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濂}}}물이름 렴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水|{{{#000,#fff 水}}}]], 13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6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2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レン}}}}}}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liá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濂은 '''물이름 렴'''이라는 [[한자]]로, '물의 이름'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FC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ITC(水戈廿金)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廉]](청렴할 렴)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염락관민지학(濂[[洛]][[關]][[閩]][[之]][[學]]) === [[인명]] === * [[김정렴]]([[金]][[正]]濂) * 송규렴([[宋]][[奎]]濂) * [[우징롄]]([[吳]][[景]]濂, ^^간체^^[[吴]][[景]]濂) === [[지명#s-2]] === * [[렴성역]](濂[[城]][[驛]]) * [[통영시]] [[한산면(통영)|한산면]] [[한산면(통영)#s-3|염호리]](濂[[湖]][[里]]) === [[창작물]] === === 기타 === * 경렴정집([[景]]濂[[亭]][[集]]) == 이체자 == * 濓(U+6FD3)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𩼔]]^^[⿰魚廉]^^(넙치 겸)[* [[鰜]](넙치 겸)의 [[동자#s-2]]] * [[䭠]](조금씩먹을 겸) * [[鐮]](낫 렴/겸) * [[嬚]](맑고고울 렴) * [[䆂]](메벼 렴)[* [[稴]](메벼 렴)의 [[동자#s-2]]] * [[𦆆]]^^[⿰糸廉]^^(명주 렴) * [[蠊]](바퀴 렴) * [[𨎷]]^^[⿰車廉]^^(바퀴테 렴) * [[燫]](불꺼지지않을 렴)[* [[熑]](불꺼지지않을 렴)의 [[동자#s-2]]] * [[𥖝]]^^[⿰石廉]^^(숫돌 렴) * [[臁]]/[[𩪬]]^^[⿰骨廉]^^(정강이 렴) * [[𢅏]]^^[⿰巾廉]^^(휘장 렴)[* [[㡘]](휘장 렴)의 [[동자#s-2]]] * [[譧]]/[[𧸖]]^^[⿰貝廉]^^(속일 잠) * [[𠓌]]^^[⿰光廉]^^(빛날 혐) * [[𠿳]]^^[⿰口廉]^^ * [[𱘉]]^^[⿰土廉]^^ * [[𣜰]]^^[⿰木廉]^^ * [[𬁛]]^^[⿰日廉]^^ * [[𪼥]]^^[⿰⺩廉]^^ * [[𥋲]]^^[⿰目廉]^^ * [[𧞋]]^^[⿰衤廉]^^ * [[𦤩]]^^[⿰自廉]^^ * [[𦧷]]^^[⿰舌廉]^^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