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又}}}또 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又,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ユ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また{{{#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ò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又-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설명 == 又는 ''''또 우''''라는 [[한자]]로, '또'를 뜻한다. == 상세 == 오른손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로서 본래 오른쪽, 가지다, 돕다, 권하다 등을 의미를 하였으나 후에 [[가차]]되어 또, 다시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여기에 [[口]](입 구) 자를 추가해서 [[右]](오른 우) 자를, [[肉]](고기 육) 자를 추가해서 [[有]](있을 유) 자를 파생시켰다. 又자는 손을 본뜬 대표적인 형상으로 여러 부수에서도 손의 모양을 본뜬 경우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聿, 尹 등에 사용되는 ヨ의 자형도 又와 같이 손에서 비롯된 것이며 攴, 殳은 손(又)에 무기를 들고 있는 형상, 廾은 양손으로 무언가를 받치고 있는 모습의 형상이다. 거기다 寸는 손목에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며 爪는 손톱의 앞을 아래로 향하게 한 형상이다. [[유니코드]]dp는 U+53C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大(NK)로 입력한다. [[중국어]]에서 [[간체자]]를 만들 때 복잡한 부분을 又로 대체하곤 한다. 예를 들어 [[對]](대할 대)를 对로, [[歡]](기쁠 환)을 欢으로, [[權]](권세 권)을 权으로 바꾸는 식이다. == 자형 == || [[파일:120px-又-oracle.svg.png]] || [[파일:120px-又-bronze.svg.png]] || [[파일:120px-又-bigseal.svg.png]] || [[파일:120px-又-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우황(又[[況]]): 하물며 * 일우([[一]]又) * 자승우승([[自]][[乘]]又[[乘]]) === [[고사성어]]/[[숙어]] === * 감지우감([[減]][[之]]又[[減]]) * 겸지우겸([[兼]][[之]]又[[兼]]) * 박지우박([[薄]][[之]]又[[薄]])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 현지우현([[玄]][[之]]又[[玄]]) === [[인명]] === * [[네코마타 오카유]]([[猫]]又 おかゆ) * [[니시마타 아오이]]([[西]]又 [[葵]]) * [[마타요시 카츠키]](又[[吉]] [[克]][[樹]]) * [[만칸쇼쿠 마타로]]([[満]][[艦]][[飾]] 又[[郎]]) * [[안우만]]([[安]]又[[萬]]) * [[후타마타 잇세이]]([[二]]又 [[一]][[成]]) === [[지명#s-2]] === * [[시바마타]]([[柴]]又) === [[창작물]] === * [[마타사부로]](又[[三]][[郎]])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또우부 강희자전 안에 29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91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손과 관련된 뜻을 나타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又|| ||1획||[[叉]]|| ||2획||[[友]] [[反]] 収|| ||5획||[[𠬶]]|| ||6획||[[叔]] [[取]] [[受]]|| ||7획||[[叛]]|| ||8획||[[叟]]|| ||16획||[[叢]]||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또우부 * 일본: また[* [[厶]]와는 달리 ぬ(ヌ)로 읽지 않는다.] * 중국: [ruby(又部, ruby=yòubù)] * 미국: Radical Again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义]](옳을 의, 갈래 차)[* [[義]](옳을 의)의 [[간체자]]이자 속자(俗字)이며, [[叉]](갈래 차)의 본자(本字)이다.] * [[叉]](갈래 차) == 유의자 == * [[亦]](또 역) == 여담 == * 又를 두 개 합치면 [[双]](두 쌍)[* [[雙]](두 쌍)의 [[신자체]] 및 [[간체자]]], 세 개 합치면 [[叒]](따를 약), 네 개 합치면 [[叕]](연할 철)이 된다. 이를 이용해 중국에서는 우쌍약철(又[[双]][[叒]][[叕]])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또 우'를 반복해서 무언가 자주 바뀌거나 어떤 일이 자주 일어나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 [[가나 문자]]의 하나인 [[ぬ|ヌ]]와 [[닮은꼴 문자]]이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