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倜}}}얽매이지않을 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テ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倜은 ''''얽매이지않을 척''''이라는 [[한자]]로, '얽매이지 않다', '기개 있다'를 뜻한다. ''''기개 있을 척''''이라고도 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周]](두루 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01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BGR(人月土口)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척당(倜[[儻]]) * 척연(倜[[然]])[* 국어사전에는 나오지 않으나, 《荀子·君道》에 나오는 어휘로서 어느 곳에 얽매이지 않고 고상하고 초연하다는 뜻이다.] === [[고사성어]]/[[숙어]] === * [[척당불기]](倜[[儻]][[不]][[羈]]) === [[인명]] === * [[자오티]]([[趙]]倜)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禂]](빌 도) * [[𦩍]]^^[⿰舟周]^^(작은배 도, 배이름 초) * [[調]](고를 조) * [[𩋙]]^^[⿰革周]^^(깃대의싸개 조) * [[鯛]](도미 조) * [[碉]](돌집 조) * [[㚋]](많을 조) * [[蜩]](매미 조) * [[啁]](비웃을 조, 새소리 주) * [[稠]](빽빽할 조) * [[㟘]](산모양 조) * [[錭]](새길 조) * [[凋]](시들 조) * [[琱]](아로새길 조) * [[𩈮]]^^[⿰面周]^^(익힐 조) * [[㨄]](찌를 조) * [[徟]](가는모양 주) * [[𥺝]]^^[⿰米周]^^(경단 주) * [[䎻]](귀 주) * [[輖]](낮을 주) * [[淍]](물돌릴 주) * [[皗]](밝을 주) * [[𧇟]]^^[⿰虎周]^^(범길든모양 주) * [[綢]](빽빽할 주) * [[騆]](신마 주) * [[婤]](얼굴얌전할 주) * [[椆]](영수목 주) * [[𧣷]]^^[⿰角周]^^(용의뿔 주) * [[賙]](진휼할 주) * [[𧳜]]^^[⿰豸周]^^(짐승이름 주) * [[䧓]](큰언덕모양 주) * [[晭]](햇빛 주) * [[裯]](홑이불 주, 소매 도) * [[𢃖]]^^[⿰巾周]^^(휘장 주) * [[睭]](깊을 추/주) * [[𨡑]]^^[⿰酉周]^^(술이름 추) * [[惆]](실심할 추) * [[𧮻]]^^[⿰谷周]^^(골짜기가큰모양 효) * [[𡕐]]^^[⿰壽周]^^/[[𨉜]]^^[⿰身周]^^(주) * [[𡥱]]^^[⿰子周]^^ * [[𫮀]]^^[⿰土周]^^ * [[𪸼]]^^[⿰火周]^^ * [[𬛅]]^^[⿰⺼周]^^ * [[𥏨]]^^[⿰矢周]^^ * [[𬎹]]^^[⿰生周]^^ * [[𦈺]]^^[⿰缶周]^^ * [[𨂊]] * [[𧯼]]^^[⿰壴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