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張}}}베풀 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弓|{{{#000,#fff 弓}}}]],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は-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ā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張은 ''''베풀 장''''이라는 [[한자]]로, '베풀다', '넓히다'를 뜻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F3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SMV(弓尸一女)로 입력한다. * [[강희자전]]: 359페이지 19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0359.gif| ]] === 자원 === 훈을 나타내는 [[弓]](활 궁)과 음을 나타내는 [[長]](긴 장)이 합쳐진 [[형성자]]로 당기다의 뜻을 나타낸다. 이후 '베풀다', '펴다', '늘이다'의 뜻이 파생되었다. == 출전 == ||<:>출전||<:>원문|| ||[[설문해자]]||施弓弦也。从弓長聲。陟良切||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張) 弓弦也。各本作施。今正。、敷也。張弛、本謂弓施弦解弦。引申爲凡作輟之稱。禮記曰。張而不弛。文武弗能也。弛而不張。文武弗爲也。一張一弛。文武之道也。从弓。長聲。陟良切。十部。|| ||[[강희자전]]||〔古文〕弡《唐韻》陟良切《集韻》《韻會》中良切,帳平聲。《說文》施弓弦也。《禮·曲禮》張弓尚筋。《儀禮·鄕射禮》勝者執張弓。 又《廣雅》大也。《詩·大雅》孔修且張。《書·康王之誥》張皇六師。 又《廣雅》施也。《史記·武帝紀》張羽旗,設供具,以祀神君。 又《廣韻》開也。《老子·道德經》將欲翕之,必故張之。 又《韻會》設也。《史記·曹相國世家》取酒張坐飮。 又施絃曰張。《前漢·董仲舒傳》琴瑟不調甚者,必解而更張之。 又羅取鳥獸曰張。《周禮·秋官·冥氏》掌設弧張。《註》弧張,罿罦之屬。《後漢·王喬傳》自縣詣臺朝,輒有雙鳧飛來,舉羅張之,但得一隻舄焉。 又計物之數曰張。《左傳·昭十三年》子產以幄幕九張行。《後漢·明帝八王傳》寵有彊弩數千張。 又星名。《史記·律書》西至于張。張者,言萬物皆張也。《天官書》張素爲廚,主觴客。《正義》張六星,六爲嗉,主天廚飮食,賞賚觴客。 又譸張,誑也。《書·無逸》民無或胥,譸張爲幻。 又蹶張,以足張弩也。《前漢·申屠嘉傳》以材官蹶張。《註》如淳曰:能脚踏强弩張之,故曰蹶張。師古曰:今之弩,以手張者曰擘張,以足張者曰蹶張。 又乖張,相戾也。《司馬貞·補史記序》其中遠近乖張。 又姓。《廣韻》本自軒轅第五子揮,始造弦,實張網羅,世掌其職,後因氏焉。風俗通云:張王李趙,黃帝賜姓也。出淸河,南陽,吳郡,安定,燉煌,武威,范陽,犍爲,沛國,梁國,中山,汲郡,河內,高平十四望。《詩·小雅》張仲孝友。 又《廣韻》《集韻》《韻會》《正韻》知亮切,音帳。《廣韻》張施。《集韻》設也。《周禮·天官·掌次》掌凡邦之張事。《前漢·王尊傳》供張如法而辦。 又《韻會》自侈大也。《左傳·桓六年》隨張必棄小國。《釋文》張,豬亮反。 又張絃之張,亦音帳。《嵆康·琴賦》伶倫比律,田連操張,進御君子,新聲亮。 又與脹通。《左傳·成十年》晉侯將食張如厠。《註》張,脹滿也。 又與帳通。《史記·高帝紀》復留止張飮三日。《註》張,幃帳也。 又《左傳·僖十五年》隂血周作,張脈僨興。《疏》血旣動作,脈必張起,故言張脈也。《釋文》張,中亮反。 又雄張。《後漢·班超傳》于寘王雄張南道。《註》雄張,猶熾盛也。張,丁亮反。