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塊}}}흙덩이 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たまり, {{{#c88 つちく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u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塊는 ''''흙덩이 괴''''라는 [[한자]]로, '흙덩이', '덩어리'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흙덩이 || || {{{-1 '''음'''}}} ||괴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uài || || {{{-1 '''[[광동어]]'''}}} ||faai^^3^^ || || {{{-1 '''[[객가어]]'''}}} ||khoai || || {{{-1 '''[[민북어]]'''}}} ||ko̿[*文 [[문독]]] / tī[* 속독] || || {{{-1 '''[[민동어]]'''}}} ||kuái[*文] / dó̤i[* 속독] || || {{{-1 '''[[민남어]]'''}}} ||khoài[*文] / tè[* 속독] || || {{{-1 '''[[오어]]'''}}} ||khue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イ || || {{{-1 '''훈독'''}}} ||かたまり, {{{#c88 くれ, つちくれ}}} || ||<-3> || ||<-2> '''[[베트남어]]''' ||khối || [[유니코드]]에는 U+58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HI(土竹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鬼]](귀신 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속자로 凷가 있으며, [[屆]](이를 계)의 구성 요소로 쓰인다.[* 한국보다 일본과 중국에서 훨씬 많이 쓰이지만, 그마저 凷를 由로 바꿔서 届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괴광(塊[[鑛]]) * 괴근(塊[[根]]) * 괴상(塊[[狀]]) * 괴연(塊[[然]]) * 괴주(塊[[朱]]) * 괴철(塊[[鐵]]) * 괴탄(塊[[炭]]) * 괴형(塊[[形]]) * 강괴([[剛]]塊/[[鋼]]塊) * 근괴([[根]]塊) * [[금괴]]([[金]]塊) * 기괴([[氣]]塊) * 단괴([[團]]塊) * [[단괴국]]([[團]]塊[[國]]) * 담괴([[痰]]塊) * 사괴석([[四]]塊[[石]]) * 사괴지([[四]]塊[[紙]]) * 설괴([[雪]]塊) * 소괴([[小]]塊/[[燒]]塊) * [[수괴]]([[水]]塊) * 암괴([[巖]]塊) * 육괴([[肉]]塊) * [[은괴]]([[銀]]塊) * 응괴([[凝]]塊) * 자괴([[自]]塊) * 점괴([[粘]]塊) * 조괴([[造]]塊) * 지괴([[地]]塊) * 토괴([[土]]塊) * 포괴([[泡]]塊) * 혈괴([[血]]塊) * [[금장혈괴]]([[金]][[仗]][[血]]塊) === [[고사성어]]/[[숙어]] === * 역괴([[礫]]塊) * 점괴([[苫]]塊) * 침점침괴([[寢]][[苫]][[枕]]塊)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괴혼]](塊魂) == 유의자 == * [[蕢]](흙덩이 괴) * [[堛]](흙덩이 벽) * [[墣]](흙덩이 복) * [[壤]](흙덩이 양) * [[土]](흙 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愧]]/[[媿]](부끄러울 괴) * [[瑰]](옥돌 괴) * [[傀]](허수아비 괴) * [[槐]](홰나무 괴) * [[餽]](먹일 궤) * [[魄]](넋 백) * [[隗]](높을 외) * [[溾]](더러울 외) * [[磈]](돌 외) * [[魏]](성 위) * [[醜]](추할 추) * [[魂]](넋 혼) * [[螝]](번데기 회) == 기타 == 중국어에서는 [[위안]]의 구어체에 해당해서 사용빈도가 매우 높으며 HSK1급에 배정되어 있다.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