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인터넷 밈/한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喝}}}꾸짖을 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曷]](어찌 갈) 자의 아랫부분이 匃의 형태가 아닌 匂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ē, h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喝'''은 ''''꾸짖을 갈''''이라는 [[한자]]로, '꾸짖다'를 뜻한다. 과거 만화 등에서 할아버지 캐릭터가 아이들을 꾸짖을 때 쓰이는 표현이었으며, [[무협]] 소설 등지에서 [[사자후]]를 외칠 때 쓰는 멘트로 유명했다. 사실 2020년대 이전에는 무협소설이나 사극 같은 장르를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려운, 대중적이지 않은 사어화된 표현이었으나, 2020년대에 [[근데 이제 뭐함?]]과 같은 걸출한 드립 짤방으로 인해 웹상에서 다시금 유행하고 있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曷]](어찌 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59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APV(口日心女)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공갈([[恐]]喝) * 갈채(喝[[采]]) * 갈취(喝[[取]]) * 일갈([[一]]喝) * 전갈([[傳]]喝) - 동물 [[전갈]](全蠍)이 아니라 전언을 뜻한다.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アルスノヴァに喝采を]] * [[喝彩!~花鳥風月~]] * [[근데 이제 뭐함?]] * [[파일:갈!.png|width=50%]] === 기타 === * [[공갈포]]([[恐]]喝[[砲]]) == 유의자 == * [[呵]]/[[訶]](꾸짖을 가) * [[譴]](꾸짖을 견) * [[罵]](꾸짖을 매) * [[叱]](꾸짖을 질) * [[責]](꾸짖을 책) * [[吒]](꾸짖을 타) * [[劾]](꾸짖을 핵) * [[詰]](꾸짖을 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褐]](갈색/굵은베 갈) * [[竭]](다할 갈) * [[暍]](더위먹을 갈) * [[𩏌]](말갈 갈) * [[渴]](목마를 갈) * [[䅥]](벼이삭 갈, 벼이삭팰 알/걸) * [[鍻]](북 갈) * [[羯]](불깐양 갈) * [[碣]](비석 갈) * [[嵑]](비석/높을 갈) * [[騔]](빠를 갈) * [[輵]](수레소리 갈) * [[鞨]](오랑캐이름 갈) * [[蝎]](전갈 갈) * [[楬]](푯말 갈, 산이름 흡) * [[𥻉]](흰쌀 갈) * [[幆]](갈장 개) * [[㹇]](불친소 걸/건, 소이름 할) * [[揭]](높이들/걸 게) * [[偈]](불시 게) * [[愒]](쉴 게, 탐할 개) * [[㷎]](더위먹을 알) * [[堨]](보 알, 먼지 애) * [[謁]](뵐 알) * [[齃]](콧대 알) * [[餲]](밥쉴 애) * [[馤]](향기 애) * [[𪑦]](색바랠 얼) * [[𦝲]](가슴밑 예) * [[䋵]](급할 예, 비단찢을 알, 작은마음 열) * [[㡫]](어그러질 예) * [[𩩲]](뼈솟을 할, 어깨뼈 갈) * [[𪘹]](씹는소리 할) * [[𥈎]](애꾸눈 할)[* [[瞎]](애꾸눈 할)의 [[동자#s-2]]] * [[㿣]](흰빛 할) * [[𩹄]](오징어 해) * [[𦩥]](큰배 헐) * [[猲]](개 호/갈/할, 으를 겁) * [[𣎅]](사흉의하나 환) * [[𨉪]](갈) * [[𫕈]] * [[𣨵]] * [[𤣨]] * [[𨃃]] == 여담 == * 일각에서는 "허!"라고 호통을 치는 것을 [[중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 것이 이 한자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통시언어학]]적인 요소를 무시한 채 현대 관화 발음만을 기준으로 해석한 것으로서, 이 한자가 처음 쓰였을 [[상고 한어]] 시기의 음가는 /qʰaːd(꽈드)/로 재구되므로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호통과는 거리가 멀다. 물론 이 또한 당대 사람들이 호통치는 소리를 음차한 것으로 볼 수는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명확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 중국어에선 "마시다"라는 동사로 쓰인다. * [[일본 만화]]에서 [[의성어]]로 종종 쓰이는 경우가 있다. * [[무협]] 소설에서 [[사자후]]를 내뱉을 때 주로 쓰는 단어이다. 때문에 웹소설을 비롯한 장르문학계에서도 상당히 자주 사용되는데, 무협소설에서 한자병기를 많이 쓰기 때문에 갈이라는 발음 옆에 한자병기를 쓰는 것이 거의 클리셰화되었다. * [[넨마스터/여자|넨마스터]]의 스킬 중 하나인 사자후[* 여성 한정으로 태사자후도 있다.] 시전시 나오는 한자가 바로 이 한자다. 던파 유저 출신인 레바의 [[레바툰]]에서도 많이 나오는 한자다. * [[불교]] 용어로 사용될 때는 [[할#s-2|할]]이라고 읽는다.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