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坪}}}들 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A [[平]](평평할 평)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ヘ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ぼ{{{#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A [[平]](평평할 평)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í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坪은 ''''들 평''''이라는 [[한자]]로, '들', '평(坪, 단위명사)'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들 || || {{{-1 '''음'''}}} ||평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píng || || {{{-1 '''[[광동어]]'''}}} ||ping || || {{{-1 '''[[객가어]]'''}}} ||phìn[*文 [[문독]]] / phiàng[*白 [[백독]]] || || {{{-1 '''[[민북어]]'''}}} ||bia̿ng || || {{{-1 '''[[민동어]]'''}}} ||bàng || || {{{-1 '''[[민남어]]'''}}} ||phêng[*文] / phiâⁿ[*白] || || {{{-1 '''[[오어]]'''}}} ||bi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ヘイ}}} || || {{{-1 '''훈독'''}}} ||つぼ || ||<-3> || ||<-2> '''[[베트남어]]''' ||bình || [[유니코드]]에는 U+576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MFJ(土一火十)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平]](평평할 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평#s-1]](坪): 주택 따위의 면적을 세는 단위. 1평은 약 3.3㎡(평방미터, 제곱미터)에 해당한다.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니노츠보 아야카시마루]]([[二]]ノ坪 [[怪]][[士]][[丸]]) * [[오오츠보 유카]]([[大]]坪 [[由]][[佳]]) * [[이준평]]([[李]][[俊]]坪) * [[츠보우치 쇼요]](坪[[内]] [[逍]][[遥]]) * [[츠보이 토모히로]](坪[[井]] [[智]][[浩]]) === [[지명#s-2]] === * [[녹사평역]]([[綠]][[莎]]坪[[驛]]) * [[양평역(서울)|양평역]]([[楊]]坪[[驛]]): 서울의 양평역 * [[장한평역]]([[長]][[漢]]坪[[驛]]) * [[주평역]]([[舟]]坪[[驛]]) * [[증평군]]([[曾]]坪[[郡]]) * [[증평역]]([[曾]]坪[[驛]]) * [[증평읍]]([[曾]]坪[[邑]]) * [[차가평역]]([[車]][[家]]坪[[驛]])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모평리([[模]]坪[[里]])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모평제방길([[模]]坪[[堤]][[防]]길) * [[평촌역]](坪[[村]][[驛]]) == 유의자 == * [[郊]](들 교) * [[野]](들 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䍈]](두레박 병) * [[䶄]](쥐이름 병) * [[𦓬]](쟁기자루 칭) * [[秤]](저울 칭) * [[𤖳]](나무 쪼개는 소리 팽) * [[砰]](돌 구르는 소리 팽) * [[軯]](수레소리 팽) * [[伻]](심부름꾼 팽) * [[怦]](곧을 평) * [[玶]](구슬이름 평) * [[胓]](굳기름 평) * [[㛁]](급할 평) * [[鮃]](넙치 평) * [[泙]](물소리 평) * [[蚲]](바구미 평) * [[枰]](바둑판 평) * [[駍]](수레소리 평) * [[呯]](애교 있는 음성 평) * [[𤘾]](얼룩소 평) * [[䍬]](얼룩양 평) * [[岼]](지명 평) * [[抨]](탄핵할 평) * [[評]](평할 평) * [[𨠟]](팽) * [[𧲺]](피) * [[垀]](낮은 담 호) * [[𢏊]] * [[𨸶]] * [[𤇊]] * [[𥘴]] * [[𦨫]] * [[𥹒]] * [[𨥾]]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