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愼}}}삼갈 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つし-む, {{{#c88 つつま-しい, つつま-しや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è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愼은 ''''삼갈 신''''이라는 [[한자]]로, '삼가다', '신중(愼重)하다', '근신(謹愼)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삼가다 || || {{{-1 '''음'''}}} ||신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èn || || {{{-1 '''[[광동어]]'''}}} ||san^^6^^ || || {{{-1 '''[[객가어]]'''}}} ||sṳ́m || || {{{-1 '''[[민북어]]'''}}} ||sēng || || {{{-1 '''[[민동어]]'''}}} ||sêng || || {{{-1 '''[[민남어]]'''}}} ||sīn || || {{{-1 '''[[오어]]'''}}} ||ze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ン || || {{{-1 '''훈독'''}}} ||つつし-む, {{{#c88 つつま-しい, つつま-しやか}}} || ||<-3> || ||<-2> '''[[베트남어]]''' ||thận || [[유니코드]]에는 U+614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PBC(心心月金)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과 소리를 나타내는 [[眞]](참 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자/인명용 한자표|인명용 한자]]로는 "신"과 "진"의 다음자(多音字)로 등록되어 있다. 그런데 "신"일 때는 보통 자형인 愼이지만 "진"일 때는 目이 日로 바뀐 [[파일:愼(目→日).svg|width=25]](유니코드 없음)으로 수록되어 있다가, 2022년에와서야 "진"에 본래 자형 愼이 추가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근신([[謹]]愼) * 신중(愼[[重]])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 [[권신(고려)|권신]]([[權]]愼) * [[노사신]]([[盧]][[思]]愼) * [[노회신]]([[盧]][[懷]]愼) * [[마토 신지]]([[間]][[桐]] 慎[[二]]) * [[신도 아라타]](慎[[導]] [[灼]]) * [[신도 아츠시(PSYCHO-PASS)|신도 아츠시]](慎[[導]] [[篤]][[志]]): [[PSYCHO-PASS]]의 등장인물 * [[신정왕]](愼[[靚]][[王]]) * [[와시즈카 신이치로]]([[鷲]][[塚]] 慎[[一]][[郎]]) * [[이시카와 신고]]([[石]][[川]] 慎[[吾]]) * [[이시하라 신타로]]([[石]][[原]] 慎[[太]][[郎]]) * [[코가미 신야]]([[狡]][[噛]] 慎[[也]]) * [[타치바나 신노스케]]([[立]][[花]] 慎[[之]][[介]]) * [[후루카와 마코토]]([[古]][[川]] 慎) * [[휘발나랍 숙신]]([[辉]][[发]][[那]][[拉]] [[淑]]慎)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恪]](삼갈 각) * [[謹]](삼갈 근) * [[毖]](삼갈 비) * [[頊]](삼갈 욱) * [[姫]](삼갈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