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況}}}하물며 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りさま, いわ-んや, まし-て}}}}}}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u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물며 황(況)'''. '하물며', '분위기', '상황'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상황 || || {{{-1 '''음'''}}} ||황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uàng || || {{{-1 '''[[광동어]]'''}}} ||fong3 || || {{{-1 '''[[객가어]]'''}}} ||khóng || || {{{-1 '''[[민북어]]'''}}} ||kua̿ng || || {{{-1 '''[[민동어]]'''}}} ||kuóng || || {{{-1 '''[[민남어]]'''}}} ||hóng || || {{{-1 '''[[오어]]'''}}} ||huaa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キョウ || || {{{-1 '''훈독'''}}} ||{{{#c88 ありさま, いわ-んや, まし-て}}} || ||<-3> || ||<-2> '''[[베트남어]]''' ||thu || [[유니코드]]에는 U+6CC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口竹山(ERHU)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兄]](맏 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차가운 물'을 뜻하였으나, 이후 가차되어 '하물며'라는 뜻의 접속사 혹은 '분위기', '상황', '현황'이라는 뜻의 명사로 쓰이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경황([[景]]況) * [[근황]]([[近]]況) * [[불황]]([[不]]況) * [[상황#s-1]]([[狀]]況) * [[상황극]]([[狀]]況[[劇]]) * 상황적([[狀]]況[[的]]) * 성황([[盛]]況) * 성황리([[盛]]況[[裏]]) * 실황([[實]]況) * [[정황#s-1|정황]]([[情]]況) * [[현황]]([[現]]況) * [[호황]]([[好]]況)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순자|순황]]([[荀]]況)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呪]](빌 주) * [[祝]](빌 축)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