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夫}}}지아비 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大|{{{#000,#fff 大}}}]],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フ, (フウ), {{{#c88 ブ}}}}}}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っと, {{{#c88 おとこ, そ-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ū, {{{#c88 fú}}}}}}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편''' 또는 '''성씨 부(夫).''' 남편, 지아비, 선생 등의 뜻으로 주로 쓰이나 [[한국의 성씨|성씨]]에도 쓰이는 [[한자]]. 또한 주로 육체적 노동을 하는 일의 직업 접미사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농부, 어부 등이 있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夫.png|width=100%]]}}}|| [[大]](큰 대) 자 위에 [[一]](한 일)이 획 하나가 더 추가된 모양으로, 머리를 틀고 비녀를 꽂은([[관례]]를 치른) 성인 남자를 본뜬 [[상형자]]이다. 혹은 하늘천자 위에 긴획이 추가된 모습으로써 "가장은 하늘보다 높다" 라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 글자는 '사내'나 '[[남편]]'의 의미를 가지나, [[한문]]에서는 대사(代詞)로서 '3인칭', '지시대명사'의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또한 발어사로서 '무릇'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또한 문장 끝에 붙어 어기조사로서도 쓰이는 데 현재 만다린의 [[吧]]와 용법이 비슷하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남편', '사내', '성인 남자'의 뜻일 때는 甫無切(표준중국어에서는 fū)로, 지시대명사, 발어사, 어기조사로 쓰일 때는 防無切(표준 중국어에서는 fú)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가독부]](可毒夫) * 고모부(姑母夫) * [[공부]](工夫) * [[광부]](鑛夫) * [[농부]](農夫) * [[대부#s-10]](大夫) * [[마부]](馬夫) * [[망부석]](望夫石) * [[명림답부]](明臨答夫) * [[매부]](妹夫) * [[배달부]](配達夫) * 부군(夫君) * [[부부]](夫婦) * 노부부(老夫婦), [[부부동성]](夫婦同姓), [[부부별성]](夫婦別姓), [[부부수]](夫婦數), 신혼부부(新婚夫婦) * [[부인]](夫人) * [[귀부인]](貴夫人), [[영부인]](令夫人) * [[사대부]](士大夫) * [[어부]](漁夫) * [[우체부]](郵遞夫) * [[유부녀]](有夫女) * 이모부(姨母夫) * [[인부]](人夫) * [[일부다처제]](一夫多妻制) *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 [[일처다부제]](一妻多夫制) * [[잠수부]](潛水夫) * 장부(丈夫) * [[대장부]](大丈夫), [[여장부]](女丈夫) * [[청소부]](淸掃夫) * [[형부]](兄夫) === [[고사성어]]/[[숙어]] === * 夫婦有別 부부유별 * 夫婦有別長幼有序 부부유별장유유서 * 夫婦之間 부부지간 * 夫婦之道二姓之合 부부지도이성지합 * 夫婦之約 부부지약 * 夫婦之情 부부지정 * 夫爲婦綱 부위부강 * 夫爲婦綱是謂三綱 부위부강시위삼강 * [[부창부수]](夫唱婦隨) * 夫和婦順 부화부순 * 夫和婦順家和之本 부화부순가화지본 * [[어부지리]](漁夫之利) === [[인명]] === * [[규타로]]([[妓]]夫[[太]][[郎]]) * [[김거칠부]]([[金]][[居]][[柒]]夫) * [[명림답부]]([[明]][[臨]][[答]]夫) * [[위다푸]](郁达夫): 중국 청말 민국초의 문학 작가이자 혁명운동가 * [[즙간부]]([[辻]][[幹]]夫)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 [[聡]]) * [[카타코리 스기오]]([[形]][[氷]] [[杉]]夫) * [[제주 부씨|제주 '''부'''씨]] 계통의 한국인 (희귀 성씨) * 가수 [[승관]] (본명 '''부승관'''; '''夫'''[[勝]][[寬]]) === [[지명#s-2]] === * [[부여]](夫[[餘]]) * [[남부여]]([[南]]夫[[餘]]), 부여국(夫[[餘]][[國]]) * 부여현(夫[[餘]][[峴]]) * 부호도(夫[[湖]][[島]]) == 상대자 == * [[婦]](며느리 부)[* '며느리' 이외에 '부인(婦人)'을 뜻하기도 한다.] * [[氏]](각시/성씨 씨) * 嬬(아내 유) * [[妻]](아내 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关]](관계할 관) * 圥(버섯 록) * [[仧]](길 장) * [[尖]](뾰족할 첨)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