{-2 요네카와 히데유키}}} || {{{-2 13번째 싱글}}} || || 7 || '''Blue Guitar''' || {{{-2 [[마츠모토 타카시]]}}} || {{{-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 || 8 || '''ひとりの世界''' (혼자의 세계) ||<-2> {{{-2 와타나베 히데키}}} || - || || 9 || '''Ass Fool''' || {{{-2 와타나베 히데키}}} || {{{-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 || 10 || '''[[信じていれば|A-Ki-Ra-Me-Na-I-De]]''' || {{{-2 와타나베 히데키}}} || {{{-2 타구치 토모하루}}} || || === 1. Helter Skelt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VIfXO5W5ZY)]}}} || ||<#C0D84D> '''{{{#FFFFFF 라이브 영상}}}''' || || {{{#!folding【Helter Skelter 가사 - 접기/펼치기】 Bad girl 狙いつけて ヤワなくちびる Bad trip 酔い戻しの 甘い視線を ステージ 上から 決めうちで投げて キミ理性(りせい)は粉々だぜ だけど... Bad luck 暗闇から ヤツのギターに Bad dream からまれてる キミがほほ笑む スピーカー邪魔で見えないのさ とても Love song 歌えるバアイじゃない だけど... この手を止めて ステップ止めて But I'm in helter skelter Ah 飛び降りたいのに スリーデイズ・ライブの最終日 決めの フレーズ マジで間違えそう だから... 時計を止めて リズムも止めて But I'm in helter skelter Ah 取り戻したいよ }}} || || '''{{{#C0D84D 제목}}}''' ||<#FAFAD2> Helter Skelter || || '''{{{#C0D84D 작사}}}''' ||<#FAFAD2> 카와무라 마스미 || || '''{{{#C0D84D 작곡}}}''' ||<#FAFAD2> 류 코지 || || '''{{{#C0D84D 편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2. Rainy Farewell・・・アメノチワカレ === || '''{{{#C0D84D 제목}}}''' ||<#FAFAD2> Rainy Farewell・・・アメノチワカレ (Rainy Farewell・・・비 온뒤 이별)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C0D84D 편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3. BEAT the MEAT === || '''{{{#C0D84D 제목}}}''' ||<#FAFAD2> BEAT the MEAT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편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4. Born in the 60'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fneUtVV2DA)]}}} || ||<#C0D84D> '''{{{#FFFFFF }}}''' || || {{{#!folding【Born in the 60's 가사 - 접기/펼치기】 転がり出した Big Generation 구르기 시작한 Big Generation だけどまだ ボクは 그래도 아직 나는 何も知らずに 泣いていた 아무것도 모른채로 울고 있었어 Peace & Love 何故あれほど 어째서 그것만은 誰もがひとつになれたの? 누군가도 하나가 될 수 있었을까? ボクにはまだ 나에게는 아직 愛する意味それさえも I Don't Know. 사랑하는 의미 그것조차도 I Don't Know. 判らない 알 수 없어 Born In The 60's! Yeah!! 争いが起こる理由 싸움이 일어나는 이유 判りたい 알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胸の奥のかすかな記憶 가슴 속의 아련한 기억 1.9.7.6 Oh! いつも 1.9.7.6 Oh! 언제나 中途半端な One Night Stand Love. 어중간한 One Night Stand Love. でも彼女だけは 그래도 그녀만큼은 皆んなとちがう 目をしてた 남들과는 다른 눈을 하고있었어 一人ずつ 한 사람씩 さよならさえ 작별의 인사를 言わないで消えて行くよ 말하지 말아줘 사라져 갈거야 彼女もまた 그녀도 같이 生まれた家、飛び出した Drop Out. 태어난 집, 튀어나왔어 Drop Out 笑えない 웃을 수 없어 Born In The 60's! Yeah!! テストだけで振り分け 테스트 만으로 배정 받아 笑いたい 웃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夢の描き方を教えて 꿈을 그리는 방법을 가르쳐줘 やがていつか 이윽고 언젠가 自分の子供が生まれ 자신의 아이가 태어나서 彼になにを 그에게 무엇을 与えて上げられるのか I Don't Know. 전해줄 수 있을까 I Don't Know. 伝えたい 전하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いま、必要なのは Friends. 지금, 필요한 것은 Friends. 叶えたい 이루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子供達のうた声 아이들의 노랫소리 伝えたい 전하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いま、必要なのは Friends. 지금, 필요한 것은 Friends. 叶えたい 이루고 싶어 Born In The 60's! Yeah!! 君が描く夢と願いを…… 그대가 그리는 꿈과 소원을...... }}} || || '''{{{#C0D84D 제목}}}''' ||<#FAFAD2> Born in the 60's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C0D84D 편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5. もう、遅すぎて === || '''{{{#C0D84D 제목}}}''' ||<#FAFAD2> もう、遅すぎて (이미 정말 늦어서) || || '''{{{#C0D84D 작사}}}''' ||<#FAFAD2> 麻亜一花 || || '''{{{#C0D84D 작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C0D84D 편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6. [[信じていれば]] === || '''{{{#C0D84D 제목}}}''' ||<#FAFAD2> 信じていれば (믿고 있으면)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C0D84D 편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타구치 