|| == 용례 == === [[단어]] === * [[셈 측도|장]](張), 장수(張[[數]]) * [[갑오경장]]([[甲]][[午]][[更]]張) * [[경장]]([[更]]張) * [[과장]]([[誇]]張) * [[긴장]]([[緊]]張) * [[신장]]([[伸]]張) * [[양장피]]([[兩]]張[[皮]]) * 장황(張[[皇]]) - 매우 길고 번거로운 데가 있다. * [[주장]]([[主]]張) * [[출장]]([[出]]張) * 확장([[擴]]張) === [[고사성어]]/[[숙어]] === * 면장우피([[面]]張[[牛]][[皮]]) * [[장삼이사]](張[[三]][[李]][[四]]) * [[허장성세]]([[虛]]張[[聲]][[勢]])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992,721명, 전체 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인동(구미)|인동]](仁同), [[안동시|안동]](安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장(성씨)]] 문서 참조. 장씨 성을 가진 사람의 97%가 張을 쓴다. * [[마쓰모토 세이초]]([[松]][[本]] [[清]]張) * [[오오바리 마사미]]([[大]]張 [[正]][[己]]) * [[장리인]](張[[力]][[尹]]) * [[장보고]](張[[保]][[皐]]) * [[장비]](張[[飛]]) * [[장집]](張[[緝]]) * [[장쥔]](张[[军]]) * [[장푸썬]](张[[福]][[森]]) * [[카라하리 쿠우코]]([[空]]張 [[久]][[羽]][[子]]) * [[하리모토 토모카즈]](張[[本]] [[智]][[和]]) === [[지명#s-2]] === * [[나바리시]]([[名]]張[[市]])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機]]張[[郡]] [[機]]張[[邑]]) * [[유바리시]]([[夕]]張[[市]]) === 기타 === == 유의자 == * [[肆]](방자할/베풀 사) * [[宣]](베풀 선) * [[設]](베풀 설) * [[施]](베풀 시) * [[陳]](베풀 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躼]](키클 로) * [[涱]](진 액, 넘칠 창) * [[𩸕]](갯장어 장) * [[䗅]](그리마 장) * [[䠆]](무릎꿇을 장) * [[䛫]](속일 장, 구애받지않을 쟁) * [[粻]](양식 장) * [[餦]](엿 장) * [[帳]](장막 장) * [[賬]](휘장/장부 장) * [[掁]](닿을 쟁) * [[䂻]](막을 정/쟁) * [[棖]](문설주 정) * [[𤲘]]^^[⿰田長]^^(곡식나지않을 창)[* [[畼]](곡식나지않을 창)의 [[동자#s-2]]] * [[倀]](귀신이름/갈팡질팡할 창) * [[鋹]](날카로울 창) * [[脹]](부을 창) * [[悵]](슬플 창) * [[𥇔]]^^[⿰目長]^^/[[𤟔]]^^[⿰犭長]^^(원망할 창) * [[韔]]/[[䩨]](활집 창) * [[𬼓]]^^[⿰垂長]^^ * [[𰅸]]^^[⿰十長]^^ * [[𪥽]]^^[⿰女長]^^ * [[𫪛]]^^[⿰口長]^^ * [[𤊞]]^^[⿰火長]^^ * [[𪯹]]^^[⿰方長]^^ * [[𪺑]]^^[⿰爪長]^^ * [[𰖎]]^^[⿰日長]^^ * [[𤬅]]^^[⿰瓜長]^^ * [[𬔡]]^^[⿰立長]^^ * [[𧛇]]^^[⿰衤長]^^ * [[𦁢]]^^[⿰糸長]^^ * [[𮝙]]^^[⿰車長]^^ * [[𮡙]]^^[⿰里長]^^ * [[𨲍]]^^[⿰長長]^^ * [[𮦳]]^^[⿰雷長]^^ * [[𮪉]]^^[⿰馬長]^^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𢊜]]^^[⿸广張]^^(으슥한곳 병) * [[𢐓]]^^[⿱張弓]^^(옥소리 장)[* [[鏘]](옥소리 장)의 [[동자#s-2]]] * [[𨄰]]^^[⿰𧾷張]^^(발뒤꿈치 장) * [[瘬]](부을 장/창) * [[㙣]](부풀어오를 장) * [[漲]](넘칠 창) * [[㯑]](탱자나무 탱) * [[𫣖]]^^[⿰亻張]^^ * [[𢐘]]^^[⿰弓張]^^ * [[𫫧]]^^[⿰口張]^^ * [[𢳫]]^^[⿰扌張]^^ * [[𦸾]]^^[⿱艹張]^^ * [[𧐊]]^^[⿰虫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