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器}}}그릇 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중간 부분이 [[犬]](개 견) 자가 아닌 [[大]](큰 대) 자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つわ{{{#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릇 기(器)'''. '[[그릇]]', '기관', '도구'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66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RIKR(口口戈大口)로 입력한다. 㗊(여러 입 집)과 [[犬]](개 견)이 합쳐진 [[회의자]]다. [[설문해자]]에서는 㗊은 그릇들의 모양이고 이걸 개가 지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㗊이 구성요소로 들어간 다른 한자들처럼, 㗊은 시끄러운 소리를 뜻하여 器는 본래 개가 시끄럽게 짖는 㹞을 뜻했다가 나중에 그릇으로 가차됐다는 설도 있다.[*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16319.html]]] 口가 축문 그릇이라고 주장하는 한문학자 시라카와 시즈카는 신에게 바치는 개를 축문 그릇들로 둘러싼 것이라고 해석했다.[* [[https://ja.wiktionary.org/wiki/%E5%99%A8]]] [[약자(한자)|약자]]로 𠾖(U+20F96, ⿳吅大吅)가 있다. 이 자형은 [[신자체]]와 같지만 신자체를 쓸 때는 이 유니코드를 쓰지 않고, 똑같이 U+5668를 사용하고 폰트를 일본어 폰트로 지정하면 신자체로 출력된다. == 용례 == === [[단어]] === * [[계수기]]([[計]][[數]]器) * [[계측기]]([[計]][[測]]器) * [[기관]](器[[官]]) * [[기관계]](器[[官]][[系]]) * [[생식 기관]]([[生]][[殖]] 器[[官]]) * [[소화 기관]]([[消]][[化]] 器[[官]]) * [[전정기관]]([[前]][[庭]]器[[官]]) * [[기구]](器[[具]]) * [[농기구]]([[農]]器[[具]]) * [[실험 기구]]([[實]][[驗]] 器[[具]]) * 기세간(器[[世]][[間]]) * 기세계(器[[世]][[界]]) * [[기악]](器[[樂]]) * 기장(器[[仗]]) * [[녹음기]]([[錄]][[音]]器) * [[도기]]([[陶]]器) * [[도자기]]([[陶]][[瓷]]器) * [[동도서기]]([[東]][[道]][[西]]器) * [[무기]]([[武]]器) * [[무기상점]]([[武]]器[[商]][[店]]) * 분석기([[分]][[析]]器/[[分]][[析]]機) * [[질량분석기]]([[質]][[量]][[分]][[析]]器) * [[병기#s-1|병기]]([[兵]]器) * [[핵병기]]([[核]][[兵]]器) * [[보행기]]([[步]][[行]]器) * 석기([[石]]器) * [[석기 시대]]([[石]]器 [[時]][[代]]) * [[소화기]]([[消]][[火]]器) * [[식기]]([[食]]器) * [[악기]]([[樂]]器) * [[건반악기]]([[鍵]][[盤]][[樂]]器) * [[관악기]]([[管]][[樂]]器) * [[전자악기]]([[電]][[子]][[樂]]器) * [[체명악기]]([[體]][[鳴]][[樂]]器) * [[타악기]]([[打]][[樂]]器) * [[현악기]]([[絃]][[樂]]器) * [[안마기]]([[按]][[摩]]器) * [[용기#s-3]]([[用]]器) * [[유기(금속)|유기]]([[鍮]]器) * [[자기]]([[瓷]]器) * [[내장|장기]]([[臟]]器) * [[제기]]([[祭]]器) * [[조준기]]([[照]][[準]]器) * [[채혈기]]([[採]][[血]]器) * [[철기]]([[鐵]]器) * [[철기 시대]]([[鐵]]器 [[時]][[代]]) * 청동기([[靑]][[銅]]器) * [[청동기 시대]]([[靑]][[銅]]器 [[時]][[代]]) * [[측우기]]([[測]][[雨]]器) * [[토기]]([[土]]器) * [[민무늬 토기|무문토기]]([[無]][[紋]][[土]]器) * [[신라토기]]([[新]][[羅]][[土]]器) *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櫛]][[紋]][[土]]器) * [[흉기]]([[凶]]器) * [[화기]]([[火]]器) * [[개인화기]]([[個]][[人]][[火]]器) * [[소화기(동음이의어)|소화기]]([[小]][[火]]器) * [[중화기]]([[重]][[火]]器) * [[지원화기]]([[支]][[援]][[火]]器) === [[고사성어]]/[[숙어]] === * [[대기만성]]([[大]]器[[晩]][[成]]) * [[병자불상지기]]([[兵]][[者]][[不]][[祥]][[之]]器) * 수수방원기([[水]][[隨]][[方]][[圓]]器) === [[인명]] === * [[도키테 츠카사]]([[土]]器[[手]] [[司]]) * [[우도 부키코]]([[兎]][[洞]] [[武]]器[[子]]) * [[키루마 타츠키]]([[切]][[間]] [[撻]]器) === [[지명#s-2]] === * [[고키소역]]([[御]]器[[所]][[駅]]) * [[기흥구]](器[[興]][[區]]) * [[기흥역]](器[[興]][[驛]]) === [[창작물]] === === 기타 === * 반려기구([[伴]][[侶]]器[[具]]) * [[육변기]]([[肉]][[便]]器) == 유의자 == * [[䀍]](그릇 감) * [[䀇]](그릇 고) * [[罆]](그릇 관) * [[盀]](그릇 기) * [[𥂦]](그릇 돈) * [[甐]](그릇 린) * [[皿]](그릇 명) * [[𥁅]](그릇 박) * [[銢]](그릇 벽) * [[䀅]](그릇 사) * [[㔵]](그릇 선) * [[㼩]](그릇 성) * [[盨]](그릇 수) * [[㿾]](그릇 저) * [[汁]](그릇 집) * [[錩]](그릇 창) * [[鋐]](그릇 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哭]](울 곡) * [[嚚]](어리석을 은) * [[𡅱]](부르짖을 환) * [[囂]](들렐 효) * [[𡼚]] * [[𩁁]]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