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毒}}}독 독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毋|{{{#000,#fff 毋}}}]],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아랫부분이 [[母]](어미 모)가 아닌 [[毋]](말 무)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そこ-なう, わる-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毒(독 독)은 인체에 해가 되는 성분인 [[독극물|독]]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BD2에 배정되어 있다.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독 || || {{{-1 '''음'''}}} ||독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ú || || {{{-1 '''[[광동어]]'''}}} ||duk6 || 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하는 옛날 글자인 毐에서 윗쪽이 [[풀 초]]의 옛날 글자인 [[艸]]의 반쪽인 屮로 바뀐 [[회의자]]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毒과 같이 밑 부분이 [[母]](어미 모)이지만 일본과 대만, [[강희자전]]에서는 밑 부분이 [[毋]](말 무)인 {{{#!html }}}을 쓴다. 모양이 비슷하지만 母는 점 두 개로 나뉘어 있고 毋는 하나의 획으로 이어져 있다. == 용례 == === [[단어]] === * '''[[독극물|독]](毒)''' * [[독극물]](毒[[劇]][[物]]) * [[독극물|독약]](毒[[藥]]) * [[독극물|독성]](毒[[性]]) * [[독사]](毒[[蛇]]) * [[독살]](毒[[殺]]) * 독취악조(毒[[嘴]][[惡]][[爪]]) * [[맹독]]([[猛]]毒) * 병독([[病]]毒) * [[이이제이|이독제독]]([[以]]毒[[制]]毒) * [[중독]]([[中]]毒) * [[해독]]([[解]]毒/[[害]]毒) - 解毒은 독을 치료한다는 뜻이고, 害毒은 해로움과 독성이라는 뜻이다. 발음은 같지만 [[동음반의어|의미는 정반대]]인 셈이다. * 혹독([[酷]]毒) === [[인명]] === * [[도쿠가미네 리루카]](毒ヶ[[峰]] リルカ) * [[부스지마 메이슨 리오]](毒[[島]] メイソン [[理]][[鶯]]) * [[부스지마 미쿠]](毒[[島]] みく) * [[부스지마 사에코]](毒[[島]] [[冴]][[子]]) * [[부스지마 아라시]](毒[[島]] [[嵐]]) === [[중국어]] === * 毒[[品]](dúpǐn): [[마약]].[* 그냥 한 글자로 毒이라고 하기도 한다.] * [[病]]毒(bìngdú): [[바이러스]], [[컴퓨터 바이러스]]. === 기타 === * [[독요리]](毒[[料]][[理]])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責]](꾸짖을 책) == 여담 == * 1998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다.[[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1998.html|#]] [[올해의 한자#1998년]] 참고. * [[일본의 성씨]] 중에선 이 글자가 들어가는 성씨도 존재하는데, 부스지마(毒島)라는 성씨가 그러하다.[* 심지어 독법이 '부스'인데, 이것은 용모가 추한 여성을 '''욕하는''' 말과 발음이 같다. 여러모로 특이한 성씨.] 일본에서 약 920여명이 사용하고 있는 성씨로, 창작물 속의 캐릭터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부스지마 사에코]]가 있다.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