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悳, other1=고자)]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德}}}큰 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彳|{{{#000,#fff 彳}}}]],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é{{{#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德은 ''''큰 덕'''' 또는 ''''덕 덕''''이라는 [[한자]]로, 덕(德)을 뜻한다. == 상세 ==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彳]](조금걸을 척) 자와 [[直]](곧을 직) 자가 합쳐진 형태로 나온다. 彳 자는 '가다' 또는 행위의 뜻을 나타내고, 直 자는 '곧다', '바르다'와 같은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회의자]]로 볼 수 있고, 만약 直 자가 소리를 나타낸다면 [[형성자]]로 볼 수 있다. 이후 [[금문]]에서는 直 자 아래에 [[心]](마음 심) 자가 추가되면서 현재 글자의 모든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전서]]에서 直 자와 달리 [[目]](눈 목) 자에 해당하는 부분이 90도 회전하지 않고 罒의 형태로 남았으며, 이 형태가 지금에 이른다. 그래서 오늘날 이 한자의 뜻은 '크다', '덕' 등의 뜻으로 쓰인다. 실제로는 후자의 뜻이 많이 쓰인다. (예: [[도덕]] 道德) 일본 [[신자체]]로는 마음 심(心) 위의 한 일(一)이 빠진 형태를 쓴다.[* 德의 이체자 중 하나로, 일본에서만 쓰였던 것이 아니라 비공식 형태로 한중일 모두 쓰이던 글자이다. 대신 정식 형태로 인정한 것은 일본이 유일하다. ] 예컨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한자로 표기하면 '{{{+2 徳}}}川家康'인데 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덕천가강'이다. 다만 옛날에는 일본에서도 정자체를 썼기 때문에 살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살던 시기에는 '{{{+2 德}}}川家康'으로 표기했다. 복잡한 자형인데 단 한 획 차이라 크기가 작으면 같아 보인다. || {{{+5 德}}} || {{{+5 徳}}} || || 정체자 || 신자체 || 德이 '크다'는 뜻으로 쓰인 대표적인 예로는 '덕용'(德用)이라는 낱말이 있다. [[덕용]] 문서 참고. 한국 한정으로는 [[오타쿠]]를 뜻하는 한자로도 쓰인다. 본래 '오타쿠'의 어원은 'お宅'이지만 이 낱말이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사람들이 한국식으로 바꾸어 [[오덕후]]를 만들었고 이것에 '五德厚'라는 그럴듯한 한자어로 끼워 맞춘 것에서 유래하였다. [[독일]]을 뜻하는 음역자로 쓰이기도 한다. 본래 '독일'이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도이쓰(ドイツ; ←Deutschland)를 한자로 음차한 '独逸(← 獨逸)'을 그대로 들여와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고[* 이와 같은 경우로 '불란서'(佛蘭西)가 있다. 마찬가지로 [[프랑스]](フランス)를 일본 한자음으로 음차한 仏蘭西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 중국에서는 이를 德意志(déyìzhì)로 음차해서 앞에 있는 德을 떼어 德国/德國이라고 부른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덕국. 이 글자는 [[悳]](큰 덕) 자와 얽히고는 한다. 자세한 내용은 [[悳]] 문서 참조. == 용례 == === [[단어]] === * [[공덕]]([[功]]德) * [[독일|덕국]]--[[떡국|응?]]--(德[[國]])[* 여기서 쓰인 德은 음역자로 쓰였다.] * 덕금어미(德[[今]]어미) * [[덕담]](德[[談]]) * 덕망(德[[望]]) * 덕목(德[[目]]) * [[덕분]](德[[分]]) * [[덕왕]](德[[王]]) * [[덕용]](德[[用]]/德[[容]]) * [[덕장]](德[[將]]) * 덕치(德[[治]]) * 덕택(德[[澤]]) * [[도덕]]([[道]]德) * [[공중도덕]]([[公]][[衆]][[道]]德) * 도덕가([[道]]德[[歌]]) * [[도덕경]]([[道]]德[[經]]) * 도덕성([[道]]德[[性]]) * 도덕심([[道]]德[[心]]) * 도덕적([[道]]德[[的]]) * [[도덕적 해이]]([[道]]德[[的]] [[解]][[弛]]) * 부도덕([[不]][[道]]德) * 망덕([[忘]]德) * 미덕([[美]]德) * [[법덕]]([[法]]德) * [[복덕방]]([[福]]德[[房]]) * 악덕([[惡]]德) * [[은덕]]([[恩]]德) * 인덕([[人]]德/[[仁]]德) * 지덕([[知]]德) === [[고사성어]]/[[숙어]] === * [[감지덕지]]([[感]][[之]]德[[之]]) * 군자지덕풍([[君]][[子]][[之]]德[[風]]) * 덕필유린(德[[必]][[有]][[隣]]) * [[배은망덕]]([[背]][[恩]][[忘]]德) * 재덕겸비([[才]]德[[兼]][[備]]) === [[인명]] === * [[강기덕]]([[康]][[基]]德) * [[광개토태왕|고담덕]]([[高]][[談]]德) * [[고토쿠지 미케]]([[豪]]徳[[寺]] ミケ) * [[김덕령]]([[金]]德[[齡]]) * [[김덕룡]]([[金]]德[[龍]]) * [[선덕여왕|김덕만]]([[金]]德[[曼]]) * [[김만덕]]([[金]][[萬]]德) * [[김상덕]]([[金]][[尙]]德) * [[김제덕]]([[金]][[濟]]德) * [[나루히토]](德[[仁]]) * [[누사덕]]([[婁]][[師]]德) * [[누쿠이 도쿠로]]([[貫]][[井]] 徳[[郎]]) * [[덕녕공주]](德[[寧]][[公]][[主]]) * [[덕온공주]](德[[溫]][[公]][[主]]) *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 * [[명덕태후]]([[明]]德[[太]][[后]]) * [[모덕조]]([[毛]]德[[祖]]) * [[박덕흠]]([[朴]]德[[欽]]) * [[서경덕]]([[徐]][[敬]]德) * [[선덕여왕]]([[善]]德[[女]][[王]]) * [[용덕한]]([[龍]]德[[韓]]) * [[우덕순]]([[禹]]德[[淳]]) * [[유덕화]]([[劉]]德[[華]]) * [[윤덕규]]([[尹]]德[[奎]]) * [[을지문덕]]([[乙]][[支]][[文]]德) * [[이덕무]]([[李]]德[[懋]]) * [[이덕형]]([[李]]德[[馨]]) * [[이덕화]]([[李]]德[[華]]) * [[진덕여왕]]([[眞]]德女王) * [[장승조|장현덕]]([[張]][[賢]]德) - 