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얼음]][[분류:본자로 잘못 알려진 속자]][[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氷}}}얼음 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ヒ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こおり, ひ, {{{#c88 こお-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사실 이게 본자이고 오히려 氷이 약자이다. 중화권에선 본자인 冰이 쓰이고 한국, 일본에서는 이체자인 氷이 쓰이는 것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ī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얼음 빙(氷).''' [[얼음]], [[기름]], 엉기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6C37에 배정되어있다. 이체자로 [[人]]([[사람 인]]) 2개가 나란히 있는 仌(얼음 빙)자가 있다.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얼음 || || {{{-1 '''음'''}}} ||빙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īng || || {{{-1 '''[[광동어]]'''}}} ||bing1 || === [[본자]] 冰 === [[회의자]]로, [[冫]](얼음 빙)과 [[水]]([[물 수]])가 합쳐진 글자다. 사실 원래의 정자는 중국 대륙이나 대만 등지에서 쓰는 冰이고, 한국과 일본의 氷은 속자가 본자를 밀어내고 정자가 된 것이다. 氷은 冫의 점이 水의 왼쪽 위로 간 모양이고 冰은 冫과 水가 나란히 붙어있는 모양이다. 부수로 [[冫]](얼음 빙)이 쓰이는 冰과 달리 氷은 [[水]] 부수라는 것에 주의하자. == 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冫)] == 용례 == === [[단어]] === * 간빙기([[間]]氷[[期]]) * 견빙([[堅]]氷) * 결빙([[結]]氷) * 동빙([[凍]]氷) * [[박빙]]([[薄]]氷) * 방빙([[防]]氷) * 부빙([[浮]]氷) * [[빙결]](氷[[潔]]/氷[[結]]) * [[빙고#s-3|빙고]](氷[[庫]]) * 내빙고([[內]]氷[[庫]]) * [[석빙고]]([[石]]氷[[庫]]) * 빙괴(氷[[塊]]) * 빙무(氷[[霧]]) * 빙벽(氷[[壁]]) * [[빙붕]](氷[[棚]]) * [[빙산]](氷[[山]]) * 빙상(氷[[上]]/氷[[床]]/氷[[狀]]) * 빙상경기(氷[[上]][[競]][[技]]) * 빙석(氷[[石]]/氷[[釋]]) * 빙설(氷[[雪]]) * [[빙수]](氷[[水]]) * [[빙어]](氷[[魚]]) * [[빙점]](氷[[點]]) * 빙정(氷[[丁]]/氷[[晶]]/氷[[程]]) * 빙침(氷[[枕]]/氷[[針]]) * 빙퇴석(氷[[堆]][[石]]) * [[빙판]](氷[[板]]) * 빙편(氷[[片]]) * [[빙하]](氷[[下]]/氷[[河]]) * 빙해(氷[[海]]/氷[[解]]) * 빙호(氷[[壺]]) * 세빙([[細]]氷) * [[쇄빙선]]([[碎]]氷[[船]]) * 유빙([[流]]氷) * 측빙퇴석([[側]]氷[[堆]][[石]]) * [[해빙]]([[海]]氷/[[解]]氷) * --[[빙칠링]](氷[[淇]][[淋]])-- === [[고사성어]]/[[숙어]] === * 동빙가절([[凍]]氷[[可]][[折]]) * 동빙한설([[凍]]氷[[寒]][[雪]]) * 빙자옥질(氷[[姿]][[玉]][[質]]) * 빙탄지간(氷[[炭]][[之]][[間]]) * 여리박빙([[如]][[履]][[薄]]氷) * 월하빙인([[月]][[下]]氷[[人]]) * 이빙([[履]]氷) === [[인명]] === * [[리빙빙]]([[李]]冰冰) * [[오이카와 츠라라]]([[及]][[川]] 氷[[麗]]) * [[우스라이 세토]]([[薄]]氷 [[世]][[人]]) * [[우스이 렌]]([[碓]]氷 れん) * [[카자키리 효우카]]([[風]][[斬]] 氷[[華]]) * [[카타코리 스기오]]([[形]]氷 [[杉]][[夫]]) * [[쿠노이치 효우가]]([[九]][[能]][[市]] 氷[[雅]]) * [[판빙빙]]([[范]]冰冰) * [[효도 마리코]](氷[[堂]] [[鞠]][[子]]) * [[효조 레츠토]](氷[[上]] [[烈]][[斗]]) * [[후와 효카]]([[不]][[破]] 氷[[菓]]) * [[전설 시리즈#s-3.1|히가미 핫피]](氷[[上]] [[法]][[被]]) * [[히미 토모키]](氷[[見]] [[友]][[樹]]) * [[히카미 쿄코]](氷[[上]] [[恭]][[子]]) * [[히카와 사요]](氷[[川]] [[紗]][[夜]]) * [[히카와 이오나]](氷[[川]] いおな) * [[히쿠라 카노]](氷[[儚]] かの) === [[지명]] === === [[창작물]] === * [[빙륜환]](氷[[輪]][[丸]]) * [[細氷]] == 유의자 == * [[凍]](얼 동) * [[凌]](얼음 릉) * [[㓉]](얼음 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水]](물 수) * [[永]](길 영) == 여담 == 얼음이 죽으면 '다이빙'이라는 농담이 있다. 이는 다이빙(diving)을 죽는다는 뜻의 영단어 die와 氷(얼음 빙)으로 해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