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쌍]]'''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2_de_00.jpg]] [목차] [[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 == 개요 == 앨범 DEUS의 수록곡이자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VENUS]]와 [[SOUND HOLIC]]의 합작이다. 보컬은 SOUND HOLIC 소속의 타카하시 나나와 VENUS의 [[DJ YOSHITAKA]]로, VENUS 최초의 듀엣 보컬곡이다. 랩은 SOUND HOLIC의 709sec와 [[TAG(작곡가)|TAG]]. 곡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SOUND HOLIC의 분위기를 따라가는 편이다. VENUS의 퍼스트 앨범 [[DEUS]]의 신곡으로 제작되어, 이후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에 수록되었다. 곡의 자켓은 [[Ha・lle・lu・jah]]의 패러디. == 가사 == * 게임 수록 버전 기준. * 타카하시 나나 솔로 파트는 {{{#red,#ff0000 붉은색}}}, DJ YOSHITAKA 솔로 파트는 {{{#blue,#0000ff 푸른색}}}, 랩은 {{{#green,#7fff7f 녹색}}}, 합창은 일반 색상으로 처리하였다. ||{{{#green,#7fff7f 時代は戦国争乱の世}}} 토키와 센고쿠 소-란노 요 시대는 전국 난세의 때 {{{#green,#7fff7f 一人の美しき戦士 鬼人となりて蒼天を舞う}}} 히토리노 우츠쿠시키 센시 키진토 나리테 소텐오 마우 한 아름다운 전사가 귀인이 되어 창천을 춤춘다 {{{#green,#7fff7f 屍の荒野を背にその手に掴むは 栄光か 死か}}} 시카바네노 코야오 세니 소노 테니 츠카무와 에이코카 시카 주검의 황야를 등지고 그 손에 쥐는 것은 영광이냐 죽음이냐 {{{#red,#ff0000 天下を}}} 今この手に 掴んで 텐카오 이마 코노 테니 츠칸데 천하를 지금 이 손에 쥐고 {{{#blue,#0000ff }}} 毀れ刃翳した 코보레 야이바 카자시타 이 빠진 검을 쳐들었다 {{{#blue,#0000ff }}} {{{#blue,#0000ff 鮮血色に染めた 赤い糸の縅を身に纏って }}} 센케츠 이로니 소메타 아카이 이토노 오도시오 미니 마톳테 선혈의 빛으로 물든 붉은 실로 갑옷을 매어 입고 {{{#blue,#0000ff 無慈悲に突き進む姿に 誰人も慄いた }}} 무지히니 츠키스스무 스가타니 타레비토모 오노노이타 무자비하게 치닫는 모습에 누구나가 떨었다 {{{#red,#ff0000 敵に馳せた名はレイラ}}} {{{#blue,#0000ff <すべて射抜く眼差し> }}} 카나키니 하세타 나와 레이라 < 스베테 이누쿠 마나자시 > 적에게 떨친 이름은 레이라 < 모든 것을 꿰뚫는 눈빛 > {{{#red,#ff0000 棚引いた}}} {{{#blue,#0000ff <長い黒髪>}}} 타나비이타 <나가이 쿠로카미> 길게 뻗친 <검은 머리칼> {{{#red,#ff0000 月に浮かぶ}}}影絵の様に 츠키니 우카부 카게에노 요우니 달에 떠오르는 그림자 놀이처럼 天と地の果て翔る疾風になりたい 텐토 치노 하테 카케루 카제니 나리타이 하늘과 땅의 끝으로 날아다디는 질풍이 되고 싶어 {{{#red,#ff0000 金剛不壊 魂 熱き}}}陣列を 콘고-후에 타마시 아츠키 진레츠오 금강불괴 혼 열기의 진열을 侘しい夜に燃える 宵の篝火 와비시이 요루니 모에루 요이노 카가리비 쓸쓸한 밤에 불타는 저녁의 화톳불 {{{#red,#ff0000 滾る火の粉}}} 舞い上がれ 타기루 히노코 마이아가레 끓어오르는 불똥 날아올라라 {{{#green,#7fff7f 勇往邁進 Dead or Alive 挑み}}} 유-오-마이신 Dead or Alive 이도미 용왕매진 Dead or Alive 도전해 {{{#green,#7fff7f MU.TE.KI. Crazy Edge of Blade 故に}}} MU.TE.KI. Crazy Edge of Blade 유에니 MU.TE.KI. Crazy Edge of Blade 그렇기에 {{{#green,#7fff7f 常に 風塵乱舞して我は}}} 츠네니 후-진란부시테 와레와 항상 풍진난무하는 우리는 {{{#green,#7fff7f 東奔西走 Kill the Dark}}} 토-혼세-소- Kill the Dark 동분서주 Kill the Dark 星空仰ぎそっと ひとり逝きたい 호시조라 아오기 솟토 히토리 유키타이 밤하늘을 살짝 올려다봐, 홀로 떠나고 싶어 {{{#red,#ff0000 無我夢中に斬った命も}}}葬り 무가무츄니 킷타 이노치모 호오무리 무아지경으로 베었던 생명도 묻어두고 儚い瞬間を照らす 宵の蛍火 하카나이 토키오 테라스 요이노 호타루비 덧없는 순간을 비추는 저녁 반딧불이 {{{#red,#ff0000 無双伝説}}} 永遠に 무소텐세츠 에이엔니 무쌍전설 영원히 誉となれ 호마레토 나레 명예가 되어라||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ff009f,#ff009e EXHAUST}}} || || 자켓 || [[파일:qyseRJz.jpg|width=150]] || [[파일:qyseRJz.jpg|width=150]] || [[파일:qyseRJz.jpg|width=150]] || || 난이도 || {{{#purple,#ff7ffe 05}}} || {{{#orange,#ffa500 11}}} || {{{#ff009f,#ff009e 17}}} || || 체인 수 || {{{#purple,#ff7ffe 0745}}} || {{{#orange,#ffa500 1281}}} || {{{#ff009f,#ff009e 2341}}} || || 일러스트 담당 || {{{#purple,#ff7ffe Being Vs. 戦国の世 feat.宵の篝火}}} || {{{#orange,#ffa500 Being Vs. 戦国の世 feat.宵の篝火}}} || {{{#ff009f,#ff009e Being Vs. 戦国の世 feat.宵の篝火}}} || || 이펙터 || {{{#purple,#ff7ffe SCバイオメトリクス Vs. 金色の夜叉 feat. 忍}}} || {{{#orange,#ffa500 SCバイオメトリクス Vs. 金色の夜叉 feat. 忍}}} || {{{#ff009f,#ff009e SCバイオメトリクス Vs. 金色の夜叉 feat. 忍}}}[* 일러스트레이터 명의와 이펙터 모두 합작으로 보이지만, 작곡가 명의가 Vs인 것을 패러디한 솔로 명의.] || || 수록 시기 ||<-3> {{{#ffcd3c III 23(2015.6.25)}}} || || [[BPM]] ||<-3> 180 || 2015년 6월 25일 [[VENUS]]의 앨범 DEUS의 발매 기념으로 수록되었다. [youtube(sqqY-J547KA, width=400, height=600)] EXH 손배치 포함 PUC 영상 EXH 패턴은 [[INDEPENDENT SKY]] 등 기존 SOUND HOLIC의 곡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복합 패턴이다. 비교적 무난한 패턴으로 채워져 있으나, 초반과 중반의 직각 노브 구간은 초견 시에 헷갈리기 쉬운 편이다. 또 후렴구 부분에 몇 차례 등장하는 노브 낚시 역시 숙지하지 못했을 시 콤보를 끊어먹기 좋은 부분. 중반 간주의 끄트머리에는 약 한 마디 가량 노트의 밀도가 갑작스레 높아지는데, 노트 패턴에 약하거나 초견 시에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PUC 방지구간이기도 하다. 사볼4 난이도 재개편 때 17을 할당 받았는데... 초견 난이도를 감안해도 17치고 상당히 쉽다는 평. 대체로 물렙 취급 받는다. == [[댄스 에볼루션 아케이드]] == [youtube(BJI5600cwVQ)] ||<-7> [[댄스 에볼루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4> 노트수 || 소비 칼로리 || ||<|2> 180 ||<|2> 3 || {{{#green,#7fff7f LIGHT}}} || {{{#blue,#0000ff STANDARD}}} || {{{#red,#ff0000 EXTREME}}} || {{{#orange,#ffa500 MASTER}}} ||<|2> 18.50kcal || || {{{#green,#7fff7f 