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槇}}}나무끝 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木|{{{#000,#fff 木}}}]], 1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c88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ン}}}}}}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まき}}}}}}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diān}}}}}}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樺는 ''''나무 끝 전''''이라는 [[한자]]로, '나무 끝', '우듬지'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9C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心月金(DPBC)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眞]](참 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어에서는 원래의 뜻인 '나무 끝'과는 별도의 독자적인 국훈으로 '마키'(マキ)라 하는, 한국에서는 나한송과에 해당하는 나무를 뜻하기도 한다. 마키는 眞木(真木)로도 표기하는데, 眞과 木을 합치면 이 한자가 되므로 원래 중국 한자 槇과 겹치는 일본 국자 槇(훈독 まき)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중국 외부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한자가 원래 중국의 한자와 겹치는 사례는 한국에서도 [[釗]](중국 한자 '힘쓸 조', 한국 한자 '쇠 쇠') 등이 있다. 원래 뜻인 '나무 끝'으로 쓰일 때는 こずえ로 읽으나 인명에서나 간혹 쓰이며, こずえ는 일반적으로 [[梢]](나무끝 초) 자를 쓴다. 일본에서는 간혹 이 한자가 성씨에 쓰이는 [[일본의 성씨/가나다순#s-1.5|경우]]를 볼 수 있다. 이 한자가 들어간 성씨를 쓰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건축가 [[마키 후미히코]]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렌고쿠 신쥬로]]([[煉]][[獄]] 槇[[寿]][[郎]]) * [[마키노 타다시]](槙[[野]] [[旦]]) * [[마키시마 쇼고]](槙[[島]] [[聖]][[護]]) * [[마키하라 노리유키]](槇[[原]] [[敬]][[之]]) * [[마키하라 코즈에]](槇[[原]] こずえ) * [[아라마키 야쿠모]]([[荒]]槇ヤクモ) * [[오토노타치바나 마키에]]([[乙]][[橘]] 槇[[絵]]) * [[하타나카 신노스케]]([[畠]][[中]] 槙[[之]][[輔]]) === [[지명#s-2]] === * 마키시마 성(槇[[島]][[城]])[* 아래의 마키시마초에 있던 성. 이곳에서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맞서 최후의 농성을 벌였다.] * 마키시마초(槇[[島]][[町]])[* [[교토부]] 산하의 기초 행정 구역]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𣗖]](나무끝 률) * [[梶]](나무끝 미) * [[㮦]](나무끝 삭) * [[杪]](나무끝 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愼]](삼갈 신) * [[塡]](메울 전) * [[禛]](복받을 진) * [[䐜]](부을 진) * [[鎭]](진압할 진) * [[㣀]](튕길 진) == 여담 ==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