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兔}}}토끼 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儿|{{{#000,#fff 儿}}}]],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1972년 최초 제정 당시엔 고등용으로 배정되었으나, 2000년 개정 시 제외되었다.]}}}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c88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ト}}}}}}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さぎ}}}}}}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兔는 ''''토끼 토''''라는 [[한자]]로, 동물의 일종인 [[토끼]]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15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UI(弓山戈)로 입력한다. 토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아래의 점은 토끼의 짧은 꼬리, 윗부분은 토끼의 큰 귀다. 정자는 兔이지만 [[완성형]] 코드에는 속자인 兎(U+514E, KS: 0xF7CD)만 할당되어 있어 일부 구형 시스템에서는 글자가 깨져 나올 수 있다. Windows 한국어 입력기에 내장된 한자 입력기에서도 兎만이 바로 변환 가능하고, 兔를 입력하려면 확장 한자 옵션을 켜 줘야 한다. 한국어문회의 한자급수시험에선 兔는 준3급, 兎를 준특급에 따로 배정했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표제어의 한자 표기에 兎가 아닌 兔를 사용하고, 대법원의 [[한자/인명용 한자표]]에서도 兎를 兔의 속자로서 '허용'하여 공식적으로는 정자인 兔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兎를, 중국에서는 兔를 표준 자형으로 정했다. [[설문해자]]에서는 [[寃]](원통할 원), [[逸]](편안할 일) 등 이 글자에서 파생된 5글자들을 묶어서 한 부수로 만들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이 부수를 없애고 모두 다른 부수들에 귀속시켰다. [[免]](면할 면)과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이는 [[소전]]에서부터고 [[금문]]까지는 모양이 달랐다. 토끼 머리랑 모자 쓴 사람 머리 차이. == 용례 == === [[단어]] === * 교토([[狡]]兔) * 교토삼굴([[狡]]兔[[三]][[窟]]) * [[귀토지설]]([[龜]]兔[[之]][[說]]) * 성토([[成]]兔) * 야토([[野]]兔) * [[야토병]]([[野]]兔[[病]]) * [[적토마|적토]]([[赤]]兔) * 종토([[種]]兔) === [[고사성어]]/[[숙어]] === * 견분장방획토([[見]][[奔]][[獐]][[放]][[獲]]兔) * 견토방구([[見]]兔[[放]][[狗]]) * [[견토지쟁]]([[犬]]兔[[之]][[爭]]) * 교토삼굴([[狡]]兎[[三]][[窟]]) * 교토사주구팽([[狡]]兔[[死]][[走]][[狗]][[烹]]) * 귀모토각([[龜]][[毛]]兔[[角]]) * 금오옥토([[金]][[烏]][[玉]]兔) * [[수주대토]]([[守]][[株]][[待]]兔) * 연목토이([[鳶]][[目]]兔[[耳]]) * 오비토주([[烏]][[飛]]兔[[走]]) * 오토([[烏]]兔) * 오토총총([[烏]]兔[[https://zetawiki.com/wiki/%EB%B0%94%EC%81%A0_%EC%B4%9D_%E6%80%B1|怱]][[https://zetawiki.com/wiki/%EB%B0%94%EC%81%A0_%EC%B4%9D_%E6%80%B1|怱]]) * 주장낙토([[走]][[獐]][[落]]兔) * 축미지구불고토([[逐]][[https://zetawiki.com/wiki/%ED%81%B0_%EC%82%AC%EC%8A%B4_%EB%AF%B8_%E9%BA%8B|麋]][[之]][[狗]][[不]][[顧]]兔) * 탈토지세([[脫]]兔[[之]][[勢]]) * 토각귀모(兔[[角]][[龜]][[毛]]) * 토라치리(兔[[羅]][[雉]][[罹]]) * [[토사구팽]](兔[[死]][[狗]][[烹]]) * 토사호비(兔[[死]][[狐]][[悲]]) * 토영삼굴(兔[[營]][[三]][[窟]]) * 토원책(兔[[園]][[冊]])[* [[한나라]] 양효왕 유무의 정원 '토원'에서 따온 이름으로 유무가 가진 책들이 비속한 내용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비속한 책'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위의 책 이름 '토원책부'와는 유래가 다르다.] * 호사토읍([[狐]][[死]]兔[[泣]]) === [[인명]] === * [[니토 센리]]([[新]]兎 [[千]][[里]]) * [[메우 메우]]([[芽]]兎 めう) * [[모치즈키 교쿠토]]([[望]][[月]] [[玉]]兎) * [[아카마 유토]]([[赤]][[間]] [[遊]]兎) * [[우도 부키코]](兎[[洞]] [[武]][[器]][[子]]) * [[우츠리기 가이스케]](兎[[吊]][[木]] [[垓]][[輔]]) * [[이루마 쥬토]]([[入]][[間]] [[銃]]兎) * [[츠키노 미토]]([[月]]ノ [[美]]兎) === [[창작물]] === * [[토원책부]](兔[[園]][[策]][[府]], 兔[[園]][[冊]][[府]])[* [[당나라]] 장왕 이운의 정원 '토원'에서 따온 이름으로 [[유서]], 그러니까 지금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책의 이름이다. 아래의 고사성어 '토원책'과는 유래가 다르다.]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免]](면할 면) [[분류:준3급 한자]][[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