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攝}}}다스릴/잡을 섭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1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ツ, {{{#c88 ショ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ねる, か-わる, と-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攝은 ''''다스릴/잡을 섭''''이라는 [[한자]]로, '다스리다', '잡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651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手尸十十(QSJJ)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聶]](소곤거릴 섭)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섭동]](攝[[動]]) * [[섭동 이론]](攝[[動]] [[理]][[論]]) * [[섭리#s-1]](攝[[理]]) * 섭상(攝[[想]]) * 섭식(攝[[食]]) * [[섭식장애]](攝[[食]][[障]][[礙]]) * [[섭씨]](攝[[氏]])[* 여기에서의 攝은 '다스리다'와 같은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섭씨온도의 최초 고안자 셀시우스(Celsius)의 중국어 음차 攝爾思에서 나온 것이다.] * [[섭씨온도]](攝[[氏]][[溫]][[度]]) * [[섭입대]](攝[[入]][[帶]]) * [[섭정]](攝[[政]]) * 섭취(攝[[取]]) * 포섭([[包]]攝) * 포섭검사([[包]]攝[[檢]][[査]]) * 포섭반응([[包]]攝[[反]][[應]]) * 포섭판단([[包]]攝[[判]][[斷]])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섭리계]](攝[[利]][[計]]) * [[셋츠노 키리마루]](摂[[津]]の きり[[丸]]) * [[셋츠 반리]](摂[[津]] [[万]][[里]]) * [[셋츠 토와코]](摂[[津]] [[都]][[和]][[子]]) === [[지명#s-2]] === * [[셋츠모토야마역]](摂[[津]][[本]][[山]][[駅]]) * [[셋츠시역]](摂[[津]][[市]][[駅]]) === [[창작물]] === * [[摂氏509号室]] == 유의자 == * [[理]](다스릴 리) * [[釐]](다스릴 리) * [[撥]](다스릴 발) * [[治]](다스릴 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䌰]](실 다섯 올 녑) * [[灄]](강 이름 섭) * [[欇]](까치콩 섭) * [[懾]](두려워할 섭) * [[䯀]](말 달릴 섭) * [[躡]](밟을 섭) * [[囁]](소곤거릴 섭) * [[讘]](속삭일 섭) * [[㒤]](심복할 섭) * [[鑷]](족집게 섭) * [[襵]](주름 접) * [[䝕]](품종이 좋은 돼지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