58}}} || {{{#blue,#0000ff 75}}} || {{{#red,#ff0000 127}}} || {{{#orange,#ffa500 259}}} || 2016년 2월 22일 이식. CHALLENGE12 대상곡으로 지정되어 2016년 3월 21일까지 CHALLENGE12를 클리어해야 해금할 수 있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5>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4> 난이도 || ||<|2> 180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ff0090,#ff0090 S}}}{{{#ffaa08,#f7a200 P}}}{{{#08afdb,#23cbf7 E}}}{{{#ff0090,#ff0090 C}}}{{{#08afdb,#23cbf7 I}}}{{{#ffaa08,#f7a200 A}}}{{{#08afdb,#23cbf7 L}}} || || {{{#green,#7fff7f 4}}} || {{{#orange,#ffa500 7}}} || {{{#red,#ff0000 9}}} || {{{#08afdb,#23cbf7 10}}} || || SKILL RATE || {{{#green,#7fff7f 13}}} || {{{#orange,#ffa500 28}}} || {{{#red,#ff0000 52}}} || {{{#08afdb,#23cbf7 63}}}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72}}} || {{{#orange,#ffa500 330}}} || {{{#red,#ff0000 523}}} || {{{#08afdb,#23cbf7 713}}} || || JUST REFLEC || {{{#green,#7fff7f 8}}} || {{{#orange,#ffa500 12}}} || {{{#red,#ff0000 15}}} || {{{#08afdb,#23cbf7 21}}} || || 수록버전 ||<-4> [[리플렉 비트 VOLZZA 2|{{{#black 리플렉 비트 VOL{{{#ff2400,#ff2300 ZZ}}}A}}} {{{#ff2400,#ff2300 2}}}]] || ||<-5> [[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4> 난이도 || ||<|2> 180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magenta,#ff00fe White Hard}}} || || {{{#green,#7fff7f 6}}} || {{{#orange,#ffa500 9}}} || {{{#red,#ff0000 11}}} || {{{#magenta,#ff00fe 12}}} || || SKILL RATE || {{{#green,#7fff7f 23}}} || {{{#orange,#ffa500 37}}} || {{{#red,#ff0000 51}}} || {{{#magenta,#ff00fe 58}}}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72}}} || {{{#orange,#ffa500 331}}} || {{{#red,#ff0000 526}}} || {{{#magenta,#ff00fe 715}}} || || MAX COMBO || {{{#green,#7fff7f 263}}} || {{{#orange,#ffa500 442}}} || {{{#red,#ff0000 795}}} || {{{#magenta,#ff00fe 1026}}} || || JUST REFLEC || {{{#green,#7fff7f 8}}} || {{{#orange,#ffa500 12}}} || {{{#red,#ff0000 15}}} || {{{#magenta,#ff00fe 21}}} || 2016년 7월 28일에 파스텔 챌린지 이벤트로 이식되었다. [youtube(WWEikTIriFY)] HARD EXC+AJR 영상 [youtube(ir9O5yLyUCU)] White Hard(구 SPECIAL) EXC+AJR 영상 [[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