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6급 한자]][[분류:준특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속자로 잘못 알려진 본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強}}}강할 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弓|{{{#000,#fff 弓}}}]],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ョウ, ゴ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よ-い, つよ-まる, つよ-める,[br]し-いる, {{{#c88 あなが-ち, こわ-い,[br]したた-か, つと-め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àng, qiáng, qiǎ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強자는 ''''강할 강''''이라는 [[한자]]로, '강(強)하다'와, 순우리말로는 '세다', '굳세다' 등의 의미를 지닌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강하다 || || {{{-1 '''음'''}}} ||<-2>강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iáng ||qiǎng || || {{{-1 '''[[광동어]]'''}}} ||koeng^^4^^ ||koeng^^5^^ || || {{{-1 '''[[객가어]]'''}}} ||khiòng ||khiòng || || {{{-1 '''[[민북어]]'''}}} ||giǒng ||giǒng || || {{{-1 '''[[민동어]]'''}}} ||giòng ||giōng || || {{{-1 '''[[민남어]]'''}}} ||kiông ||kióng || || {{{-1 '''[[오어]]'''}}} ||jjian (T3) ||jjian (T3) || ||<-4> || ||<|2> '''[[일본어]]''' || {{{-1 '''음독'''}}} ||<-2>キョウ, ゴウ || || {{{-1 '''훈독'''}}} ||<-2>つよ-い, つよ-まる, つよ-める,[br]し-いる, {{{#c88 あなが-ち, こわ-い,[br]したた-か, つと-める}}} || ||<-4> || ||<-2> '''[[베트남어]]''' ||cường ||cưỡng || 뜻을 나타내는 [[虫]](벌레 충)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弘]](넓을 홍)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강하다, 굳세다 등의 뜻을 갖고 있다. 비슷한 의미와 음을 가진 한자들로 [[鋼]]자, [[剛]]자, [[彊]]자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뜻과 음이 비슷해서 자주 혼동되며, 어느 정도 호환되기도 한다. 다만 鋼자는 강하다는 뜻보단 [[강철|강]](금속)의 의미로 자주 쓰인다. 원래는 彊자가 강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었고 強자는 원래 해충 바구미[* [[설문해자]]에 強은 "[[蚚]]也"라고 하였고, [[蚚]]는 "強也"라고 호훈(互訓)하여 동의어로 풀이했다.]라는 뜻이었다. 나중에 強의 의미가 강하다로 변하면서 彊은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또한 '억지로'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강제(強制), 강요(強要) 등. 중국어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강하다'라는 뜻일 때는 평성으로, '강제하다', '강요하다'라는 뜻일 때는 상성으로 읽는다. 반대말은 약([[弱]])이고, 같은 뜻의 [[순우리말]]은 '굳다', '세다', '단단하다'이다. 예)[[셈여림]]. 참고로, 같은 뜻의 순일본어는 [ruby(強, ruby=つよ)]い. == [[이체자]] 强 == 強자의 [[이체자]]로 强이 파생되었다. 强은 활 궁([[弓]])자 부변에 虽([[口]]+[[虫]])자가 결합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유니코드]]에는 U+5F3A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ㄑㄧㄤˊ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RLI(弓口中戈)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특급(중학용)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본자인 強자는 한국어 한자 입력기로 입력하기도 어려운데, 사실 이건 KS X 1001 [[완성형]]에 强자를 넣어 놨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만약 완성형에 强자가 아니라 強자를 넣어 놨다면 반대로 强자가 더 입력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전산 때문에 强자 쪽이 더 입력하기 쉬우나 사실 強자가 오히려 원형이며 强자는 파생자다. 그래서 强자는 [[정체자]]로 취급하지 않는 것이 어학계의 주류 입장이며, [[대만]]과 [[일본]] 등지에서는 強자만을 표준자형으로 인정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强자를 표준자형으로 삼고 있는데(强자가 간체자, 強자가 번체자 취급이다) 이유는 불명이다. 특이하게도 이는 간체에서 획이 더 늘어난 몇 안 되는 경우이다(11획 → 12획).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1990년대 들어 한국어문회 등 한자검정시험에서도 强자를 強자로 바로잡아 교육하고 있어서 한자검정 교재로 한자를 처음 공부했다면 強자가 더 익숙할 수 있다. 그래서 強자와 强자를 별개의 한자로 간주하여 強은 6급으로 지정해 놓은 반면 强자는 준특급[* 웬만한 한문 덕후나 한문 교사, 한문학 전공자나 기타 한자가 꼭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이상 안 보는 급이다. 그만큼 어렵기도 하고. 심지어 일반인들은 저 급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으로 지정해 놓았다. [* 이와는 정 반대로 획수가 더 적은 쪽인 皋자는 신자체로 인정받지 못하고 중화권에서 쓰이는데, 반대로 정체자인 皐자가 일본에서 쓰이는 한자라고 한다.] 