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슷한 모양의 한자 囗, rd1=囗)]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口}}}입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 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くち{{{#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5%8F%A3-order.gif]]}}}|| || 口의 필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입 구. 기초가 되며 중요한 [[한자]] 중 하나다. '[[입]]' 등을 나타낸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입 || || {{{-1 '''음'''}}} ||구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ǒu || || {{{-1 '''[[광동어]]'''}}} ||hau^^2^^ || || {{{-1 '''[[객가어]]'''}}} ||khiéu[*文 [[문독]]] / héu[*白 [[백독]]] || || {{{-1 '''[[민북어]]'''}}} ||kě || || {{{-1 '''[[민동어]]'''}}} ||kēu[*文] / kāu[*白] || || {{{-1 '''[[민남어]]'''}}} ||khió[*文] / kháu, káu[*白] || || {{{-1 '''[[오어]]'''}}} ||khe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 ク || || {{{-1 '''훈독'''}}} ||くち || ||<-3> || ||<-2> '''[[베트남어]]''' ||khẩu || [[유니코드]]에는 U+53E3에 배당되었으며, [[주음부호]]로는 ㄎㄡ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口)로 입력한다. 口는 기본적으로 입이라는 뜻이지만, 언어별로 구멍, 말, 말하다, [[문]], 어귀, [[인구]]수 같이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추가되기도 한다. 口의 이체자로는 𠙵[* 口에서 위쪽 一이 분리됨.][* 한글 [[ㅂ]]과 [[닮은꼴 문자|비슷하게 생겼다.]]]와 𠮚[* 口 안에 •가 들어감.]가 있다. 일부 웹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바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8F%A3-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8F%A3-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8F%A3-silk.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8F%A3-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8F%A3-seal.svg.png|bgcolor=#ffffff]] 口는 입의 모양[* [[ㅂ]]과 유사하게 생겼다.]을 본뜬 [[상형자]]이다.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변화를 거치는 모습을 보여줄 때 예시로 매우 많이 드는 글자의 하나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口는 대단히 많은 한자들이 가진 구성요소의 하나다. 일단 口의 [[부수]]인 입구부는 [[강희자전]]에서 분류된 30번째 부수인데, '''1,146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삼는 부수로 초두머리, 삼수변에 이어 최대 수준이다.''' 또한 부수가 아닌 구성 요소로서도 셀 수 없이 많은 한자들이 가졌는데, [[덕분]]에 --좋게도-- [[파자]]할 때 입구자는 꽤나 자주 분리되어 나와서 어떻게든 입과 뜻을 연관지어야 할 상황이 생긴다. 외래어나 방언 단어의 발음만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를 만들 때 같은 발음의 한자 옆에 입구부를 변으로 붙여 만드는 일이 많다. 그래서 주로 啦, 喺과 같은 방언자들이 많다. 그 외에 입과 관련없이 口가 지사 부호로 들어간 한자도 꽤 많다. 큰입구몸([[囗]])과는 다른 글자이다. 큰입구몸은 몸[* 國, 因 등과 같이 글자를 에둘러 싸는 부수]으로써 사용되는 부수이다. 이따금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四, 固와 같은 글자의 부수를 입구부로 착각하기도 한다. 또한 [[가타카나]] [[ロ]]와 혼동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이 둘은 모양만 같을 뿐, 발음과 형성기원이 다르다. 