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回}}}돌아올 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囗|{{{#000,#fff 囗}}}]],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イ, (エ){{{#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まわ-る, まわ-す,[br]{{{#c88 か-える, めぐ-らす, めぐ-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回는 ''''돌아올 회''''라는 [[한자]]로, '돌아오다', '돌다', '돌이키다' 등을 뜻한다. 이중절연마크(double insulation symbol)를 가리키기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6DE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WR(田口)로 입력한다. [[파일:回 자형 변천과정.jpg]] [[갑골문]]부터 존재했던 한자로, '''물길이 한 지점을 빙빙 도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파일:回 필순.gif]]|| 필순은 바깥쪽의 [[囗]]을 쓰다가 아래 부분의 획을 쓰기 전에 안쪽의 [[口]]를 쓴 뒤 마지막에 [[囗]]의 아래를 닫는 순서로 쓴다. 현재의 자형은 [[囗]](에워쌀 위)와 [[口]](입 구)가 합쳐진 자형이기 때문에 부수가 헷갈릴 수 있으나 바깥쪽의 [[囗]]가 부수다. 몇 번째 반복하고 있는지 셀 때 '몇 회'로 사용한다. [[番]]([[차례 번]])과 혼용하여 '몇 번'으로도 사용한다. [[애니메이션]], [[드라마]] 같은 방송 프로그램이나 [[만화]], [[웹툰]] 같은 서브컬처에서 일정 주기마다 연재나 방영하는 작품의 이야기의 단위로 쓰인다. [[話]]([[말씀 화]])와 혼용하여 쓰지만 원론적으로 話는 이야기 내부 기준의 단위인 반면에 回는 이야기 외부 기준의 단위다. == 용례 == === [[단어]] === * '''[[회(동음이의어)|회]] (回)''' * 만회 (挽回) * 선회 (旋回) * [[일회용]] (一回用) * 회고 (回顧) * 회군 (回軍) * [[위화도 회군]] (威化島 回軍) * [[회갑]] (回甲) * [[회귀]] (回歸) * [[회귀 분석]] (回歸 分析), [[회귀선]] (回歸線) * 회답 (回答) * [[회랑]] (回廊) * [[회로]] (回路) * [[전기회로]] (電氣回路) * [[회복]] (回復) * 회부 (回附) * [[회상]] (回想) * 회생 (回生) * [[회생법원]] (回生法院) * [[회수]] (回收) * 회유 (回游/回遊) * [[회전]] (回轉) * [[공회전]] (空回轉) * [[회전문]] (回轉門) * [[회전체]] (回轉體) * [[회전초밥]] (回轉[[醋]]밥) * [[회전축]] (回轉軸) * [[회차]] (回車) * [[회차지점]] (回車地点) * [[회피]] (回避) * 횟수 (回數)[*사이시옷 찻간,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철회 (撤回) === [[고사성어]]/[[숙어]] === * 구회지장 (九回之腸) * [[기사회생]] (起死回生) * [[회광반조]] (回光返照) === [[인명]] === * [[카이바라 센]](回[[原]] [[旋]]) === [[지명#s-2]] === * [[닝샤 후이족 자치구]]([[宁]][[夏]]回[[族]][[自]][[治]][[区]]) * [[회룡역]] * [[휘경동]] * [[회기역]] === [[창작물]] === * [[회귀수선전(回歸修仙傳)]] * [[1000回潤んだ空]] * [[回レ!雪月花]] * [[回想]] * [[回:Walpurgis Night]] * [[回:LABYRINTH]] * [[回:Song of the Sirens]] * [[最終回STORY]] * [[突確全回転!]] * [[帰り道は遠回りしたくなる]] * [[アラベスクの回廊]] * [[迷宮電子回廊]] === 기타 === * [[행복회로|행회]]([[幸]]回) * [[회빙환]](回[[憑]][[還]]) == 유의자 == * [[歸]](돌아갈 귀) * [[復]](돌아올 복) * [[旋]](돌 선) * [[還]](돌아올 환) * [[廻]](돌 회)[* 2급 한자. 다른 동훈동음 한자와 달리 실질적으로 回와 거의 같은 용법으로, 回 대신 들어가도 뜻이 맞으며 반대로 廻 자리에 回를 넣어도 단어가 된다. 그나마 回는 안 되고 廻를 써야 하는 경우는 [[윤회]](輪廻) 하나뿐이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囙]](인할 인)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