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奭}}}클/쌍백 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大|{{{#000,#fff 大}}}]],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セ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奭은 '''클/쌍백 석'''이라는 [[한자]]로, '크다', '성내다' 등을 뜻한다. == 자형 == ||[[파일:43_E68C.png|width=100&height=100]]||[[파일:43_E67A.png|width=100&height=100]]||[[파일:43_E696.png|width=100&height=100]]||[[파일:43_E690.png|width=100&height=100]]||[[파일:43_E685.png|width=100&height=100]]||[[파일:43_E659.png|width=100&height=100]]|| ||<-6> [[갑골문]] || ||[[파일:31_F376.png |width=100&height=100]]|| ||<-1> [[상나라]] [[금문]] ||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96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MAA(大一日日)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大]](큰 대)와 소리를 나타내는 [[皕]](이백 벽)이 합쳐진 [[형성자]]라는 건 [[민간어원]]이다. >부인의 경우에는 유방을 모티브로 삼아 그 주위에 빙 둘러 문신을 했다. 갑골복사나 은나라 금문에는 선왕의 왕비([[王]][[妣]], [[后]][후])를 가리켜 [[https://namu.wiki/w/%ED%8C%8C%EC%9D%BC:43_E685.png|#]][* 원문은 비슷한 형태의 [[갑골문]]이다.]라고 했다. 이 글자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들이 있었다. 나진옥(羅振玉)은 그 문양 부분을 두 개의 火(화) 형상으로 보았고, 당란(唐蘭)은 양 겨드랑이에 皿(명, 그릇)을 끼고 있는 형태라고 보았다. 기이한 술수를 부리는 재주꾼으로 나타낸다고 본 해석이다. 곽말약은 두 젖가슴의 상징으로 여겨, 母(모)의 이문(異文, 이체자)이라고 보았다. 모두 그 문양이 문신이란 사실에는 생각이 미치지 못 했다. 부조(父祖)를 문조문고(文祖文考)라고 하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https://namu.wiki/w/%ED%8C%8C%EC%9D%BC:43_E685.png|#]] 글자는 선왕의 왕비(王妣)를 부르는 말이엇다. "大乙(대을)[* 그러나 [[전국시대]] 이전의 [[大]]는 '''"태"'''로 읽음이 마땅하다.]의 [[https://namu.wiki/w/%ED%8C%8C%EC%9D%BC:43_E685.png|#]]妣(비) 丙(병)". "武丁(무정)의 [[https://namu.wiki/w/%ED%8C%8C%EC%9D%BC:43_E685.png|#]]妣(비) 辛(신)"과 같은 식으로 말했다. 爽(상)이나 奭(석)도 그 문신의 형상을 표시한 것으로, 두 글자 모두 '분명하다, 선명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문신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듯하다. 두 젖에 침으로 문신을 가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고통을 수반했을 것이다. 그것을 나타내는 䀌(진, 슬퍼하다)이란 글자가 있어서 『설문해자』에서는 '傷痛(상통)이다.'라는 자훈을 부여했다. >---- >『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沈慶昊)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7, 271~272 pp. [[文]]이 남성의 가슴에 새긴 [[문신]]을 본뜬 한자인 것처럼 이 한자는 여성의 [[슴가]]에 새긴 [[문신]]을 본뜬 한자다. 남성과 달리 [[爽]]을 비롯한 여러 [[해서]]로 갈라졌다. [[百]](일백 백)이 두 번 들어갔다고 '쌍백 석'이라고도 한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김광석(축구인)|김광석]]([[金]][[光]]奭): 축구인 * [[에반(유호석)|유호석]]([[劉]][[昊]]奭) * [[조석(만화가)|조석]]([[趙]]奭): 만화가 * [[조정석]]([[曺]][[政]]奭) * [[최석(고려)#s-1|최석]]([[崔]]奭): 고려 중기의 문신 * [[이경석]]([[李]][[景]]奭) * [[소공석]]([[召]][[公]] 奭)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성내다''' * [[愾]](성낼 개) * [[怒]](성낼 노) * [[忿]](성낼 분) * [[嗔]](성낼 진) * [[哮]](성낼 효) == 상대자 == * '''크다''' * [[麽]](작을 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爽]](시원할 상)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