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日'''}}}해/날 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000,#fff 8급}}}]]}}} || ||<-8>|| ||<-3><:>{{{#!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5> {{{#!wiki style="margin:-2px" {{{#!html -}}}}}} || ||<-3>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5> {{{#!wiki style="margin:-2px" ニチ, ジツ}}} || ||<-3>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5> {{{#!wiki style="margin:-2px" ひ, か}}} || ||<-8>|| ||<-3>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5> {{{#!wiki style="margin:-2px" {{{#!html -}}}}}} || ||<-3>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독음'''}}}}}} ||<-5> {{{#!wiki style="margin:-2px" rì}}}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日-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include(틀:국명 지명 한자약칭)] == 개요 == 해/날 일 가장 기초가 되며 유명한 [[한자]] 중 하나다. '[[태양]]', '[[일#s-7|날]]' 등을 뜻한다. [[상형자]]로써, 태양의 모습을 본따서 만든 글자이다.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변화를 거치는 모습을 보여줄 때 가장 많이 예시로 드는 글자 중 하나. 대략 동그라미 중간에 [[흑점|점]]이 찍혀져 있는 형상(⊙)에서 기원하였으며, 초기에는 태양의 모습 그대로 '''동그라미''' 또는 '''동심원'''[* 동심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선사 시대 벽화에서 태양을 나타내는 문양으로 즐겨 쓰였다.]을 [[갑골문자|거북이 등딱지 같은 것에 칼로 새겨]] 나타내었으나 점차 문명이 기틀을 잡고 한자의 수가 많아지면서 칼집 무늬의 수가 하나씩 줄고 결국 추상화, 간략화되어 원이 '''사각형'''으로 바뀌었다. == 세부 정보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훈''' : 해, 날[br]'''음''' : 일|| ||<:>'''[[일본어]]'''||<:>'''음독''' : ニチ·ジツ[br]'''훈독''' : ひ·か|| ||<:>'''[[중국어]]'''||<:>'''표준어''' : rì[br][[광동어]] : jat6[br][[객가어]] : ngit[br]민둥어 : nĭk[br]민난어 : ji̍t/li̍t/gi̍t/rig8[br]우어 : nyiq (T5)/zeq (T5)|| ||<:>'''[[베트남어]]'''||<:>nhật|| [[유니코드]]에는 U+65E5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ㄖ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A)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한자/급수별#s-2.1.1|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日은 다음과 같은 이체자[* 훈과 음이 같은데 모양만 다른 한자.]들이 있다: 囸, 𡆠, 𡇁, 𡆸, 𡇗, 𡈎 [[曰]](가로 왈)과는 모양이 비슷하게 생겼다. 본래는 日(해 일)과 曰(말할 왈)이 구분되었는데[* 日(해 일)은 천체를 나타내는 口 모양에 가로선을 중앙에 그은 것, 曰(말할 왈)은 口(입 구)의 옛 모양인 ㅂ 위에 가로선을 그은 것.] 예서 때부터 두 한자의 모양은 비슷하게 되었다.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두 글자의 가로세로 비율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日은 세로가 더 긴 반면 曰은 가로가 더 길다. 두 번째는 중간 가로획이 필획에 닿느냐 안 닿느냐의 차이를 보는 것이다. 日은 닿지만 曰은 닿지 않는다. 다만 이건 서체마다 다르니 이것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자형 === ||<:>[[파일:日-oracle.svg.png]]||<:>[[파일:日-bronze.svg.png]]||<:>[[파일:120px-日-bigseal.svg.png]]||<:>[[파일:120px-日-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날일부의 제부수자다. 날일부는 강희자전 214부에서 72번째에 놓인 부수며, 날일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453개가 있다. == 사용례 == 유명한 한자이다보니 쓰이는 곳도 많다. * [[국경일]](國慶日) * [[기념일]](記念日/紀念日) * [[기일]](忌日/期日) * [[내일]](來日) * [[백일장]](白日場) * [[생년월일]](生年月日) * [[생일]](生日) * [[요일]](曜日) * [[일간지]](日刊紙) * [[일기]](日記/日氣) * [[일기예보]](日記豫報) * [[일당]](日當) * [[일몰]](日沒) * [[일본]](日本) * [[일본어]](日本語), [[일본인]](日本人) * [[일상]](日常) * [[일수]](日收/日數) * [[일식]](日蝕/日食) * [[일용직]](日用職) * [[일장기]](日章旗) * [[일제]](日帝/日製)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 [[일조량]](日照量) * [[일주일]](一週日) * [[일지]](日誌) * [[일출]](日出) * [[재일]](在日) * [[주일]](週日/主日/駐日) * [[휴일]](休日) * [[공휴일]](公休日) === [[고사성어]] === * 거자일소(去者日疎)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일취월장(日就月長) * [[작심삼일]](作心三日) * 차일피일(次日彼日) * 촉견폐일(蜀犬吠日) * 청천백일(靑天白日) * [[일모도원]](日暮途遠) === 인명, 지명 등 === * [[김정일]](金正日) * [[일광면]](日光面) ==== 창작 인물 ==== * [[히나타 쇼요]] (日向 翔陽) - [[하이큐!!]] * [[히나타 나츠]] (日向 夏) - [[하이큐!!]] [[분류:8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