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 후일담.png|width=100%]]}}} || ||<-2> '''{{{#white 노래 정보}}}''' || || '''{{{#white 제목}}}''' || '''「後日譚」'''[br]{{{-1 (후일담, After Story)}}} || || '''{{{#white 작사}}}''' ||<|5>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진(프로듀서)|[[파일:진로고B.png|width=80]][br]{{{#373a3c 진}}}]]}}} || || '''{{{#white 작곡}}}''' || || '''{{{#white 편곡}}}''' || || '''{{{#white 보컬}}}''' || || '''{{{#white 기타}}}''' || || '''{{{#white 베이스}}}''' || [[kemu|{{{#black 호리에 쇼타}}}]] || || '''{{{#white 드럼}}}''' || [[히토리에 #s-3.1.3|{{{#black 유마오}}}]] || || '''{{{#white 일러스트}}}''' || [[사유키|{{{#black 사유키}}}]] || || '''{{{#white 영상}}}''' || [[INPINE|{{{#black INPINE}}}]] || || '''{{{#white 페이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3918719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zD-g1Sg4O5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white 투고일}}}''' || 2021년 8월 15일 || [목차] [clearfix] == 소개 == || '''「あの日死んだ少年に捧ぐ。」[br]「그날 죽은 소년에게 바친다.」''' ---- 꿈도, 망상도, 이야기도, 끝내버린 것은, 언제나 내 두 손이었다. ,,- [[알레고리즈]] 앨범 설명문에서 -,, || [[後日譚]](후일담)은 [[카게로우 프로젝트]]로 유명한 [[진(프로듀서)|진]]이 [[알파폴리스]] CM 타이업 곡으로 제공한 오리지널 곡이다. 주제는 '''진의 노래'''로 「카게로우 프로젝트 제작자로써의 진」이 아닌 '''「인간으로써의 진」'''의 괴로움이 주된 주제이다. 가사 중 "2004년 8월에 죽어있던 소년에게 바친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2004년 당시 진은 14세로 이때의 이야기를 곡으로 풀어낸 듯 하다.[* 이 가사와 함께 영상의 카메라 화면에 '''2004.08.15(日)'''라는 글자가 비친다. 실제로 2004년 8월 15일은 일요일이며, 공교롭게도 투고일도 일요일이다.] 뮤비의 남성은 영상 제작자인 [[INPINE]]이다.[* 원래 진은 "나머지는 알아서 해줘"라며 인파인에게만 영상을 맡겼는데 인파인이 사유키와 꼭 함께 작업하고 싶다고 하여 사유키가 일러스트로 참여했다고 한다. 일러스트 외 촬영 및 편집은 인파인 작품. 참고로 중간에 달리다가 구두가 벗겨지는 장면은 일부러 넣었다고(...)] 영상에 등장하는 글씨는 진의 여동생이 써줬다고 한다. 카게프로의 곡은 아니지만, 곳곳에서 카게프로의 흔적이 보인다. 투고일인 [[아지랑이 데이즈|8월 15일 오후 12시 30분]], 초반부의 [[리마인드 블루]]와 비슷한 멜로디, [[해질녘 예스터데이|해질녘]], [[RED(카게로우 프로젝트)|바보같은 어른들]], [[실상 워드|잃어버린 말]], [[눈을 응시하는 뱀|눈을 응시하고]] 등등. 진의 1st 미니 앨범 [[알레고리즈|「알레고리즈」]]에 8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같은 앨범의 Inst트랙인 Blank page와 Dedicate가 이 곡의 멜로디를 차용하고 있다.