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收}}}거둘 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攴|{{{#000,#fff 攴}}}]],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さ-める, おさ-ま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ō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거둘 수(收)'''. '거두다', '받다', '모으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거두다 || || {{{-1 '''음'''}}} ||수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ōu || || {{{-1 '''[[광동어]]'''}}} ||sau^^1^^ || || {{{-1 '''[[객가어]]'''}}} ||sû || || {{{-1 '''[[민동어]]'''}}} ||siŭ || || {{{-1 '''[[민남어]]'''}}} ||siu || || {{{-1 '''[[오어]]'''}}} ||seu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ュウ || || {{{-1 '''훈독'''}}} ||おさ-める, おさ-まる || ||<-3> || ||<-2> '''[[베트남어]]''' ||thu || [[유니코드]]에는 U+653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LOK(女中人大)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攴]](칠 복)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丩]](얽을 규)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수감(收[[監]]) * 수거(收[[去]]) * [[분뇨수거차]]([[糞]][[尿]]收[[去]][[車]]) * 분리수거([[分]][[離]]收[[去]]) * 수입(收[[入]]) * 수장고(收[[藏]][[庫]]) * [[수지]](收[[支]]) * 수확(收[[穫]]) * [[접수]]([[接]]收) * [[추수]]([[秋]]收) * [[추수감사절]]([[秋]]收[[感]][[謝]][[節]]) * [[흡수]]([[吸]]收) === [[고사성어]]/[[숙어]] === 수거불부회 언출난갱수 水去不復回 言出難更收 물은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고, 말은 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 [[인명]] === * [[설수]]([[薛]]收)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위수증]]([[違]]收[[證]]) == 유의자 == 순우리말 '거두다'는 '수렴/수확하다'와 '철수하다'의 의미를 겸한다. 收는 특이하게도 훈이 '거두다'인 한자들 중에서 '수렴/수확하다'와 '철수하다'의 뜻을 겸하는 사실상 유일한 한자이다. * '''수렴/수확하다''' * [[𢶒]](거둘 괴) * [[捲]](거둘 권) * [[肣]](거둘 금) * [[斂]](거둘 렴) * [[㩚]](거둘 몽) * [[捗]](거둘 보) * [[捊]](거둘 부) * [[秎]](거둘 분) * [[接]](거둘 삽) * [[嗇]]/[[穡]](거둘 색) * [[戢]](거둘 집) * [[㩸]](거둘 첩) * [[穫]](거둘 확) * '''철수하다''' * [[撤]](거둘 철) == 반대자 ==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