한글 [[ㅁ]]도 유사한데, 口와 ㅁ은 똑같이 입을 상형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 용례 == 기초 한자다 보니 매우 흔히 쓰이며 주로 입, 말, 인원수 등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인다. === [[단어]] === * [[가구]]([[家]]口) * 가구원([[家]]口[[員]]) * [[가구주]]([[家]]口[[主]]) * [[개찰구]]([[改]][[札]]口) * 갱구([[坑]]口) * [[경구]]([[經]]口) * 경구면역([[經]]口[[免]][[疫]]) * [[경구수액]]([[經]]口[[輸]][[液]]) * 경구약([[經]]口[[藥]]) * [[경구개음]]([[硬]]口[[蓋]][[音]]) * [[구강]](口[[腔]]) * 구개(口[[蓋]]) * [[구개수음]](口[[蓋]][[垂]][[音]]) * [[구개음화]](口[[蓋]][[音]][[化]]) * [[구결]](口[[訣]]) * [[구결자]](口[[訣]][[字]]) * [[구경]](口[[徑]]) * 구두(口[[頭]]) * 구두계약(口[[頭]][[契]][[約]]) * 구두교(口[[頭]][[交]]) * 구두변론(口[[頭]][[辯]][[論]]) * 구두선(口[[頭]][[禪]]) * 구두설명(口[[頭]][[說]][[明]]) * 구두시문(口[[頭]][[試]][[問]]) * 구두시험(口[[頭]][[試]][[驗]]) * 구두심리(口[[頭]][[審]][[理]]) * 구두심판(口[[頭]][[審]][[判]]) * 구두약속(口[[頭]][[約]][[束]]) * 구두위임(口[[頭]][[委]][[任]]) * 구두주의(口[[頭]][[主]][[義]]) * 구령(口[[令]]) * 구미(口[[味]]) * [[구비문학]](口[[碑]][[文]][[學]]) * 구설수(口[[舌]][[數]]) * [[구술]](口[[述]]) * 구술시험(口[[述]][[試]][[驗]]) * 구실(口[[實]]) * [[구어]](口[[語]]) * [[구전]](口[[傳]]) * [[구제역]](口[[蹄]][[疫]]) * [[구취]](口[[臭]]) * 구호(口[[號]]) *근구([[近]]口) * [[대구(어류)|대구]]([[大]]口) * 건대구([[乾]][[大]]口) * 대구어([[大]]口[[魚]]) * [[분화구]]([[噴]][[火]]口) * [[비상구]]([[非]][[常]]口) * [[식구]]([[食]]口) * 군식구(군[[食]]口) * 객식구([[客]][[食]]口) * [[연구개음]]([[軟]]口[[蓋]][[音]]) * [[인구]]([[人]]口) * [[경제활동인구]]([[經]][[濟]][[活]][[動]][[人]]口) * 노동인구([[勞]][[動]][[人]]口) * 비노동력인구([[非]][[勞]][[動]][[力]][[人]]口) * [[인구밀도]]([[人]]口[[密]][[度]]) * [[인구수]]([[人]]口[[數]]) * 입구([[入]]口) * 창구([[窓]]口/[[創]]口/[[瘡]]口/[[艙]]口) * 출구([[出]]口) * 통풍구([[通]][[風]]口) * [[포구]]([[浦]]口) * [[치경구개음]]([[齒]][[莖]]口[[蓋]][[音]]) * 함구([[緘]]口) * 함구증([[緘]]口[[症]]) * [[항구]]([[港]]口) * [[항구도시]]([[港]]口[[都]][[市]]) * [[호구]]([[戶]]口) * [[화구]]([[火]]口) * [[화구호]]([[火]]口[[湖]]) === [[고사성어]]/[[숙어]] === 고사성어에도 단골로 출현한다. * [[구밀복검]](口[[蜜]][[腹]][[劍]]) * 무구지보([[無]]口[[之]][[輔]]) * 양약고구([[良]][[藥]][[苦]]口) * 유구무언([[有]]口[[無]][[言]]) * [[이구동성]]([[異]]口[[同]][[聲]]) * 이목구비([[耳]][[目]]口[[鼻]]) * [[일구이언]]([[一]]口[[二]][[言]]) * [[중구난방]]([[衆]]口[[難]][[防]]) * 함구불언([[緘]]口[[不]][[言]]) * 호구지책([[糊]]口[[之]][[策]]) === [[인명]] === 口자는 일본인의 성씨에 많이 쓰인다. 특히 [[야마구치#s-2]](山口)와 [[노구치]](野口)는 일본 성씨 빈도 순위 중 100위 내에 든다.[* 종류가 자그마치 10만여 개나 되는 일본의 성씨 사이에서 100위 안에 들면 엄청난 상위권이다.] 