다만 强자가 분화된 시기 자체는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强자의 원시형이 발견된 가장 오래된 기록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진]](秦)대의 봉태산비(封泰山碑)에 이른다.) 한국어문회는 몰라도 다른 기관의 한자 자격 시험은 하도 强자로 쓰는 사람이 많아서 强자도 정답으로 인정하는 듯하다. 최신 한자 교재나 교과서에서는 強자로 정정된 경우도 많으나, 유니코드상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强자로 인쇄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雖]](비록 수)자는 强자와 정반대인데, 雖자는 虽자 부분이 원래부터 이랬다. 唯자가 성부, 虫자가 형부로 구성된 [[형성자]]이기 때문이다. 즉 雖자가 본자이고, 虽자 부분이 𧈧자로 바뀐 이체자 𨿽자가 존재하는데 그것이 속자로 취급받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강간]](強[[姦]]) * [[강간죄]](強[[姦]][[罪]]) * [[강경]](強[[硬]]) * 강경증(強[[硬]][[症]]) * 강경책(強[[硬]][[策]]) * 강경파(強[[硬]][[派]]) * [[강고]](強[[固]]) * [[강국]](強[[國]]) * 강군(強[[軍]]) * 강권(強[[權]]) * [[강대]](強[[大]]) * [[강대국]](強[[大]][[國]]) * [[강도]](強[[度]]/強[[盜]]) * [[강력]](強[[力]]) * [[강렬]](強[[烈]]) * [[강매]](強[[賣]]) * [[강박]](強[[迫]]) * 강박관념(強[[迫]][[觀]][[念]]) * 강박사고(強[[迫]][[思]][[考]]) * 강박상태(強[[迫]][[狀]][[態]]) * [[강박장애]](強[[迫]][[障]][[碍]]) * [[강병]](強[[兵]]) * [[강산(화학)|강산]](強[[酸]]) * [[강성]](強[[性]]/強[[盛]]) * [[강세]](強[[勢]]) * 강속구(強[[速]][[球]]) * [[강수]](強[[手]]) * 강심(強[[心]]) * [[강심장(단어)|강심장]](強[[心]][[臟]]) * 강압(強[[壓]]) * 강약(強[[弱]]) * [[강요]](強[[要]]) * [[강인]](強[[靭]]) * 강자(強[[者]]) * 강장(強[[壯]]) * 강장제(強[[壯]][[劑]]) * [[강적]](強[[敵]]) * 강점(強[[點]]) * [[강제]](強[[制]]) * [[강제노동]](強[[制]][[勞]][[動]]) * 강제력(強[[制]][[力]]) * 강제적(強[[制]][[的]]) * [[강제조정]](強[[制]][[調]][[停]]) * 강제징병(強[[制]][[徵]][[兵]]) * [[강조]](強[[調]]) * 강직(強[[直]]) * [[강진]](強[[震]]) * 강취(強[[取]]) * 강타(強[[打]]) * [[강탈]](強[[奪]]) * [[강풍]](強[[風]]) * [[강행]](強[[行]]) * [[강호#s-2|강호]](強[[豪]]) * [[강화]](強[[化]]) * 막강([[莫]]強) * 면강([[勉]]強)[* '억지로 하거나 시킴'이라는 뜻이다.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이나 일본어에서는 '[[공부]]'라는 뜻으로 널리 쓰인다.] * [[보강]]([[補]]強) * [[열강]]([[列]]強) * 완강([[頑]]強) * [[자강]]([[自]]強) * [[쯔창하오|자강호]]([[自]]強[[號]]) * [[최강]]([[最]]強) * [[강습#s-2|강습]](強[[襲]]) === [[고사성어]]/[[숙어]] === * 강장지년(強[[壯]][[之]][[年]]) === [[인명]] === * [[리커창]]([[李]][[克]]强): 現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국무원]] 총리 * [[이강철]]([[李]]强[[喆]]): 야구인, 現 [[kt wiz]] 감독. 前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 소속의 [[투수]] * [[강희(배우)|이강희]]([[李]]強[[熙]]): 모델 겸 배우 * [[감강찬]]([[甘]]強[[燦]]):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 === [[지명#s-2]] === === [[창작물]] === * [[男兒當自強]] * [[生きてく強さ]] * [[夜明けまで強がらなくてもいい]]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기타 === * [[강강약약]](強強[[弱]][[弱]]) * [[강약약강]](強[[弱]][[弱]]強) * [[강제전학]](強[[制]][[轉]][[學]]) * [[강제전학|강전]](強[[轉]]): '[[강제전학]]'의 준말 * [[강제퇴장]](強[[制]][[退]][[場]]) * [[강퇴]](強[[退]]) * 강추(強[[推]]): '강력 추천'의 준말 * [[시선 강간]]([[視]][[線]] 強[[姦]]) * [[역강간]]([[逆]]強[[姦]]) * 인자강([[人]][[自]]強) == 유의자 == * [[弜]](강할 강) * [[鋅]](강할 자) == 상대자 == * [[弱]](약할 약)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𧚴]](포대기 강)[* [[襁]](포대기 강)의 [[동자#s-2]]] * [[𠷣]](비웃을 치)[* [[嗤]](비웃을 치)의 [[동자#s-2]]] * [[𡟎]](추할 치) * [[𡌺]] * [[𣹑]] * [[𧪎]]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犟]]/[[𠎦]](고집셀 강) * [[䥒]](납 강) * [[𣩴]](넘어질 강) * [[鏹]](돈 강) * [[𩝽]](된밥 강) * [[䃨]](땅이름 강) * [[漒]](물이름 강) * [[糨]](미음 강) * [[謽]](뻣뻣할 강) * [[嵹]](산이름 강) * [[摾]]/[[𣚦]](창애 강) * [[襁]]/[[繈]](포대기 강) * [[蔃]](풀이름 강) * [[勥]](핍박할 강) * [[膙]](힘줄셀 강) * [[𠼢]](강) * [[𩌾]](강) * [[𡠥]] * [[𡠤]] * [[𢠌]] * [[𪻈]] * [[𥨀]] * [[𫋙]] * [[𩴒]] == 여담 == HSK 5급에 출제되는 한자이다. 2021년 중국공안부의 인명통계에 따르면 외자이름을 쓰는 국민중에 열 번째로 흔한 이름이 强이며 98%이상이 남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