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景}}}볕 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000,#fff 日}}}]],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イ, {{{#c88 エ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ǐ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景은 ''''볕 경''''이라는 [[한자]]로, '볕', '경치(景致)', '경황(景況)' 등을 뜻한다. 그래서 ''''경치 경''''이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경치 || || {{{-1 '''음'''}}} ||경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ǐng || || {{{-1 '''[[광동어]]'''}}} ||ging^^2^^ || || {{{-1 '''[[객가어]]'''}}} ||kín || || {{{-1 '''[[민동어]]'''}}} ||gīng || || {{{-1 '''[[민남어]]'''}}} ||kéng || || {{{-1 '''[[오어]]'''}}} ||ji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ケイ, ''エイ''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cảnh || [[유니코드]]에는 U+666F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卜口火(AYR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日]](날 일)과 소리를 나타내는 [[京]](서울 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글자에 日이 들어갔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이 글자는 '햇살', '햇빛' 따위의 뜻을 가지고 있었다. 즉 이 글자는 [[陽]](볕 양)과 동의자(同義字)이며, 이 때문에 이 글자는 '경치 경' 외에도 '볕 경'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그러다 의미가 파생되어 '경치', '경관', 나아가 '경황'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는 원래의 의미보다는 주로 파생된 의미로 쓰이고 있다. [[影]](그림자 영)과 [[통가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광경([[光]]景) * [[경관]](景[[觀]]) * [[경교]](景[[敎]]) * [[경기]](景[[氣]]) * [[경기체가]](景[[幾]][[體]][[歌]]) * [[경복궁]](景[[福]][[宮]]) * 경치(景[[致]]): 눈에 보이는 자연과 세상 풍경의 모습. * [[경품]](景[[品]]) * 경황(景[[況]]) * [[배경]]([[背]]景) * [[불경기]]([[不]]景[[氣]]) * [[설경#s-1|설경]]([[雪]]景) * 식후경([[食]][[後]]景) * [[야경]]([[夜]]景) * [[전경]]([[全]]景/[[前]]景) * [[절경]]([[絶]]景) * 정경([[情]]景) * [[조경]]([[造]]景) * [[풍경]]([[風]]景) === [[고사성어]]/[[숙어]] === * 고산경행([[高]][[山]]景[[行]]) * [[관동팔경]]([[關]][[東]][[八]]景) === [[인명]] === * [[경덕왕]](景[[德]][[王]]) * [[경문왕]](景[[文]][[王]]) * [[경명왕]](景[[明]][[王]]) * [[경애왕]](景[[哀]][[王]]) * [[김경(1965)|김경]]([[金]]景): 정치인 * [[김경용(고려)|김경용]]([[金]]景[[庸]]): 고려의 문신 * [[김연경]]([[金]][[軟]]景) * [[나경복]]([[羅]]景[[福]]) * [[단경주]]([[段]]景[[住]]) * [[문보경]]([[文]][[保]]景) * [[야마가타 마사카게]]([[山]][[県]] [[昌]]景) * [[오가타 가게토시]]([[緒]][[方]] 景[[俊]]) * [[이재경(NELL)|이재경]]([[李]][[在]]景) * [[하윤경]]([[河]][[允]]景) * [[키타가와 케이코]]([[北]][[川]] 景[[子]]) * [[천징룬]]([[陈]]景[[润]]): [[중국]]의 [[수학자]] * 전국의 모든 [[태인]] [[경씨]]들. === [[지명#s-2]] === * [[만경대]]([[萬]]景[[臺]]) * [[경복궁역]](景[[福]][[宮]][[驛]]) === [[창작물]] === * 월선헌십육경가([[月]][[先]][[軒]][[十]][[六]]景[[歌]]) === 기타 === * [[경복호]](景[[福]][[號]]) == 유의자 == * [[陽]]/[[昜]](볕 양) == 반대자 == * [[影]](그림자 영) * [[陰]](그늘 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𡹞]]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