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味}}}맛 미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口|{{{#000,#fff 口}}}]], 5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ミ, {{{#c88 ビ}}}}}}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あじ, あじ-わう{{{#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wèi{{{#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味는 ''''맛 미''''라는 [[한자]]로, '[[맛]]', '[[기분]]', '[[취향]]'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47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JD(口十木)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未]](아닐 미)가 합쳐진 [[형성자]]다. 한국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846200|맛]]의 뜻처럼 [[기분]]이나 [[취향]]의 뜻도 같이 나타내는 한자다. 아예 이 한자음 자체가 한국어 어휘 '맛'과 '멋'과 동계어였을 수 있다는 학설도 존재한다. [[이두]]문에서는 '뜻'을 의미하는 글자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한문에서도 마찬가지다. 의미(意味)라는 한자어를 떠올려보자.] 음독은 '맛'이라고 읽었다. 이체자로 苿가 있는데 苿는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 [[艸|艹]]([[艸|초두머리]])다. == 용례 == === [[단어]] === * 가미([[加]]味) * 감미([[甘]]味) * [[구미]]([[口]]味) * 무미([[無]]味) * 묘미([[妙]]味) * [[미각]](味[[覺]]) * [[미미]]([[美]]味) * [[미소(된장)|미소]](味[[噌]]) * 별미([[別]]味) * 성미([[性]]味) * 음미([[吟]]味) * [[의미]]([[意]]味) * 무의미([[無]][[意]]味) * [[의미론]]([[意]]味[[論]]) * 조미([[助]]味/[[調]]味) * [[조미료]]([[調]]味[[料]]) * [[진미]]([[珍]]味/[[眞]]味) * [[취미]]([[臭]]味/[[趣]]味) * 흥미([[興]]味) === [[고사성어]]/[[숙어]] === * 건조무미([[乾]][[燥]][[無]]味) * 고량진미([[膏]][[粱]][[珍]]味) * 무미건조([[無]]味[[乾]][[燥]]) * 산해진미([[山]][[海]][[珍]]味) * 용미봉탕([[龍]]味[[鳳]][[湯]]) * 의미심장([[意]]味[[深]][[長]]) * 흥미진진([[興]]味[[津]][[津]]) === [[인명]] === * [[기미#s-4]]([[岐]]味) * [[미구루압로]](味[[仇]][[婁]][[鴨]][[盧]]) * [[미료]](味[[料]]) * [[미추 이사금]](味[[鄒]] [[尼]][[師]][[今]]): 신라 13대 국왕 * [[복부미신]]([[福]][[富]]味[[身]]) * [[시이노 미린]]([[椎]][[乃]] 味[[醂]]) * [[아지노 고라쿠]](味[[野]] [[娯]][[楽]]) * [[우스키누 야스미]]([[薄]][[絹]] [[休]]味) * [[임견미]]([[林]][[堅]]味) * [[카미모토 코토네]]([[嘉]]味[[元]] [[琴]][[音]]) === [[지명#s-2]] === * [[대야미역]]([[大]][[夜]]味[[驛]]) * [[자미원역]]([[紫]]味[[院]][[驛]]) === [[창작물]] === * [[珈琲の味と]]([[커피의 맛과]]) * [[味噌汁でカンパイ]]([[미소국으로 건배!]]) === 기타 ===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怽]](잊을 말) * [[𩎟]]^^[⿰韋未]^^(가죽 매)[* [[韎]](가죽 매)의 [[동자#s-2]]] * [[䵢]](거무스름할 매) * [[㭑]](나무이름 매) * [[妹]](누이 매) * [[抺]](더듬을 매) * [[祙]](매혹할 매)[* [[魅]](매혹할 매)의 [[동자#s-2]]] * [[跊]](밟을 매) * [[佅]]/[[昧]]/[[眛]](어두울 매) * [[𩈐]]^^[⿰面未]^^(얼굴모양 매) * [[沬]](희미할 매, 낯씻을 회) * [[鮇]](곤들매기 미) * [[呠]](꾸짖을 본) * [[𡶎]]^^[⿰山未]^^ * [[𢓛]]^^[⿰彳未]^^ * [[𫭥]]^^[⿰土未]^^ * [[𭘕]]^^[⿰巾未]^^ * [[𰡃]]^^[⿰犭未]^^ * [[𪸙]]^^[⿰火未]^^ * [[𰠭]]^^[⿰牛未]^^ * [[𱭏]]^^[⿰爿未]^^ * [[𬂧]]^^[⿰未未]^^ * [[𤽜]] * [[𥑘]]^^[⿰石未]^^ * [[𥞊]]^^[⿰禾未]^^ * [[𮴾]]^^[⿰田未]^^ * [[𱷑]]^^[⿰窄未]^^ * [[𧙕]] * [[𦕜]]^^[⿰耳未]^^ * [[𧉿]]^^[⿰虫未]^^ * [[𫃟]]^^[⿰糸未]^^ * [[𧵖]]^^[⿰貝未]^^ * [[𨠝]]^^[⿰酉未]^^ * [[𮷔]]^^[⿰身未]^^ * [[𰴫]]^^[⿰言未]^^ * [[𮡮]]^^[⿰金未]^^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菋]](오미자 미)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