배우 [[장승조]] 본명. * [[정덕유]]([[丁]]德[[裕]]) * [[최덕홍]]([[崔]]德[[弘]]) * [[코마다 노리히로]]([[駒]][[田]] 徳[[広]]) * [[코마바 리토쿠]]([[駒]][[場]] [[利]]徳) * [[틱꽝득]]([[釋]][[廣]]德) * [[함덕주]]([[咸]]德[[柱]]) === [[지명#s-2]] ===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近]]德[[面]])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遠]]德[[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德[[陽]][[區]])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大]]德[[面]])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양주)|덕계동]](德[[溪]][[洞]])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豊]]德[[川]][[洞]])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古]]德[[面]])과 현덕면([[玄]]德[[面]]) *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屯]]德[[面]]) * 경상남도 양산시 [[덕계동(양산)|덕계동]](德[[溪]][[洞]]) *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龍]]德[[面]])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창원)|양덕동]]([[陽]]德[[洞]]) *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德[[谷]][[面]])과 청덕면([[靑]]德[[面]]) *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德[[谷]][[面]])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김천)|대덕면]]([[大]]德[[面]]) *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安]]德[[面]])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양덕동(포항)|양덕동]]([[良]]德[[洞]]) * 대전광역시 [[대덕구]]([[大]]德[[區]])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德[[川]][[洞]])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萬]]德[[洞]])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부산)|덕포동]](德[[浦]][[洞]])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서울)|고덕동]]([[高]]德[[洞]])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孔]]德[[洞]]) *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道]]德[[面]]) *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大]]德[[面]]) *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德[[津]][[面]]) *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大]]德[[邑]])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興]]德[[面]])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孔]]德[[面]])과 성덕면([[聖]]德[[面]])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德[[果]][[面]])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八]]德[[面]])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德[[峙]][[面]])과 신덕면([[新]]德[[面]])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德[[津]][[區]]) *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德[[川]][[面]])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安]]德[[面]])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合]]德[[邑]])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古]]德[[面]])과 덕산면(德[[山]][[面]])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廣]]德[[面]])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德[[山]][[面]])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德[[山]][[邑]])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興]]德[[區]]) *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周]]德[[邑]]) * 평안남도 [[덕천군]](德[[川]][[郡]]) * 평안남도 [[양덕군]]([[陽]]德[[郡]]) * 함경남도 [[원산시|덕원군]] * [[경덕궁]]([[敬]]德[[宮]]) * [[덕수궁]](德[[壽]][[宮]]) *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 [[창덕궁]]([[昌]]德[[宮]]) * [[도쿠가와]](德[[川]]) * [[덕정역]] * [[덕계역]] * [[공덕역]] * [[고덕역]] * [[덕하역]] * [[명덕역]] * [[주덕역]] * [[덕산역]] * [[덕천역]] * [[모덕역]] * [[덕포역]] * [[인덕원역]] * [[슌토쿠미치역]]([[俊]]徳[[道]][[駅]]) === 기타 === * [[남덕]]([[男]]德) * [[덕혐]](德[[嫌]]) * 배덕감([[背]]德[[感]]) * [[양덕후]]([[洋]]德[[厚]]) * [[여덕]]([[女]]德) * [[입덕]]([[入]]德) * [[탈덕]]([[脫]]德)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聽]](들을 청)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