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冠}}}갓 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冖|{{{#000,#fff 冖}}}]],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んむり, {{{#c88 かぶ-る, かむ-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ān, gu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冠은 ''''갓 관''''이라는 [[한자]]로, '갓', '갓을 쓰다', '으뜸' 등을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갓 || || {{{-1 '''음'''}}} ||<-2>관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uān ||guàn || || {{{-1 '''[[광동어]]'''}}} ||gun^^1^^ ||gun^^3^^ || || {{{-1 '''[[객가어]]'''}}} ||kôn ||kon || || {{{-1 '''[[민북어]]'''}}} ||gúing ||gu̿ing || || {{{-1 '''[[민동어]]'''}}} ||guăng ||guáng || || {{{-1 '''[[민남어]]'''}}} ||koan ||koàn || || {{{-1 '''[[오어]]'''}}} ||kuoe (T1) ||kuoe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2>カン || || {{{-1 '''훈독'''}}} ||<-2>かんむり, {{{#c88 かぶ-る, かむ-る}}} || ||<-4> || ||<-2> '''[[베트남어]]''' ||quan ||quán || [[유니코드]]에는 U+51A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MUI(月一山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冖]](덮을 멱), [[寸]](마디 촌)과 소리를 나타내는 [[元]](으뜸 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갑골문]]에서는 [[帽|冃]](모자 모)와 元이 결합한 형태였으나, [[전서|대전]]으로 오면서 元 옆에 손을 나타내는 [[寸]](마디 촌)이 추가되고, 冃는 冖으로 바뀌었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갓', '모자'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평성]]으로, '갓을 쓰다', '으뜸', '일등하다'와 같은 파생된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관례]](冠[[禮]]) * [[관혼상제]](冠[[婚]][[喪]][[祭]]) * [[교황 삼층관]]([[敎]][[皇]] [[三]][[層]]冠) * [[금관]]([[金]]冠) * [[대관식]]([[戴]]冠[[式]]) * [[면류관]]([[冕]][[旒]]冠) * [[무관#無冠|무관]]([[無]]冠) * [[왕관]]([[王]]冠) * [[월계관]]([[月]][[桂]]冠) * [[익선관]]([[翼]][[善]]冠) * [[전관왕]]([[全]]冠[[王]]) * [[정자관]]([[程]][[子]]冠) * [[화관]]([[花]]冠) === [[고사성어]]/[[숙어]] === *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 [[약관#s-2]]([[弱]]冠) * [[초인목후이관]]([[楚]][[人]][[沐]][[猴]][[而]]冠) === [[인명]] === * [[센노칸쟈 요시토라]]([[仙]]冠[[者]] [[義]][[虎]]) * [[진관희]]([[陳]]冠[[希]]) * [[타카쿠라 칸바]]([[高]][[倉]] 冠[[葉]]) * [[차오관화]]([[乔]]冠[[华]]) * [[헨드리]]([[黄]]冠[[亨]]) * [[저우관위]]([[周]]冠[[宇]]) === [[지명#s-2]] === * [[경기도]] [[안양시]] [[관악대로]](冠[[岳]][[大]][[路]]) * [[관모봉]](冠[[帽]][[峯]]) * [[관악고등학교]](冠[[岳]][[高]][[等]][[學]][[校]]) * [[관악구청역]](冠[[岳]][[區]][[廳]][[驛]]) * [[관악산]](冠[[岳]][[山]]) * [[관악IC]](冠[[岳]]IC)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鼎]]冠[[邑]]) * [[서울특별시]] [[관악구]](冠[[岳]][[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冠[[岳]][[路]]) * [[관악역]](冠[[岳]][[驛]]) * [[시무캇푸역]]([[占]]冠[[駅]]) * [[카무리키역]](冠[[着]][[駅]]) === [[창작물]] === * [[栄冠のカンパネラ]]([[영관의 캄파넬라]]) === 기타 === * [[구금관]]([[九]][[衿]]冠)/[[금관구]]([[衿]]冠[[九]])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寇]](도적 구)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