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숫자 한자)] [include(틀:십진수)]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兆}}}억조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儿|{{{#000,#fff 儿}}}]],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 {{{#c88 ジョ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きざ-す, きざ-し, {{{#c88 うらな-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兆는 ''''억조 조''''라는 [[한자]]로, [[조(수)|10^^12^^]]을 뜻하는 '조(兆)', '조짐(兆朕)', '징조(徵兆)', '빌미' 등을 뜻한다. 그래서 ''''징조 조''''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14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中一山人(LMUO)으로 입력한다. 점복(占卜)을 보기 위해 [[갑골 문자|거북 딱지를 불에 지져]] 갈라진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거북딱지에 갈라진 금의 형상을 보고 운세를 예측했다. 본래 뜻은 '징조(omen)'이다. 한편 숫자 단위로 '조([math(10^{12})])'를 뜻하기도 하는데, 유일하게 중국 본토에서는 [[백만]]([math(10^{6})])을 뜻한다. [math(10^{12})]는 [[万]][[亿]]/[[萬]][[億]]으로 표현한다. == 용례 == === [[단어]] === * '''[[조(수)|조]](兆)''' * 가조([[佳]]兆) * 길조([[吉]]兆) * 망조([[亡]]兆) * 수조([[數]]兆) * 십조([[十]]兆) * 일조([[一]]兆) * 백조([[百]]兆) * [[전조]]([[前]]兆) * 전조증상([[前]]兆[[症]][[狀]]) * 조짐(兆[[朕]]) * 징조([[徵]]兆) * 천조([[千]]兆) * 패조([[敗]]兆) * 흉조([[凶]]兆) === [[고사성어]]/[[숙어]] === * 억조창생([[億]]兆[[蒼]][[生]]) === [[인명]] === * [[고조기]]([[高]]兆[[基]]) * [[김한조]]([[金]][[漢]]兆) * [[유바루 키자시]]([[夕]][[原]] 兆) * [[이상조(1940)|이상조]]([[李]][[相]]兆): 1940년생 * [[이조년]]([[李]]兆[[年]]) * [[이주조]]([[爾]][[朱]]兆) == 유의자 == * [[禨]](조짐 기) * [[朕]](나 짐)[* '나' 이외에 '조짐'이라는 뜻도 있다. '조짐'이라는 단어 자체가 한자로 兆朕이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韭]](부추 구) * [[北]](북녘 북) * [[非]](아닐 비)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