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洋}}}큰바다 양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ヨ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み, なだ, ひろ-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á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洋은 ''''큰바다 양''''이라는 [[한자]]로, '큰 바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큰 바다 || || {{{-1 '''음'''}}} ||양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áng || || {{{-1 '''[[광동어]]'''}}} ||joeng4 || || {{{-1 '''[[객가어]]'''}}} ||yòng || || {{{-1 '''[[민동어]]'''}}} ||iòng || || {{{-1 '''[[민남어]]'''}}} ||iûⁿ[* 취안저우, 주류 대만어], iôⁿ[*白 장저우] / iông[* 취안저우, 주류 대만어], iâng[*文 장저우] || || {{{-1 '''[[오어]]'''}}} ||hhia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ヨウ || || {{{-1 '''훈독'''}}} ||''うみ'', ''ひろ-い'', ''なだ'' || ||<-3> || ||<-2> '''[[베트남어]]''' ||dương || [[유니코드]]에는 U+6D0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廿手(ETQ)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羊]](양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근대]]에 [[유럽]]과 [[미국]]을 지칭하는 말로 '서양'(西洋)이라는 번역어가 채택되면서 '洋'이 줄임말로서 '[[양]]-' 류의 어휘가 크게 늘었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어휘들에 대해서 '서-'(西) 류의 단어도 많이 쓰는 듯하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것들이 일상화되면서 '양-'이 떨어진 것도 많아졌다. 일례로 [[염상섭]]은 '[[과자]]'에도 '양-'을 붙여 '양과자갑'이라는 소설을 쓰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오히려 전통 과자를 '[[한과]](韓菓)'라고 하고 서양식 과자는 일반화되어 '양-'을 붙이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양동이]]'처럼 지금은 아무도 서양 물건으로 보지 않는 건 마찬가지지만 '양-'이 붙은 채로 굳어진 단어도 꽤 있다. 그에 비해서 '-양' 류의 단어들은 기존의 뜻인 '[[바다]]'의 의미를 많이 지니고 있는 편이다. 대개 해([[海]])보다 더 큰 바다를 의미한다. === [[단어]] === ==== '양-' 류 ==== * [[양장피]](洋張皮) 본래 '양분피[[잡채]]'(洋粉皮雜菜)'로, '양분'이 [[밀가루]]를 뜻한다고 한다. * [[양말]](洋襪/洋韈) * [[양복]](洋服) - 양복점 * [[양잿물]] * [[양파]] * [[양배추]] * [[양상추]] * [[양송이버섯|양송이]](洋松栮) * 양장(洋裝) - 양장본(洋裝本) - 양장점(洋裝店) 양장본은 제책 방식에 따른 분류이나, 양장점은 [[양복]]을 다루는 가게이다. '양장'이라는 한자어엔 두 의미 모두 있다. * [[양주(술)|양주]](洋酒) * [[서양 요리|양식]](洋食) * [[양궁]](洋弓):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반댓말은 [[국궁]]이라고 한다. * [[변기|양변기]](洋便器) * [[양은]](洋銀) * [[양철]](洋鐵) * [[양탄자]] * 양약(洋藥) * 양행(洋行) * [[양동이]] * 양학(洋學) * 양옥(洋屋) - 양옥집 * [[양인]](洋人) - [[서양인]](西洋人) * 양이(洋夷) * [[병인양요]](丙寅洋擾) * [[신미양요]](辛未洋擾) * [[양놈]]: [[양키]]는 오늘날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洋과 무관하다. * [[양공주]](洋公主) * [[양의]](洋醫) - 양의학(洋醫學), 양의사(洋醫師) * [[양금]](洋琴) * [[양초]] ==== '-양' 류 ==== * [[해양]](海洋) * [[동양]](東洋) / [[서양]](西洋) / 동서양(東西洋) * 남양(南洋) - [[남양군도]](南洋群島) * [[중양]](中洋) -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독자성이 강한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를 이르는 말. 때때로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포함시킬 때도 있다. * [[대양]](大洋) - [[오대양]](五大洋) - 대양도(大洋島) 삼대양, 칠대양 등의 말도 쓴다. [[북극해]], [[남극해]]를 '-빙양(氷洋)'으로 부르기도 했다. * [[태평양]](太平洋) * [[인도양]](印度洋) * [[대서양]](大西洋) * [[원양]](遠洋) - [[원양어선]](遠洋漁船) * 순양(巡洋) - [[순양함]](巡洋艦) 그밖에 [[동물]], [[식물]] 품종에 대하여 '동양-', '서양-' 등의 단어가 쓰인다. [[서양배]] 등. === [[고사성어]]/[[숙어]] === * 망양지탄([[望]]洋[[之]][[歎]]) * 무변대양([[無]][[邊]][[大]]洋)[* 무변대해([[無]][[邊]][[大]][[海]]) * 망망대양([[茫]][[茫]][[大]]洋)[* =망망대해([[茫]][[茫]][[大]][[海]]) === [[인명]] === * [[고토 히로오키]]([[後]][[藤]] 洋[[央]][[紀]]) * [[나카바야시 히로츠구]]([[中]][[林]] 洋[[次]]) * [[스즈키 요헤이]]([[鈴]][[木]] 洋[[平]]) * [[심양홍]]([[沈]]洋[[弘]]) * [[아와세 요세츠]]([[泡]][[瀬]] 洋[[雪]]) * [[에노키도 요지]](榎[[戸]] 洋[[司]]) * [[오오바야시 요헤이]]([[大]][[林]] 洋[[平]]) * [[이가양]]([[李]][[歌]]洋) * [[잇키 치히로]]([[一]][[木]] [[千]]洋) * [[임주양]]([[林]][[朱]]洋) * [[전양자]]([[全]]洋[[子]]) * [[타카하시 요코(가수)|타카하시 요코]]([[高]][[橋]] 洋[[子]]) * [[팽진양]]([[彭]][[鎭]]洋) * [[왕양]]([[汪]]洋) * [[이치카와 요스케]]([[市]][[川]]洋[[介]]) === [[지명#s-2]] === === [[창작물]] === * [[영국동양함대궤멸]]([[英国東洋艦隊潰滅]]) * [[순양그룹|순양그룹(順洋그룹)]] === 기타 === * [[양무운동]](洋[[務]][[運]][[動]]) * [[유한양행]]([[柳]][[韓]]洋[[行]]) == 유의자 == * [[溟]](바다 명) * [[瀛]](바다 영) * [[海]](바다 해) == 상대자 == * [[坤]](땅 곤) * [[陸]](뭍 륙) * [[地]](땅 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咩]](양 울 미) * [[泮]](얼음풀릴/학교 반) * [[絴]](높을 상) * [[𨀘]](달려갈 상) * [[㟄]](산 이름 상) * [[祥]](상서 상) * [[詳]](자세할 상) * [[鮮]](고울 선) * [[蛘]](가려울 양) * [[佯]](거짓 양) * [[烊]](구울 양) * [[徉]](노닐 양) * [[眻]](눈 아름다울 양) * [[䬺]](떡 양) * [[𩊑]](무두질할 양) * [[珜]](현 이름 양) * [[𢏙]](활 굽을 양) * [[垟]](흙속 괴물 양) * [[羘]](숫양 장) * [[牂]](암양 장) * [[𥒞]](양) * [[𨋽]](양) * [[𪭰]] * [[𪯷]] * [[𫅧]] * [[𨦡]] * [[𩣆]]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