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澁}}}떫을 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しぶ, しぶ-い, しぶ-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澁은 ''''떫을 삽''''이라는 [[한자]]로, '떫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F8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YMM(水卜一一)으로 입력한다. 원래 이 글자의 본자는 [[歰]]이다. 歰은 발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인 [[止]](그칠 지)를 [[정사각형]] 모양으로 네 개를 합쳐 만든 [[회의자]]로, '매끄럽지 않다', '뻑뻑하다'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위쪽에 있는 [[刃]](칼날 인)은 止가 180도 돌아간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 이후 뜻을 보충하기 위해 왼쪽에 [[水]](물 수)를 추가하여 澀의 형태가 나타나는가 했고, 이후 네 개의 止가 세 개로 준 澁 형태도 나타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에서 사용되는 자형은 止가 세 개인 澁이다. 일본 구자체도 동일하며, 신자체는 아랫부분을 줄인 渋이다. 대만, 홍콩 등에서는 澀을 표준 자형으로 취급하며, 중국 간체자로는 刃止 세트 하나를 없앤 涩으로 쓰고 번체자는 대만, 홍콩과 같다. == 용례 == === [[단어]] === * 난삽([[難]]澁) * [[삽미]](澁[[味]]) * 고삽미([[苦]]澁[[味]])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 [[榮]][[一]]) * [[시부야 나기사]](渋[[谷]] [[凪]][[咲]]) * [[시부야 다이치]](渋[[谷]] [[大]][[智]]) * [[시부이마루 타쿠오]](渋[[井]][[丸]] [[拓]][[男]]) === [[지명#s-2]] === * [[시부카와시]](渋[[川]][[市]]) * [[시부야구]](渋[[谷]][[区]]) * [[시부야역]](渋[[谷]][[駅]]) * [[시부타미역]](渋[[民]][[駅]]) * [[시부사와역]](渋[[沢]][[駅]]) * [[시부카와역]](渋[[川]][[駅]])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