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39187199, width=640, height=360)]}}} || ||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D-g1Sg4O5k, width=640, height=360)]}}}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YouTube''' || == 미디어 믹스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jitsutan.png|height=177]]}}} || '''번역명''' || 후일담 || || '''원제''' || 後日譚 || || '''트랙''' || 1 || || '''발매일''' || 2021년 8월 15일 || || '''링크''' || [[https://umj.lnk.to/jin_gojitsuW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레고리즈통상.png|height=177]]}}} || '''번역명''' || [[アレゴリーズ|알레고리즈]] || || '''원제''' || アレゴリーズ || || '''트랙''' || 8 || || '''발매일''' || 2022년 2월 16일 || || '''링크''' || [[https://jin-jin-suruyo.com/2022/01/07/1668/|[[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가사 == || 書き残したものは || || 카키노코시타 모노와 || || 쓰다 남긴 것은 || || 他に在ったか || || 호카니 앗타카 || || 다른 곳에 있었던가 || || 沈んだ気配 午前四時 || || 시즌다 케하이 고젠 요지 || || 져버린 기색 오전 4시 || || 蹲っている || || 우즈쿠맛테이루 || || 웅크리고 있어 || || 泣き続けた旅が || || 나키츠즈케타 타비가 || || 계속 울었던 여행이 || || 終わったのか どうか || || 오왓타노카 도우카 || || 끝났는지 어쨌는지 || || 折れかけた ペンを片手に || || 오레카케타 펜오 카타테니 || || 부러진 펜을 한 손에 들고 || || || || 呪った未来も  || || 노롯타 미라이모 || || 저주한 미래도 || || 回る世界の美しさも || || 마와루 세카이노 우츠쿠시사모 || || 도는 세계의 아름다움도 || || 抱えきれない怒りも || || 카카에키레나이 이카리모 || || 안을 수 없는 분노도 || || 矛盾な題材も || || 무쥰나 테-마모 || || 모순된 [ruby(소재, ruby=테마)]도 || || 教室の席で考えた様な 夢は || || 쿄우시츠노 세키데 칸가에타 요우나 유메와 || || 교실의 자리에서 생각한 듯한 꿈은 || || 歩き出した あの頃と同じ || || 아루키다시타 아노 코로토 오나지 || || 걷기 시작한 그 때와 똑같아 || || || || 今日もまた痛んだ || || 쿄우모 마타 이탄다 || || 오늘도 또 아파했어 || || 心が死んでいった || || 코코로가 신데잇타 || || 마음이 죽어갔어 || || 口をついた || || 쿠치오 츠이타 || || 입을 다물었어 || || 「こんなもんだろう」 || || 「콘나 몬다로우」 || || 「이런 거겠지」 || || いつからか日和った || || 이츠카라카 히욧타 || || 언젠가부터 날이 갰어 || || あの日の教室で || || 아노 히노 쿄우시츠데 || || 그 날의 교실에서 || || 一体誰が 泣いている? || || 잇타이 다레가 나이테이루? || || 대체 누가 울고 있는 거야? || || || || 赫らんだ 街並みは同じ || || 아카란다 마치나미와 오나지 || || 붉게 물든 거리는 똑같아 || || 続いていく 今日の行方を 暈していく || || 츠즈이테이쿠 쿄우노 유쿠에오 보카시테이쿠 || || 이어지는 오늘의 행방을 흐리게 만들어 || || 失った言葉も 見えないまま || || 우시낫타 코토바모 미에나이마마 || || 잃어버린 말도 보이지 않는 채로 || || 消えない願いを 切って貼って綴る || || 키에나이 네가이오 킷테 핫테 츠즈루 || || 사라지지 않는 소원을 자르고 붙이고 지어 || || 続く || || 츠즈쿠 || || 이어져 || || || || 想いの丈を 書き殴る || || 오모이노 타케오 카키나구루 || || 생각의 전부를 휘갈겨 써 || || 君の側に 届くように || || 키미노 소바니 토도쿠요우니 || || 네 곁에 닿을 수 있도록 || || 血を吐いては || || 치오 하이테와 || || 피를 토하고 || || 今日も書き遺す 不恰好な詩を || || 쿄우모 카키노코스 후캇코우나 우타오 || || 오늘도 글로 남겨둬 볼품없는 시를 || || 他の誰かが 僕を嫌っても || || 호카노 다레카가 보쿠오 키랏테모 || || 다른 누군가가 나를 싫어해도 || || 言えない時代が 続いても || || 이에나이 지다이가 츠즈이테모 || || 말할 수 없는 시대가 계속되어도 || || いつか伝わるくらいが 丁度いい || || 이츠카 츠타와루 쿠라이가 쵸우도 이이 || || 언젠가 전해질 정도가 딱 좋아 || || || || 今日も思い出していた || || 쿄우모 오모이다시테이타 || || 오늘도 생각하고 있었어 || || 絶望を知った日を || || 제츠보우오 싯타 히오 || || 절망을 안 날을 || || 夕景に居座って || || 유우케이니 이스왓테 || || 해질녘에 걸터앉아 || || 読んだ1ページを || || 욘다 이치페-지오 || || 읽었던 1페이지를 || || 馬鹿な大人たちが 嘲笑った言葉で || || 바카나 오토나타치가 아자와랏타 코토바데 || || 바보같은 어른들이 비웃었던 말로 || || 救われたって 良いだろう || || 스쿠와레탓테 이이다로우 || || 구원받아도 좋겠지 || || || || 泣き出した 言葉こそ相応しい || || 나키다시타 코토바코소 후사와시이 || || 울기 시작한 말이야 말로 어울려 || || きっと 痛いくらいの色に 輝いていく || || 킷토 이타이 쿠라이노 이로니 카가야이테이쿠 || || 분명 아플 정도의 색으로 빛나가 || || 一向に 差す兆しが 見えなくとも || || 잇코우니 사스 키자시가 미에나쿠토모 || || 전혀 비칠 기미가 보이지 않더라도 || || この手が動く限りに 綴る || || 코노 테가 우고쿠 카기리니 츠즈루 || || 이 손이 움직이는 한 지어져 || || ずっと || || 즛토 || || 계속 || || || || 目を凝らして考える || || 메오 코라시테 칸가에루 || || 눈을 응시하고 생각해 || || 無謀で馬鹿な 虚実譚を || || 무보우데 바카나 쿄지츠탄오 || || 무모하고 바보같은 허실담을[* 곡의 제목인 후일담(고지츠탄)과 발음이 비슷하다.] || || 2004年8月に 死んでいた少年に捧ぐ || || 니센요넨 하치가츠니 신데이타 쇼우넨니 사사구 || || 2004년 8월에 죽어있던 소년에게 바친다 || || あの日 誰かのペンを追いかけて || || 아노 히 다레카노 펜오 오이카케테 || || 그날 누군가의 펜을 쫓아가서 || || 間違うほど 描いた人生は || || 마치가우 호도 에가이타 진세이와 || || 틀릴 정도로 그린 인생은 || || きっと 君にとって 相応しい || || 킷토 키미니 톳테 후사와시이 || || 분명 너에게 어울려 || || 君にとって 僕にとって 相応しい || || 키미니 톳테 보쿠니 톳테 후사와시이 || || 너에게 나에게 어울려 || || || || こんな 愚か者の話 || || 콘나 오로카모노노 하나시 || || 이런 미련한 놈의 이야기 || || 書き殴ってみたところで 響かないだろう || || 카키나굿테미타 토코로데 히비카나이다로우 || || 휘갈겨 봐야 울리지 않겠지 || || 微睡みの中で 夜は明けて || || 마도로미노 나카데 요루와 아케테 || || 졸음 속에서 날은 밝아오고 || || 結末を 気づかせて || || 케츠마츠오 키즈카세테 || || 결말을 깨우쳐줘 || || || || 赫らんだ 朝焼けの光 || || 아카란다 아사야케노 히카리 || || 붉게 물든 아침 햇살의 빛 || || 沈み込んだ 今日の行方を 暴いていく || || 시즈미콘다 쿄우노 유쿠에오 아바이테이쿠 || || 져버린 오늘의 행방을 파헤쳐가 || || 失った言葉が 疼いたなら || || 우시낫타 코토바가 우즈이타나라 || || 잃어버린 말이 욱신거렸다면 || || 眩しい世界に ペンを立てて || || 마부시이 세카이니 펜오 타테테 || || 눈부신 세계에 펜을 세우고 || || 謳おう、君と。 || || 우타오우, 키미토. || || 노래하자, 너와. || == 외부 링크 == * [[https://piapro.jp/t/T1M_|Inst]] [[분류:진(프로듀서)/음악]][[분류:창작 사이트/오리지널 곡]][[분류:2021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