반면 한국과 중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노구치 고로]]([[野]]口[[五]][[郎]]) * [[노구치 유메]]([[野]]口 [[由]][[芽]]) * [[노구치 히데요]]([[野]]口 [[英]][[世]]) * [[다구치 나츠미]]([[田]]口[[夏]][[実]]) * [[다구치 소]]([[田]]口 [[壮]]) * [[타구치 히로코|다구치 히로코]]([[田]]口 [[宏]][[子]]) * [[데구치 유이나]]([[出]]口 [[結]][[菜]]) * [[모리구치 히로코]]([[森]]口 [[博]][[子]]) * [[미조구치 겐지]]([[溝]]口 [[健]][[二]]) * [[사카구치 다이스케]]([[阪]]口[[大]][[助]]) * [[사카구치 리코]]([[坂]]口[[理]][[子]]) *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 [[사카구치 슈헤이]]([[阪]]口[[周]][[平]]) * [[사카구치 켄지]]([[坂]]口[[憲]][[二]]) * [[사카구치 켄타로]]([[坂]]口 [[健]][[太]][[郎]]) * [[사카구치 코이치]]([[坂]]口[[候]][[一]]) * [[야마구치 마유미]]([[山]]口[[眞]][[弓]]) * [[야마구치 마이]]([[山]]口 [[舞]]) * [[야마구치 마호]]([[山]]口[[真]][[帆]]) * [[야마구치 모모에]]([[山]]口[[百]][[恵]]) * [[이구치 유카]]([[井]]口 [[裕]][[香]]) * [[카와구치 리나]]([[川]]口 [[莉]][[奈]]) * [[카와구치 카츠미]]([[川]]口[[克]][[己]]) * [[카와구치 하루나]]([[川]]口[[春]][[奈]]) * [[타니구치 메구]]([[谷]]口 めぐ) * [[타니구치 아이리]]([[谷]]口[[愛]][[季]]) * [[타니구치 지로]]([[谷]]口ジロー) * [[타니구치 타카시]]([[谷]]口[[節]]) * [[토키도]] - 본명 타니구치 하지메([[谷]]口[[一]]) * [[토요구치 메구미]]([[豊]]口めぐみ) * [[히구치 기이치로]]([[https://zetawiki.com/wiki/%EB%82%98%EB%AC%B4_%EC%9D%B4%EB%A6%84_%ED%86%B5_%E6%A8%8B|樋]]口 [[季]][[一]][[郎]]) * [[히구치 이치요]]([[https://zetawiki.com/wiki/%EB%82%98%EB%AC%B4_%EC%9D%B4%EB%A6%84_%ED%86%B5_%E6%A8%8B|樋]]口 [[一]][[葉]]) * [[TAG(작곡가)|TAG]] - 본명 다구치 야스히로([[田]]口 [[康]][[裕]]) === [[지명#s-2]] ===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江]]口[[面]]) * [[양구군]]([[楊]]口[[郡]]) * 교구동([[橋]]口[[洞]]) * 둥커우 현([[洞]]口[[县]]) * 룽커우 시([[龙]]口[[市]]) * 메이허커우 시([[梅]][[河]]口[[市]]) * [[야마구치시]]([[山]]口[[市]]) * [[야마구치현]]([[山]]口[[県]]) * [[카와구치시]]([[川]]口[[市]])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나라별로 다른 용례]] === [[일본 한자음]]은 입이라는 뜻으로 쓰는 경우가 별로 없다. 음독인 'く'에는 그릇이나 도구, 인구를 세는 뜻이 있으며, 한자음인 'こう'에는 구멍이라는 뜻이 있다. '[[과묵|むくち]]([[일본 한자음|無]][[훈독|口]])'처럼 '입'이나 '말'을 나타낼 때 보통 훈으로 'くち'라고 읽는다. 그리고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入口등의 일부 용례에서만 문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일본에서는 東口(동쪽 출구), 北口(북쪽 출구)등 출입구의 의미로서도 사용된다. 중국어로는 입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주로 입 자체 보다는 입으로 하는 행위(먹다, 말하다 등)를 칭하는 경우에 쓰이며, 생물학적 기관으로써의 입은 보통 [[嘴]]를 주로 사용한다. == 기타 == 口는 [[사각형]]이 한 개다. 그런데 입 구와 같이 사각형만으로 이루어진 한자가 몇 개 더 있다. * 한 개: 口(입 구) * 두 개: [[日]](날 일), [[曰]](가로 왈), [[回]](돌아올 회), [[吕]](성씨 려/여, 법칙 려/여), [[https://zetawiki.com/wiki/%EC%9D%B8%ED%95%A0_%EC%9D%B8_%E5%9B%99|囙]](인할 인), [[https://zetawiki.com/wiki/%EB%B6%80%EB%A5%B4%EC%A7%96%EC%9D%84_%ED%9B%A4_%E5%90%85|吅]](부르짖을 훤, 엄할 엄) * 세 개: [[罒]](그물 망), [[目]](눈 목), [[品]](물건 품) * 네 개: [[田]](밭 전), [[https://zetawiki.com/wiki/%EB%AD%87%EC%9E%85_%EC%A7%91_%E3%97%8A|㗊]](뭇입 집), [[昌]](창성할 창) * 다섯 개: [[https://zetawiki.com/wiki/%E5%9B%AC|囬]](돌아올 회), [[唱]](노래 창) * 여섯 개: [[晶]](맑을 정) * 아홉 개: [[囲]](에워쌀 위)[* [[정자(한자)|정자]]는 圍이며 이 자형은 일본에서 쓰이는 [[신자체]]이다.] [[분류:7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