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합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去}}}갈 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厶|{{{#000,#fff 厶}}}]],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ョ, 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さ-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去는 ''''갈 거''''로, 가다를 뜻하는 [[한자]]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가다 || || {{{-1 '''음'''}}} ||거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ù || || {{{-1 '''[[광동어]]'''}}} ||heoi3 || || {{{-1 '''[[대만어|민남어]]'''}}} ||khì || 원래 형태는 사람의 형상인 大밑에 凵(𠙴)형태가 붙은 모습이다. 이 형태가 간략화되어 土+厶형태가 되었고 현재의 글자가 되었다.[* 이 형태를 비교적 온전하게 살린 厺(U+53BA)라는 이체자도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아래의 형태인 그릇 거(𠙴)자를 음으로 하고사람의 형상인 大(대)가 뜻인 [[형성자]]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하단에 있는 凵(감)에 대해서는 움집이라고 봐서 움집을 사람이 떠나는 모습을 형상화한 [[회의자]]라는 설도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사람이 서로 멀어지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설문해자의 주석에서는 떠나다(離)라고 풀이하여 어딘가 멀리 사라진다 뜻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떠나가다, 지나가다, 제거하다, 물리치다의 뜻을 지닌다. 그외에 운서에 따르면 거성이 아닌 상성(上聲)으로 읽으면 감춘다(藏)는 뜻이라고 했으며, 평성(平聲)으로 읽으면 빨리 달리다(驅)라는 뜻도 있다. [[구결]]에서는 조사나 선어말어미 "거"나 "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丷去等 :하거든. 다만 케는 대부분巨乀夕:케이다처럼 巨를 쓴다.] [[유니코드]]는 U+53BB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土戈(GI)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거래]](去[[來]]) * [[가맹거래사]]([[加]][[盟]]去[[來]][[士]]) *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 * [[사법거래]]([[司]][[法]]去[[來]]) * [[사성|거성]](去[[聲]]) * [[거세]](去[[勢]]) * [[과거]]([[過]]去) * 거처(去[[處]]) * 거취(去[[就]], 去[[取]]) * 거피(去[[皮]]) * [[소거]]([[掃]]去) * 사거([[死]]去) * 서거([[逝]]去) * 수거([[收]]去) * [[분뇨수거차]]([[糞]][[尿]][[收]]去[[車]]) * 분리수거([[分]][[離]][[收]]去) * 제거([[除]]去) * 철거([[撤]]去) * [[칠거지악]]([[七]]去[[之]][[惡]]) * 퇴거([[退]]去) * [[퇴거불응죄]]([[退]]去[[不]][[應]][[罪]]) === [[고사성어]]/[[숙어]] === * 거자필반(去[[者]][[必]][[返]]) * 거두절미(去[[頭]][[截]][[尾]]) * 거자불추(去[[者]][[不]][[追]]) === [[인명]] === * [[곽거병]]([[霍]]去[[病]]) * [[스위츠 카코코]](スイーツ [[過]]去[[子]]) === [[지명#s-2]] ===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去[[毛]][[洞]])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無]]去[[洞]]) == 유의자 == * [[朅]](갈 걸) * [[邁]](갈 매) * [[赴]](다다를/갈 부) * [[逝]](갈 서) * [[往]](갈 왕) * [[之]](갈 지) == 상대자 == * [[來]](올 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圭]](홀 규) * [[寺]](절 사) * [[云]](이를 운) * [[赤]](붉을 적) * [[走]](달릴 주) * [[幸]](다행 행)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5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