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抄}}}뽑을 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つ-す, かす-める, す-く, すく-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抄는 ''''뽑을 초''''라는 [[한자]]로, '뽑다', '가리다(選)', '베끼다'를 뜻한다. 그래서 ''''가릴 초''''라고도 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28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FH(手火竹)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삼별초]]([[三]][[別]]抄) * [[초록]](抄[[錄]]) * 초본(抄[[本]]) * [[주민등록초본]]([[住]][[民]][[登]][[錄]]抄[[本]])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건옹공시초([[健]][[翁]][[公]][[詩]]抄) * [[과농소초]]([[課]][[農]][[小]]抄) *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 === 기타 === == 유의자 == * '''뽑다''' * [[拔]](뽑을 발) * [[擢]](뽑을 탁) * [[抽]](뽑을 추) * '''베끼다''' * [[謄]](베낄 등) * [[摹]](베낄 모) * [[描]](그릴 묘) * [[寫]](베낄 사) * [[搨]](베낄 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䖢]](개미누에 묘) * [[妙]]/[[竗]]/[[玅]](묘할 묘) * [[眇]](애꾸 묘) * [[𦕈]](애꾸눈 묘) * [[䏚]](허구리 묘) * [[㠺]](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걸어가는모양 사) * [[䩖]](구두 사) * [[沙]]/[[砂]](모래 사) * [[魦]](문절망둑 사) * [[紗]](비단 사) * [[粆]](사탕 사) * [[𩨡]](적을 선) * [[𨈘]](칠한모양 소) * [[𢆷]](작을 요) * [[䟞]](머뭇거릴 주) * [[杪]](나무끝 초) * [[鈔]](노략질할 초) * [[吵]](떠들 초, 울 묘) * [[𤰬]](밭갈 초) * [[𦨖]](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보릿가루 초) * [[炒]](볶을 초) * [[秒]](분초 초) * [[觘]](뿔숟가락 초) * [[仯]](작은모양 초/묘) * [[訬]](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보맷부리 표) * [[𥘤]](소맷부리 표) * [[𤤉]](보) * [[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