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彫}}}새길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彡|{{{#000,#fff 彡}}}]],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ほ-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i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새길 조(彫)'''. '새기다', '조각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새기다 || || {{{-1 '''음'''}}} ||조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iāo || || {{{-1 '''[[광동어]]'''}}} ||diu^^1^^ || || {{{-1 '''[[객가어]]'''}}} ||tiâu || || {{{-1 '''[[민북어]]'''}}} ||diáu || || {{{-1 '''[[민동어]]'''}}} ||diĕu[*文 [[문독]]] / dĕu[*白 [[백독]]] || || {{{-1 '''[[민남어]]'''}}} ||tiau || || {{{-1 '''[[오어]]'''}}} ||tiau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チョウ || || {{{-1 '''훈독'''}}} ||ほ-る, ''え-る'' || ||<-3> || ||<-2> '''[[베트남어]]''' ||điêu || [[유니코드]]에는 U+5F6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RHHH(月口竹竹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彡]](터럭 삼)과 소리를 나타내는 [[周]](두루 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조각(彫[[刻]])[* [[雕]][[刻]]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 조소(彫[[塑]]) * 조탁(彫[[琢]])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중국어]] === 雕[diāo]: 새기다, 조각하다, 조각 작품. [[간체자]]가 [[정자(한자)|정자]]보다 획수가 많은 특이한 경우이다. == 유의자 == * [[刻]](새길 각) * [[刊]](새길 간) * [[銘]](새길 명) * [[敦]](도타울 돈, 다스릴 퇴, 제기 대, 모일 단, 아로새길 조, 덮을 도, 폭 준, 모을 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釤]](낫 삼) * [[影]](그림자 영) * [[彰]](드러날 창) * [[彩]](채색 채) * [[形]](모양 형)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