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宣}}}베풀 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宀|{{{#000,#fff 宀}}}]],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のたま-う, の-べ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u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宣은 ''''베풀 선''''이라는 [[한자]]로, '베풂', 즉 일을 차리어 벌이는 행위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베풀다 || || {{{-1 '''음'''}}} ||선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uān || || {{{-1 '''[[광동어]]'''}}} ||syun^^1^^ || || {{{-1 '''[[객가어]]'''}}} ||siên || || {{{-1 '''[[민동어]]'''}}} ||sŏng || || {{{-1 '''[[민남어]]'''}}} ||soan || || {{{-1 '''[[오어]]'''}}} ||xi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セン || || {{{-1 '''훈독'''}}} ||''のたま-う'' || ||<-3> || ||<-2> '''[[베트남어]]''' ||tuyên || [[유니코드]]에는 U+5BA3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ㄩㄢ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MAM(十一日一)으로 입력한다. 亘(펼 선)에 갓머리가 씌어진 형상이다. == 유래 == 宣은 갑골문에서도 발견된다. [[군주]]의 방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상나라]]에서 왕실을 선실(宣室)이라고도 했다는 점이 그 근거로 채택된다. == 뜻 == 원래는 왕의 뜻을 널리 알리는 행위를 뜻했다. 현대에는 주장, 사상, 독트린 등을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한다는 뜻으로 확장되었다. == 용례 == === [[단어]] === * 선고(宣[[告]]) * 선교사(宣[[敎]][[師]]) * 선서(宣[[誓]]) * 선양(宣[[揚]]) * 선언(宣[[言]]) * [[종전선언]]([[終]][[戰]]宣[[言]]) * 선전(宣[[傳]]) * 선전(宣[[戰]]) * 선전포고(宣[[戰]][[布]][[告]]) * 선포(宣[[布]]) === [[인명]] === * [[김영선(1960)|김영선]]([[金]][[映]]宣): 1960년생 * [[김선호]]([[金]]宣[[虎]]) * [[효민|박선영]]([[朴]]宣[[映]]) * [[배선]]([[裴]]宣) * [[우쉬안이|오선의]]([[吳]]宣[[儀]]) * [[윤선거]]([[尹]]宣[[擧]]) * [[이선구]]([[李]]宣[[求]]) * [[선미|이선미]]([[李]]宣[[美]]) * [[이선애]]([[李]]宣[[厓]]) * [[선덕왕]](宣[[德]][[王]]) * [[선동열]](宣[[銅]][[烈]]) * [[선병렬]](宣[[炳]][[烈]]) * [[선조]](宣[[祖]]) * [[최무선]]([[崔]][[茂]]宣) * [[충선왕]]([[忠]]宣[[王]])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전국에 사는 [[보성 선씨|선씨]]들이 모두 이 글자를 쓰고 있다. === [[지명]] === * [[선릉]](선[[정릉(서울 강남)|정릉]])(宣([[靖]])[[陵]]) * [[선릉역]](宣[[陵]][[驛]]) * [[선정릉역]](宣[[靖]][[陵]][[驛]]) * [[선릉로]](宣[[陵]][[路]]) * [[선화동(대전)|선화동]](宣[[化]][[洞]]) === [[창작물]] === * [[完全放棄宣言]]([[완전포기선언]]) == 유의자 == * [[肆]](방자할/베풀 사) * [[設]](베풀 설) * [[施]](베풀 시) * [[張]](베풀 장) * [[陳]](베풀 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𡘍]](사치할 환) * [[荁]](오랑캐꽃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