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沒}}}빠질 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ボツ, {{{#c88 モ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ぼ-れる, しず-む, し-ぬ, な-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éi, mò{{{#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沒은 ''''빠질 몰''''이라는 [[한자]]로, '빠지다', '잠기다', '없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C9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弓水(ENE)로 입력한다. 소전부터 등장하는 데 [[氵]](물 수)와 소용돌이를 나타내는 勹 , 손을 나타내는 [[又]]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성부를 𠬛로 하는 형성자로 볼 수 있지만 독음이 동일하여 사실상 沒와 동자(同字)이다.] 사람이 물에 빠진 모습을 나타내어 "잠기다"(to sink), "물에 빠지다"(to drown)라는 뜻을 나타냈다. 이에 의미가 파생되어 "죽다"(to die), "사라지다"(to disappear)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후자의 뜻은 [[歿]](죽을 몰)로 쓰기도 한다. 沒는 이외에도 "부정"(not)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 당나라 때부터 그 용법이 등장하다가 명~청나라 때가 되면 보편화된다. 이는 기존의 중국어에서 어두가 m-인 부정사 역할을 하던 無의 독음이 만다린에서 바뀌어[* 광운에서 無의 반절은 武夫切로 성모가 /m/이였으나 음운변화를 거쳐 wú로 바뀐다.] 부정사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같은 성모를 가지고 있던 沒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부정사의 의미로 쓰일 때는 méi로, 잠기다, 사망하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mò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골몰 (汨沒) * 매몰 (埋沒) * 몰각 (沒却/沒刻/沒覺) * 몰닉 (沒溺) * 몰두 (沒頭) * [[몰락]] (沒落) * [[몰빵]] (← 沒放) * 몰사 (沒死) * [[몰살]] (沒殺) * [[몰상식]] (沒常識) * [[몰수]] (沒收) * [[몰약]] (沒藥) * 몰염치 (沒廉恥) * 몰이해 (沒理解) * [[몰입]] (沒入) * 몰자비 (沒[[字]][[碑]]) * 생몰 (生沒)[* 歿(죽을 몰)로 바꿔 쓸 수 있음] * 수몰 (水沒) * [[일몰]] (日沒) * 출몰 (出沒) * [[침몰]] (沈沒) * 함몰 (陷沒) === [[고사성어]]/[[숙어]] === * 신출귀몰([[神]][[出]][[鬼]]沒) * 중석몰촉([[中]][[石]]沒[[鏃]]) === [[인명]] === * [[고몰]]([[高]]沒) === [[창작물]] === * 没有共产党就没有新中国([[공산당이 없으면 새 중국도 없다]]) == 유의자 == * [[溺]](빠질 닉) * [[沔]](빠질 면) * [[潛]](잠길 잠) * [[沈]](잠길 침) * [[浸]](잠길 침) * [[陷]](빠질 함) == 상대자 == * [[泛]](뜰 범) * [[浮]](뜰 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歿]](죽을 몰) * [[設]](베풀 설) * [[殿]](전각 전) * [[投]](던질 투)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