토모하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信じていれば)] === 7. Blue Guita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g-benERYto)]}}} || ||<#C0D84D> '''{{{#FFFFFF }}}''' || || {{{#!folding【Blue Guitar 가사 - 접기/펼치기】 濡れた石畳 君はぼくを見つけると 鞄を投げ出し両手広げ駆けて来た 雨のマンハッタン 昔の仲間も待ってる 部屋もあの日のままだよ 振り返らないで 時は前に進むから 離れて生きてた青い日々を消してくれる 揺れるくちびる 胸のふくらみのかたさも ぼくの指が憶えてた You And Me And My Guitar 窓の枠に腰かけて You And Me And My Guitar また一緒に歌えるね うまくハモれずに照れ笑いしながら 悩んだことさえも いつか楽しい想い出 ぼくのあやまちは 君を手放したことだけ 雨のヴェールが 涙をかくしてくれるさ ビルがにじんだ街角 You And Me And My Guitar 錆びた弦をはり替えて You And Me And My Guitar ワインの瓶飲み干して あの歌のコード まだ忘れてないよ You And Me And My Guitar 窓の枠に腰かけて You And Me And My Guitar また一緒に歌えるね うまくハモれずに照れ笑いしながら You And Me And My Guitar 古い傷はあるけれど You And Me And My Guitar また綺麗な音で鳴る 君が眠るまで弾いていてあげるよ }}} || || '''{{{#C0D84D 제목}}}''' ||<#FAFAD2> Blue Guitar || || '''{{{#C0D84D 작사}}}''' ||<#FAFAD2> [[마츠모토 타카시]] || || '''{{{#C0D84D 작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C0D84D 편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8. ひとりの世界 === || '''{{{#C0D84D 제목}}}''' ||<#FAFAD2> ひとりの世界 (혼자의 세계)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편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9. Ass Fool === || '''{{{#C0D84D 제목}}}''' ||<#FAFAD2> Ass Fool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C0D84D 편곡}}}''' ||<#FAFAD2> 요네카와 히데유키 || === 10. [[信じていれば|A-Ki-Ra-Me-Na-I-De]] === || '''{{{#C0D84D 제목}}}''' ||<#FAFAD2> A-Ki-Ra-Me-Na-I-De (포기하지 말아요) || || '''{{{#C0D84D 작사}}}''' ||<#FAFAD2> 와타나베 히데키 || || '''{{{#C0D84D 작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 '''{{{#C0D84D 편곡}}}''' ||<#FAFAD2> 타구치 토모하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信じていれば)] == Plus판 == === 보너스 수록곡 === * [[Love Is Magic]] * [[Love Is Magic|約束]] (약속) * Let's Go Climax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8IaqEqvJpY)]}}} || ||<#C0D84D> '''{{{#FFFFFF 86年 C-C-B LIVE 晴 라이브 영상}}}''' || || {{{#!folding【Let's Go Climax 가사 - 접기/펼치기】 ウクレレシャウトさ今夜 우쿠레레 샤우토사 콘야 우쿨렐레 Shout야 오늘밤 君とマキシムで Monkey Do Do 키미토 마키시무데 Monkey Do Do 그대와 격언으로 Monkey Do Do 3回イカセて僕のものにする 산카이 이카세테 보쿠노 모노니스루 세번을 살려서 나의 것으로 만들어 勝つか負けるか 今に分かる 카츠카 마케루카 이마니 와카루 이기는지 지는지 지금 알 수 있어 僕はタフガイ 보쿠와 타후가이 나는 [[터프가이]] Doki Doki In My Heart 도키 도키 In My Heart 두근 두근 In My Heart Take A Take A Take A Chance ムードはなくても 男は 무-도와 나쿠테모 오토코와 Mood는 없더라도 사나이는 レッツゴー クライマックス 레츠고- 클라이맥스 Let's Go Climax Doki Doki In My Heart 도키 도키 In My Heart 두근 두근 In My Heart Take A Take A Take A Chance 愛はおあずけ 僕は 아이와 오아즈케 보쿠와 사랑은 잠시 미룰게 나는 いつでもDa Da Da 이츠데모 Da Da Da 언제까지나 Da Da Da マシュマロウェイブで今夜 마슈마로 웨이브데 콘야 [[마쉬멜로]] 웨이브로 오늘 밤 君とバンクーバー・マドリード 키미토 반쿠바 마도리도 그대와 벤쿠버 마드리드 3回つねって僕は目が覚める 산카이 츠넷테 보쿠와 메가 사메루 세번 꼬집어서 나는 눈을 떴어 夢か幻 恋はカリスマ 유메가 마보로시 코이와 카리스마 꿈은 환상 사랑은 [[카리스마]] 僕はダイナマイト 보쿠와 다이너마이트 나는 다이너마이트 Doki Doki In My Heart 도키 도키 In My Heart 두근 두근 In My Heart Take A Take A Take A Chance ムードはなくても 男は 무-도와 나쿠테모 오토코와 Mood는 없더라도 사나이는 レッツゴー クライマックス 레츠고- 클라이맥스 Let's Go Climax Doki Doki In My Heart 도키 도키 In My Heart 두근 두근 In My Heart Take A Take A Take A Chance 愛はおあずけ 僕は 아이와 오아즈케 보쿠와 사랑은 잠시 미룰게 나는 いつでもDa Da Da 이츠데모 Da Da Da 언제까지나 Da Da Da レッツゴー レッツゴー 레츠고 레츠고 Let's go let's go ゴーレッツゴー 고 레츠고 Go let's go }}} || [[C-C-B]]의 '''숨겨진 명곡'''. 84년 말에 처음 노래한 이후 오랫동안 미음원화 되었었던 노래였지만 C-C-B의 마지막 앨범 信じていれば에 정식으로 라이브 버젼으로 보너스 수록되었다. 콘서트의 활기를 더욱 높여주는 노래로 멤버들이 가사를 읆고 팬들이 이어서 let's go let's go를 외치는 장면과 노래의 끝 부분에 다다라 다 같이 부를 때는 저절로 몰입이 되어 감동이 들 정도. 파이널 콘서트에서 마지막 트랙리스트로 채택되어 공연을 진행하였다. 시간이 흐른 2013년에도 라이브를 선보였다.[[https://youtu.be/c-CHQ067yhI|#]]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