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咸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rd1=鹹)]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咸}}}다 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カ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ことごと-く, みな}}}}}}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咸은 ''''다 함''''이라는 [[한자]]로, '다', '전부', '모두'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4B8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竹一口(IHMR)로 입력한다. 도끼를 본뜬 [[戌]](개 술)과 [[口]](입 구)가 합쳐진 [[회의자]]이나, 본뜻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殲]](다 죽일 섬)과 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원의가 '죽이다'로 추정하기도 하나, 이런 활용은 본의가 아닌 殲의 가차일 뿐이라고 반박하기도 한다. [[중국어]]에서는 [[鹹]](짤 함)의 [[간체자]]로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불함문화([[不]]咸[[文]][[化]]) * 일락함지([[日]][[落]]咸[[池]]) * 함유일덕(咸[[有]][[一]][[德]]) * [[함흥차사]](咸[[興]][[差]][[使]]) === [[인명]] === * [[완함]]([[阮]]咸) * [[정함#s-1]]([[丁]]咸): [[촉나라]]의 인물 * [[정함#s-2]]([[程]]咸): [[위나라]] 및 [[서진]]의 인물 * [[함(성씨)|함씨]](咸[[氏]]) * [[함풍제]](咸[[豊]][[帝]]) === [[지명#s-2]] === * [[함경도]](咸[[鏡]][[道]]) * [[함경남도]](咸[[鏡]][[南]][[道]]) * [[함경북도]](咸[[鏡]][[北]][[道]]) *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 [[함안역]](咸[[安]][[驛]]) * [[경상남도]] [[함양군]](咸[[陽]][[郡]])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咸[[悅]][[邑]]) * [[남궁(성씨)|함열 남궁씨]](咸[[悅]] [[南]][[宮]]氏) * [[함열역]](咸[[悅]][[驛]]) * 함종(咸[[從]]) * [[어(성씨)|함종 어씨]](咸[[從]] [[魚]][[氏]]) * 함지(咸[[地]]) * [[전라남도]] [[함평군]](咸[[平]]郡) * [[함평역]](咸[[平]][[驛]]) * [[함흥시]](咸[[興]][[市]]) === [[창작물]] === == 유의자 == * [[皆]](다 개) * [[都]](도읍 도)[* '도읍' 이외에 '모두'라는 뜻이 있다.] * [[悉]](다 실) * [[諸]](모두 제) * [[僉]](다 첨) * [[切]](온통 체, 끊을 절) * [[總]]/[[摠]](다 총)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戒]](경계할 계) * [[戈]](창 과) * [[戊]](천간 무) * [[成]](이룰 성) * [[戍]](수자리 수) * [[戌]](개 술) * [[彧]](문채 욱) * [[戎]](병장기/오랑캐 융) * [[弋]](주살 익) * [[或]](혹 혹) * [[減]](덜 감)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